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코스피 역대 최대 IPO 실적 달성

728x90
반응형

 

 

 

보도자료 보도 배포 즉시 배포 2021. 11. 24(수) 담당부서 유가증권시장본부 상장부 문의 신병철 부서장(02-3774-8690) 김정영 팀 장(02-3774-8710) 제 목 : 코스피 역대 최대 IPO 실적 달성 ◇ ’21년 코스피 IPO 시장은 BBIG 업종에 속한 미래 성장기업의 상장 활성화에 힘입어 IPO 공모금액(17.0조원*) 및 신규상장 기업 공모시총(87.2조원**)이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 * 종전 IPO 공모금액 최대규모인 ‘10년 8.8조원(삼성생명 4.9조원 공모)을 경신 ** 종전 신규상장 기업 공모 시가총액 최대규모인 ‘10년 36.6조원을 경신 □ (IPO 활성화 추진) 한국거래소(이사장 손병두)는 K-유니콘과 혁신 기업 등 미래 성장기업이 보다 원활하게 상장할 수 있도록 ᄋ 코스피 상장 문턱을 낮추고*, 심사 프로세스를 시장 친화적으로 개선**하는 등 IPO 활성화 노력을 경주해 옴 * (‘21.3월) 시총 단독요건 신설(1조원) 및 시총‧자기자본 요건 완화(5천억&1.5천억) ** (‘21.4월) 미래성장기업 맞춤형 질적심사기준(성장성 요건) 도입, 공모 후 상장기간 단축 등 ᄋ 또한, 코로나 이후 개인투자자의 시장참여 증가* 등에 힘입어 유통시장 볼륨이 크게 확대**되면서 대규모 IPO를 소화할 수 있을 만큼 자본시장의 수요기반***도 대폭 강화 * (코스피 개인 비중) ’10년 55%, ‘15년 54%, ’19년 48%, ‘20년 66%, ’21.10월 64% **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 ’10년 5.6조, ‘15년 5.4조, ’19년 5조, ‘20년 12.2조, ’21.10월 16.4조 *** (주식활동계좌수) ‘18.12월 27백만, ’19.12월 29.4백만, ‘20.6월 32.1백만, ‘20.12월 35.5백만, ‘21.6월 48.4백만, ‘21.10월 53.6백만 -1- □ (신규상장) 미래 성장업종에 대한 공모주 청약 열풍 등에 따라 ‘21년 중 SK 바이오사이언스, SK IET, 크래프톤, 카카오뱅크, 현대중공업, 카카오페이 등 20개사*가 코스피에 상장 * (신규상장 기업) 솔루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SK바이오사이언스, SK IET, NH스팩19호, SD바이오센서, 엠씨넥스, 카카오뱅크, PI첨단소재, 크래프톤, 한컴라이프케어, 롯데렌탈, 아주스틸, 일진하이솔루스, 현대중공업, 케이카, 카카오페이, 디앤디리츠, SK리츠, NH리츠 등 ᄋ ’21년말 기준, 코스피 신규상장 기업은 23개사*로 최근 10년 이래(’11년 : 25개사)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 * 11~12월 중 HDC아이콘트롤스(HDC아이서비스 합병) 및 신한서부티엔디리츠, 미래에셋 글로벌리츠 등 3개사 상장 예상 【 코스피 신규상장 현황(단위: 개사) 】 ’10년 29 ’11년 25 ’12년 13 ’13년 6 ’14년 7 ’15년 17 ‘16년 16 ‘17년 9 ’18년 10 ’19년 13 ’20년 11 구분 ’21년 (예상) 상장 23 ᄋ 상장 예비심사도 현재까지 20개사가 신청했으며, 연내 25개사가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어 ’15년(25개사) 이후 최고치 