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동향조사 2021년 11월 23일 공보 2021-11-18호 이 자료는 11월 23일 석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11월 23일 06: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21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7.6으로 전월대비 0.8p 상승 * CCSI(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심리지표로서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0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 문의처 :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팀장 황희진, 과장 조천희 Tel : 759-4443, 5673 Fax : 759-4430 E-mail : est@bok.or.kr 공보관 : Tel (02) 759-4038, 4135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bok.or.kr)에, 세부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2021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I. 소비자심리지수 ―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 심리지수는 11월중 107.6으로 전월대비 0.8p 상승 소비자심리지수1) 추이 주: 1) 2003∼2020년중 장기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 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2) 실선은 표본개편 시점(2013.1월, 2018.9월)을 의미 구성지수의 기여도 ‘21.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소비자심리지수 100.5 102.2 105.2 110.3 103.2 102.5 103.8 △0.7 1.3 0.0 0.0 0.0 0.0 0.4 0.0 △0.3 0.7 △0.5 0.1 △0.3 0.5 106.8 107.6 3.0 0.8 0.3 0.0 0.5 △0.3 0.8 0.0 1.0 1.0 0.2 0.1 0.2 0.0 (전월 대비 지수차) 현재생활형편 구 성 생활형편전망 지수의 가계수입전망 기여도 소비지출전망 3.1 1.7 0.5 0.8 0.3 0.2 0.0 0.4 1.0 △0.3 0.9 0.5 0.4 0.1 3.0 5.1 △7.1 0.3 0.0 △0.5 0.3 0.5 △0.8 0.4 0.8 △0.8 0.6 1.7 △1.7 0.8 0.9 △1.2 0.6 1.2 △2.1 (p)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 1/7 - II. 소비자동향지수 1.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생활형편CSI(92)는 전월과 동일하고 생활형편전망CSI(97)는 전월대비 1p 하락 ― 가계수입전망CSI(101)는 전월과 동일하고 소비지출전망CSI(115)는 전월대비 3p 상승 ‘21.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A) 11월(B) 현재생활형편CSI1) 생활형편전망CSI2) 가계수입전망CSI2) 소비지출전망CSI2) 107 106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B-A) 93939191919292 (-) 97 99 96 96 96 98 97 (△1) 98100989999101101 (-) 108 113 108 107 109 112 115 (+3) 전망 89 92 95 96 96 97 2.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경기판단CSI(81)는 전월대비 1p 상승하고 향후경기전망CSI(96)는 전월과 동일 ― 취업기회전망CSI(98) 및 금리수준전망CSI(138)는 전월대비 각각 4p, 5p 상승 ‘21.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A) 11월(B) (B-A) 현재경기판단CSI1) 향후경기전망CSI2) 취업기회전망CSI2) 금리수준전망CSI2) 114 112 118 124 126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77 78 80 81 (+1) 90949696 (-) 86 88 94 98 (+4) 126 134 133 138 (+5) 72 77 85 94 82 93949910992 84 86 92 103 87 - 2/7 - 3.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가계저축CSI(94)는 전월대비 1p 상승하고 가계저축전망CSI(97)는 전월과 동일 ― 현재가계부채CSI(102) 및 가계부채전망CSI(99)는 모두 전월대비 1p 하락 ‘21.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A) 11월(B) (B-A) 현재가계저축CSI1) 93 가계저축전망CSI2) 95 현재가계부채CSI1) 104 가계부채전망CSI2) 99 94 95 95 979798 103 103 102 101 98 99 94 94 94 979696 103 102 102 100 99 99 93 94 (+1) 97 97 (-) 103 102 (△1) 100 99 (△1)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4.