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통화정책방향

728x90
반응형

 

 

제 목 : 통화정책방향 2021년 10월 12일 공보 2021-10-08호 이 자료는 배포시부터 취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21년 10월 12일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0.75%)에서 유지 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음 (붙임 참조) 문의처: 통화정책국 정책총괄팀 팀장 박종우, 차장 이화연 Tel: (02) 759-4461, 4066 Fax: 759-4485 E-mail: mpdept@bok.or.kr 공보관: Tel: (02) 759-4028,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임) 통화정책방향 □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0.7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 세계경제는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도 주요국의 백신 접종 확대, 경제활 동 제약 완화 등으로 회복 흐름을 이어갔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글로 벌 인플레이션 지속 우려와 미 연준의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이 높아지 면서 주요국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미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었 으며, 주가는 하락하였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코로나19 의 재확산 정도와 백신 보급 상황, 글로벌 인플레이션 움직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 국내경제는 양호한 회복세를 이어갔다.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고 설비투자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으며,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둔화되었던 민간소비 도 최근 다시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고용 상황은 취업자수 증가가 지속되는 등 개선세를 이어갔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소비가 백신 접종 및 그에 따른 경제활동 확대, 추경 집행 등으로 점차 개선되면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금년중 GDP 성장률은 지난 8월에 전망한 대로 4%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서비스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2%대 중반의 높은 수준을 이어갔으며,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대 중반으로 높아졌다.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대 중반 수준을 지속하였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전망경로를 상회하 여 당분간 2%대 중반 수준을 나타내다가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근 원인플레이션율은 대체로 1%대 후반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시장에서는 국제금융시장 움직임 등에 영향받아 장기시장금리와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주가는 상당폭 하락하였다. 가계대 출 증가규모는 높은 수준을 이어갔으며,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모 두에서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였다. □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 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으나 국내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2%를 상회 하는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 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 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불균형 누적 위 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

728x90
반응형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8월 국제수지  (0) 2021.10.16
21년 10월 국내외 경제동향  (0) 2021.10.16
기준금리 유지 배경  (0) 2021.10.15
21년 2분기 자금순환 잠정  (0) 2021.10.14
21년 9월 외환보유액  (0)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