기록 전망 【 코스피 예비심사 신청현황(단위: 개사) 】 ’10년 33 ’11년 21 ’12년 14 ’13년 5 ’14년 11 ’15년 25 ‘16년 20 ‘17년 10 ’18년 18 ’19년 10 ’20년 10 구분 ’21년 (예상) 신청 25 * 주권 재상장, 예비심사 청구 대상이 아닌 리츠 및 수익증권 등 제외 □ (공모금액) SK IET(2.2조원), 크래프톤(4.3조원), 카카오뱅크(2.6조원) 등 대형 우량기업의 공모가 이어지며 총 17.0조원을 공모 ᄋ ’21년 공모금액(17.0조원)은 코스피 역대 최대규모(‘10년 : 8.8조원)를 경신했으며, 연말 기준으로 17.2조원을 기록할 전망 -2- 【 코스피 공모금액 현황(단위: 조원) 】 ’10년 8.8 ’11년 3.0 ’12년 1.3 ’13년 1.1 ’14년 3.5 ’15년 2.4 ‘16년 4.3 ‘17년 4.4 ’18년 0.9 ’19년 1.4 ’20년 3.3 구분 공모 금액 ’21년 (예상) 17.2 ᄋ 역대 공모금액 상위 10개사 중 5개사(크래프톤, 카카오뱅크, SK IET, 카카오페이, SK바이오사이언스)를 ‘21년에 신규상장한 기업이 차지 【 코스피 역대 공모금액 상위 10개사 】 순위 기업명 상장일 공모금액 삼성생명 크래프톤 넷마블 카카오뱅크 삼성바이오로직스 SK IET 대한생명 카카오페이 제일모직 SK 바이오사이언스 2010-05-12 2021-08-10 2017-05-12 2021-08-06 2016-11-10 2021-05-11 2010-03-17 2021-11-03 2014-12-18 2021-03-18 1 2 3 4 5 6 7 8 9 10 4조8,881억원 4조3,098억원 2조6,617억원 2조5,526억원 2조2,496억원 2조2,459억원 1조7,805억원 1조5,300억원 1조5,237억원 1조4,917억원 □ (신규상장 공모시총) ’21년 11월 현재, 87.2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으며, 연말 기준으로 87.6조원을 기록할 전망 * (역대 공모시총 순위) 1 크래프톤 24.4조 2 삼성생명 22조 3 카카오뱅크 18.5조 4 삼성에스디에스 14.7조 5 넷마블 13.3조 6 카카오페이 11.7조 7 롯데쇼핑 11.4조 8 삼성바이오로직스 9조 9 SK IET 7.5조 10 제일모직 7.2조 【 코스피 공모시총 현황(단위: 조원) 】 ’10년 36.6 ’11년 10.8 ’12년 2.9 ’13년 2.6 ’14년 24.8 ’15년 9.4 ‘16년 15.7 ‘17년 18.1 ’18년 3.1 ’19년 5.1 ’20년 11.4 구분 공모 시총 ’21년 (예상) 87.6 □ (글로벌 IPO 현황) 국내 증시는 신규상장 및 공모금액 증가 등에 따라 신규상장 및 공모금액 기준 글로벌 7위권을 기록 -3- ᄋ (신규상장) ’21년 11월 현재, 109개사*(코스피 18사, 코스닥 91사)가 신규 상장되었으며 WFE 거래소 90여개 중 7위 수준 * IPO(공모)를 실시하지 않은 이전상장(엠씨넥스, PI첨단소재), 스팩합병 및 코넥스 상장 등은 제외 / IPO(공모) 실적이 있는 스팩, 리츠 등은 포함 - 중국(상해‧심천)을 제외하면 일본, 홍콩, 싱가폴 등 아시아 역내 경쟁 거래소 대비 IPO 기업 수에서 더 많은 성과를 달성 ᄋ (공모금액) ’21년 11월 현재, IPO를 통한 공모금액은 180억 USD(코스피 17.0조원, 코스닥 3.3조원)로 글로벌 7위 차지 - NYSE(미), 나스닥(미), 상해(중), 홍콩, 유로넥스트(프), 심천(중)에 이은 규모로 LSE(영), DB(독), JPX(일), ASX(호) 등 글로벌 시장을 앞서며 IPO 자금조달 측면에서 선진시장과 어깨를 나란히 함 2 3 4 5 6 7 8 뉴욕거래소(美) 나스닥(美) 상해거래소(中) 유로넥스트(유럽) 일본거래소(日) 홍콩거래소(홍콩) 심천거래소(中) 【 ’21년 WFE 신규상장 & 자금조달(’21. 