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물가, 주택가격 및 임금수준전망) ― 물가수준전망CSI(152)는 전월대비 3p 상승 ― 주택가격전망CSI(116)는 전월대비 9p 하락하고 임금수준전망CSI(117)는 전월과 동일 ‘21.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A) 11월(B) (B-A) 물가수준전망CSI1) 146 주택가격전망CSI1) 124 임금수준전망CSI1) 112 145 146 147 122 124 127 113 114 117 147 149 149 129 129 128 118 119 117 149 152 125 116 117 117 (+3) (△9) ( - ) 주: 1)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 - 3/7 - (기대인플레이션) ―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과 향후 1년간 기대인플 레이션은 전월대비 모두 0.3%p 상승 물가인식 및 기대인플레이션율1) (%, %p) 8월 9월 10월(A) 11월(B) (B-A) 물가인식2)2.12.12.12.22.32.42.4 2.4 2.7(+0.3) ‘21.3월 4월 5월 6월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3) 2.1 2.1 2.2 2.3 2.3 2.4 2.4 2.4 2.7 주: 1) 중앙값(median) 2)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 3)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 + 0 . 3 ) (%, %p) (B-A) (+0.2) (△0.8) (△5.3) (△1.3) (+3.3) (+2.3) (+0.5) (+0.9) (-) 하락( 0~1% 1~2% 2~3% 3~4% 4~5% 5~6% 6% 이상 모르겠음 4.1 3.8 0.3 0.1 9.7 9.6 27.1 27.6 28.8 28.2 12.9 13.4 8.0 7.4 4.9 5.2 5.0 4.7 3.3 3.8 0.2 0.4 8.7 7.9 25.8 20.5 30.9 29.6 14.0 17.3 7.7 10.0 4.4 4.9 4.8 5.7 3.6 3.6 -)0.3 0.3 13.8 13.1 32.5 33.2 24.3 23.4 10.4 11.2 5.9 6.6 4.5 4.2 4.3 4.3 기대인플레이션율 응답분포 구성비 ‘21.3월 4월 5월 6월 7월 0.3 0.2 0.3 12.5 11.2 10.9 31.1 29.5 28.3 25.9 28.0 27.3 11.8 12.1 12.8 6.2 7.1 8.2 4.5 4.2 3.9 3.7 4.1 4.2 3.8 3.6 4.2 8월 9월 10월(A) 11월(B) ―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비중은 석유류제품(70.1%), 농축수산물(39.6%), 공공요금(27.4%) 순이었으며, 전월에 비해서는 석유류제품(+17.1%p), 농축수산물(+1.0%p) 등의 응답비중 이 증가한 반면, 공공요금(△11.1%p), 집세(△7.2%p) 비중은 감소 물가상승 기대형성 요인에 대한 응답비중1)2) 주: 1) 복수선택이 가능한 문항으로 총합이 100%가 아님 2) ( )내는 전월대비 증감 - 4/7 - <통계편> 소비자동향조사 (p, %, %p) 지수명 2021 (B-A)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A) 11월(B) 소비자심리지수 100.5 102.2 105.2 110.3 103.2 102.5 103.8 106.8 107.6 (+0.8)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내구재 의류비 외식비 여행비 교육비 의료.보건비 교양.오락. 문화비 교통.통신비 주거비 89 92 95 96 96 97 107 106 92 92 94 94 90 90 83 82 102 99 110 110 88 87 106 105 105 105 93 93 97 99 98 100 108 113 94 96 96 98 93 97 86 97 100 101 110 111 89 95 105 107 104 105 91 91 96 96 98 99 108 107 94 95 95 95 91 91 84 84 100 101 110 111 89 88 106 106 105 106 91 92 92 96 98 97 99 101 101 109 112 115 94 96 96 96 99 99 93 96 99 86 95 99 101 103 103 111 111 112 89 93 96 106 109 111 106 106 106 (-) (△1) (-) (+3) (-) (-) (+3) (+4) (-) (+1) (+3) (+2) (-)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취업기회전망 금리수준전망 72 77 85 94 82 77 78 80 81 93 94 99 109 92 90 94 96 96 84 86 92 103 87 86 88 94 98 114 112 118 124 126 126 134 133 138 (+1) (-) (+4) (+5) 현재가계저축 가계저축전망 현재가계부채 가계부채전망 93 94 95 95 94 94 94 93 94 95 97 97 98 97 96 96 97 97 104 103 103 102 103 102 102 103 102 99 101 98 99 100 99 99 100 99 (+1) (-) (△1) (△1) 물가수준전망 주택가격전망 임금수준전망 물가인식 기대인플레이션율 146 145 124 122 112 113 2.1 2.1 2.1 2.1 146 147 124 127 114 117 2.1 2.2 2.2 2.3 147 149 129 129 118 119 2.3 2.4 2.3 2.4 149 149 152 128 125 116 117 117 117 2.4 2.4 2.7 2.4 2.4 2.7 (+3) (△9) (-) (+0.3) (+0.3) - 5/7 - <부록 1> 2021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개요 1. 