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일시 2021. 11. 26.(금) 15:30 배포일시 2021. 11. 26.(금) 13:30 담당과장 기획재정부 지역경제정책과 박지훈 (044-215-4570) 담당자 김상엽 사무관 (ksy7715@korea.kr) 기획재정부 요소수 대응 실무지원단 문경호 (02-2100-8771) 주해인 사무관 (haein1216@korea.kr) 국무조정실 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 최진영 (044-200-2211) 안혜리 사무관 (gloria7@korea.kr) 외교부 동아시아경제외교과 염보영 (02-2100-7675) 천성희 사무관 (shchun19@mofa.go.kr)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채수경 (044-205-3101) 전용우 사무관 (braverain88@korea.kr)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이종태(044-201-1891) 서정우 사무관 (quepasa@korea.kr)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장비총괄과 정석진 (044-203-4910) 임경섭 사무관 (kslim00@korea.kr)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정성훈 (044-202-2550) 박준희 사무관 (swer21@korea.kr) 환경부 교통환경과 황인목 (044-201-6920) 송태곤 사무관 (stgtoto1@korea.kr) 국토교통부 물류산업과 박진홍 (044-201-4016) 김병채 서기관 (bcheck@korea.kr)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 허만욱 (044-200-5710) 양도형 사무관 (ydh87@korea.kr) 국세청 조사2과 김승민 (044-204-3602) 정해동 사무관 (jung0506@nts.go.kr)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 한민 (042-481-7810) 조광선 사무관 (kwangseoncho@korea.kr) 조달청 원자재비축과 노배성 (044-215-2770) 전연수 사무관 (jys21c@korea.kr) 경찰청 장비담당관 김성구 (02-3150-2036) 김종애 경감 (k17165@police.go.kr) 소방청 장비총괄과 김문용 (044-205-7680) 권영철 소방경 (sakyc@korea.kr) 제18차 요소수 수급 관련 범부처 합동 대응 회의 개최 □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1.26(금) 08:30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8차 요소수 수급 관련 범부처 합동 대응 회의*를 개최하였음 * 국무조정실, 외교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경찰청, 소방청 등 참석 -1- ᄋ 정부는 요소수의 국내 생산·유통·분배 등 물량 수급 상황 및 해외물량 확보 진행상황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생산물량을 중점 유통 주유소 등으로 신속하게 배분하는 방안, 지자체와의 협력 제고 방안 등을 논의하였음 □ 첫째, 금주 들어 주요 5개 생산업체 생산물량*은 1일 소비량 수준(60만 리터)을 상회하고 있고, 국내 전체 생산물량**도 1일 소비량의 2배 수준에 달해 생산이 안정화되고 있음 * 5대 기업 생산량(단위: 만 리터) : (11.20) 58 (11.22) 91 (11.23) 78 (11.24) 76 (11.25) 81 ** 전체 생산량(단위: 만 리터) : (11.21) 48 (11.22) 138 (11.23) 136 (11.24) 117 ᄋ 정부는 전체적인 생산 현황 점검 및 생산량 제고를 위해 기존 5대 생산업체 위주의 동향 점검을 10대 업체로 확대 □ 생산된 요소수 물량은 주유소로 신속하게 배분되어 100여개의 중점유통 주유소*의 입고량 및 판매량은 안정적 수준을 유지 하고 있으며, 중점 유통 주유소 이외의 주유소**에도 적정량이 지속적으로 공급 중 * 입고량(만 리터) : (11.20) 15.5 (11.21) 0.0 (11.22) 23.4 (11.23) 17.9 (11.24) 14.3 (11.25) 18.5 판매량(만 리터) : (11.20) 19.9 (11.21) 6.6 (11.22) 17.2 (11.23) 22.4 (11.24) 16.5 (11.25) 17.6 ** 입고량(만 리터) : (11.19) 28 (11.20) 6 (11.21) 7 (11.22) 34 (11.23) 34 (11.24) 41 판매량(만 리터) : (11.19) 24 (11.20) 7 (11.21) 13 (11.22) 21 (11.23) 24 (11.24) 26 ᄋ 재고가 소진된 주유소로 보다 신속하게 물량이 배분되고, 주말에도 적정량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산업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가 L社 등 주요 공급업체 경영진을 면담하여 협조를 당부하였으며 공급업체 측에서는 정부 시책에 최대한 협조하기로 함 □ 둘째, 민관협업을 통한 