10月말 기준) 】 순위 시장 시가총액(USD Trill) 거래소(국가) 금액 26.0 24.1 7.8 7.4 6.7 5.8 5.8 IPO를 통한 신규상장 기업 거래소(국가) 나스닥(美) 뉴욕거래소(美) 상해거래소(中) 심천거래소(中) ASX(호주) 나스닥 노르딕&발틱(유럽) 한국거래소(韓) 개수 279 217 215 189 147 134 109 IPO를 통한 자본조달(USD Bill) 거래소(국가) 뉴욕거래소(美) 나스닥(美) 상해거래소(中) 홍콩거래소(홍콩) 유로넥스트(유럽) 심천거래소(中) 한국거래소(韓) 금액 1 98.3 71.3 44.3 37.3 23.0 19.2 11.7 10.9 18.0 16.4 12.9 LSE(英) 3.8 LSE(英) 98 LSE(英) 9 인도거래소(인도) TMX(캐나다) 3.4 3.3 Tel-Aviv(이스라엘) 일본거래소(日) 88 나스닥 노르딕&발틱(유럽) 10 84 DB(독일) 11 2.8 75 12 13 14 15 16 18 타다울(사우디) DB(독일) 나스닥 노르딕&발틱(유럽) SIX(스위스) 한국거래소(韓) ASX(호주) 대만거래소(대만) 2.5 2.5 2.2 2.2 1.9 1.2 홍콩거래소(홍콩) 인도거래소(인도) 이스탄불l(터키) TMX(캐나다) 타이거래소(태국) 인도네시아(인니)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62 41 33 29 20 인도거래소(인도) ASX(호주) B3(브라질) 일본거래소(日) TMX(캐나다) BME(스페인) 6.3 5.1 4.7 4.2 28 3.9 17 1.9 24 Tel-Aviv(이스라엘) 3.0 2.5 19 테헤란(이란) JSE(남아공) 1.1 B3(브라질) 바르샤바(폴란드) 20 타다울(사우디) 타이거래소(태국) 2.3 20 모스크바(러시아) 0.9 BME(스페인) 13 인도네시아(인니) `2.1 ※ 한국거래소 신규상장 및 자금조달은 ‘21. 11. 24 현재 코스피, 코스닥 합계 기준 일부 해외 거래소는 10月 자료 미제출로 9月말 기준 출처) WFE(세계거래소연맹) -4- □ (22년 전망) 최근 일부 기업의 수요예측 경쟁률 하락 및 공모 절차 철회 등으로 IPO시장의 활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ᄋ ‘22년초 LG에너지솔루션, 현대엔지니어링 등 시장의 관심이 높은 초대형 우량기업의 공모가 예상*되고, * LG에너지솔루션(6.8 청구), 현대엔지니어링(9.30 청구)은 현재 상장예비심사 진행 중 ᄋ SSG, 카카오엔터, 컬리, 쏘카 등 미래 성장기업의 상장 추진이 기대되어 ’22년에도 IPO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 (IPO시장 육성) 한국거래소는 앞으로도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미래 성장기업의 상장 활성화에 아낌없는 노력을 다하는 한편, ᄋ 자본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투자자 보호에도 차질이 없도록 균형있는 시장 관리자 역할을 수행해 나갈 계획임 ※ 한국거래소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krx.co.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