조사대상 : 전국 도시 2,500가구 (응답 2,308 가구) 2. 조사기간 : 2021. 11. 9 ~ 11. 16 3. 소비자동향지수(CSI)의 개념 및 조사내용 ― 소비자동향지수(Consumer Survey Index: CSI)는 소비자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과 향후 소비지출전망 등을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지수화한 통계자료임 o 개별 소비자동향지수 =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가계 저축 및 부채 상황에 대한 인식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매우긍정×1.0+다소긍정×0.5+비슷×0.0)-(다소부정×0.5+매우부정×1.0) 전체 응답가구수 조사내용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 〃 〃 ×100+100 조사항목 현재생활형편1) 생활형편전망1) 가계수입전망2) 소비지출전망2) 현재경기판단1) 향후경기전망1) 취업기회전망2) 금리수준전망2) 현재가계저축2) 가계저축전망2) 현재가계부채2) 가계부채전망2) 물가수준전망2) 주택가격전망2) 임금수준전망2) 물가 인식 기대인플레이션 ※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주 : 1) 100보다 큰 경우 긍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보다 많음을, 100보다 작은 경우 그 반대를 나타냄 2) 100보다 큰 경우 증가 또는 상승할 것으로 응답한 가구수가 감소 또는 하락할 것으로 응답한 가구수보다 많음을, 100보다 작은 경우 그 반대를 나타냄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 통계검색–간편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해당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 통계표 명칭 ECOS 분류 항목명 ― 9.2.1 소비자동향조사(한국은행, 전국) (월)(2008년9월~) 9.2.3 기대인플레이션율(한국은행, 전국)(월) - 6/7 - 구성지수의 기여도(p.1)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p.2)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p.2)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p.3)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p.3) 물가인식 및 기대인플레이션율(p.4) <부록 2> 소비자심리지수 개요 1.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CCSI)의 개념 ―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 한 지수로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판단 o 6개 개별지수를 표준화 구간(2003년~전년 12월, 매년 초에 전년 12월까지 연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이를 합성한 종합적인 소비자심리지표임 o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클 경우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 (2003년~전년 12월)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관적임을 의미 2. 산출방식 구성지수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개별지수의 표준화 개별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특정 개별지수의 과도한 영향력을 조정) ― 개별 표준화 지수 : . 해당월의 개별 소비자동향지수 * : 개별지수 구분첨자(1~6), t : 해당월 . 표준화구간의 개별지수 평균 * t(=1, ..., T) : 표준화 구간(2003년 1월~전년 12월)으로 매년초에 전년 12월까지 연장 . 표준화구간의 개별지수 표준편차 소비자심리지수 산출 개별 표준화 지수의 합산지수를 산출하여 이를 표준화한 후 소비자심리지수의 장기 평균이 100.0, 장기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재조정 ―소비자심리지수: × . : t시점의 6개 개별 표준화 지수의 합 . :의표준화구간중평균 . : 의 표 준 화 구 간 중 표 준 편 차 - 7/7 -
'Home > 아파트 (매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11월 4주차 서울아파트 매매 거래내역 (11/1 ~ 11/27) (0) | 2021.11.28 |
---|---|
21년 9월 광주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조회 (0) | 2021.11.27 |
21년 9월 전북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조회 (0) | 2021.11.26 |
21년 9월 전남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조회 (0) | 2021.11.25 |
21년 9월 울산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조회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