총력 대응의 결과 중국과의 旣 계약 물량 18,700톤에 대한 수입 일정이 보다 가시화 ᄋ 수출 전 검사 완료 물량 9,710톤 중 최초로 국내에 도착한 차량용 요소 300톤은 울산항으로부터 순조롭게 L社로 입고되어 25일부터 생산 과정에 투입중 -2- ᄋ 11월 22일 수출 전 검사를 통과한 L社의 차량용 요소 3,000톤은 11월 29일 롱커우항을 출항하여 12일 1일 울산 입항 예정이며 ᄋ 그외에11월23일수출전검사를통과한L社의또다른차량용 요소 3,000톤은 국적선사를 섭외하여 12월 초 중국 출항 예정 □ 아울러, 정부는 생산·수요업체 등과 얼라이언스를 가동하는 등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3국 으로부터 추가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보중 ᄋ 우선, 기 수입된 N社의 산업용 요소 일부를 물량구입 의사가 있는 생산 업체 대상으로 배분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며, S社가 베트남에서 확보하여 12월 초까지 순차 도착 예정인 산업용 요소 8,000톤은 차량용 요소수 생산에 활용할 계획 ᄋ 또한, 일본으로부터 12월 차량용 요소 1,000톤을 반입 예정 이며, 베트남에서도 12월 중 5,700톤을 신규로 반입할 예정 * U사(목재, 1,000톤), E사(산업용 1,200톤), F사(산업용 1,500톤), S사(목재, 1,000톤), O사(목재, 1,000톤) ᄋ 이와 별도로, O社는 러시아에서 차량용 요소 200톤을, N社는 사우디에서 산업용 요소 2,500톤을, I社는 UAE에서 산업용 요소 210톤을 계약 완료하였음이 확인되었고 12월 중순부터 ‘22월 1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 □ 이외에도, 수입 검사기관을 2곳에서 4곳으로 확대하는 등 수입 물량의 신속한 검사를 위해 노력한 결과 신규 검사 합격 물량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동 물량은 12월 초까지 순차적으로 국내 도입 예정이므로 이를 비교적 낮은 가격에 중점 주유소에 공급하도록 협조 요청 중 * 10월 15일 이후 신규 검사 신청(387건) 건 중 현재까지 검사에 합격한 물량(223건) 128만 리터(~12.1), 68만 리터(12.2~12.8) 등 국내 도입예정 -3- □ 셋째, 요소수와 관련한 정보 제공 방식이 한층 개선되어 국민들의 편의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 ᄋ 지금까지의 방식은 주유소의 경우 전화, 메신저 등으로 요소수 재고 현황 조사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재고조사에 협조하였으나 QR 등을 활용해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개선하였으며 ᄋ 민간기업과 정보 공유가 가능해짐으로써 금일부터 T맵에서는 1일 2회(14시, 20시 공개)이던 요소수 재고정보 제공 횟수를 2시간 마다 갱신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확대하여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네이버 · 카카오 등은 다음주부터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중 □ 넷째, 환경부 등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 31개조의 합동 단속반 활동 외에도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TF를 구성하여 단속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ᄋ 금일(11.26) 15시 행정안전부 장관이 주재하고 17개 시·도 및 226개 시·군·구 부단체장이 참여하는 제6차 중앙·지방 정책협의회에서도 요소수 유통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중앙과 지방의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추진할 계획 - 이를 통해 향후에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긴밀한 협의 하에 매점매석 및 부당한 가격인상 등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를 집중 단속해 나가겠음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4-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데일리 브리프 '21.11.26(금) (0) | 2021.11.27 |
---|---|
전국 중점유통 주유소 차량용 요소수 동향 (11.26. 18시 기준) (0) | 2021.11.27 |
21년 11월 예타 결과 확정 (0) | 2021.11.27 |
21년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0) | 2021.11.27 |
21년 10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0)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