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대출행태조사
이 자료는 4월 13일 조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4월 12일 12: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 (2021년 1/4분기 동향 및 2/4분기 전망)
□ 2021년 2/4분기중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강화될 전망
□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에도 상호금융조합 등 대부분 업권에서 대출태도가 강화될 전망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문의처 : 금융안정국 금융시스템분석부 은행분석팀 과장 조은아, 팀장 임광규 Tel : (02) 750-6713, 6718 Fax : (02) 750-6871 E-mail: bankans@bok.or.kr
금융안정국 금융시스템분석부 비은행분석팀 과장 최은지, 팀장 이상민 Tel : (02) 750-6748, 6847 Fax : (02) 750-6871 E-mail: boknba@bok.or.kr
공보관 : Tel : (02) 759-4038, 4135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2021년 4월 13일 공보 2021-04-15호
⠀
<붙임>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 【 2021년 1/4분기 동향 및 2/4분기 전망 】
2021. 4
본 통계는 통계법 제18조에 따른 국가승인통계(제301021호)로서 국내 금융기관들의 대출행태를 파악하여 한국은행의 정책방향 수립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
한국은행
⠀
<요약>
목차
I. 국내은행 ······································································· 1 1. 대출태도 ······················································································ 1 2. 신용위험 ······················································································ 2 3. 대출수요 ······················································································ 3
II. 비은행금융기관 ····························································· 4 1. 대출태도 ······················································································ 4 2. 신용위험 ······················································································ 5 3. 대출수요 ······················································································ 5
<참고>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개요
⠀
I 국내은행
대출태도 -3 신용위험 -7 12 대출수요 -3
0 -3 662921261592415924 6 -3 18 32 18 24 9 -12 44 12 15
<요 약>
2021년 2/4분기중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강화될 전망
신용위험은 기업 및 가계의 모든 대출에서 높아질 것으로 예상
대출수요는 대기업 대출 및 가계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감소로 전환 되는 반면, 중소기업 대출 및 가계 일반대출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대기업 2020 2021
34/4 1/4 2/43)
중소기업 2020 2021
가계주택2) 2020 2021
가계일반2) 2020 2021
국내은행 차주별 대출행태지수1)
4/4 1/4 2/43)
3 18 6 -24 -6 -18 -44 -6 -9
주: 1) + 부호는 대출태도 완화, 신용위험 증가 및 대출수요 증가를, - 부호는 그 반대를 의미 2) 가계주택 및 가계일반의 신용위험은 가계 차주의 신용위험으로서 동일한 것으로 간주 3) 전망치
II 비은행금융기관
2021년 2/4분기중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상호금융조합 등 대부분의 업권에서 강화될 전망
신용위험은 모든 업권에서 전분기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
대출수요는 신용카드회사와 상호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모든 업권
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비은행금융기관 대출행태지수1)
상호저축은행 2020 2021
4/4 1/4 2/42)
대출태도 -8 3 3 13 13 -6 -22 -21 -21 -5 -1 -1
신용위험 11 10 17 6 6 13 28 24 30 7 9 12 대출수요 21 17 23 25 19 31 5 5 9 14 8 6
주: 1) + 부호는 대출태도 완화, 신용위험 증가 및 대출수요 증가를, - 부호는 그 반대를 의미 2) 전망치
4/4 1/4 2/42)
4/4 1/4 2/42)
4/4 1/4 2/42)
신용카드회사 2020 2021
상호금융조합 2020 2021
생명보험회사 2020 2021
4/4 1/4 2/43)
4/4 1/4 2/43)
⠀
I 국내은행
1 대출태도
□ 2021년 2/4분기중 국내은행의 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대기업에 대해서 소폭 강화되는 반면,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상공인 및 중소 법인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 연장* 등을 반영하여 완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를 21.9월까지로 재연장하고 상환유예 대출에 대한 연착륙 방안 등을 마련(금융위원회, 21.3월)
□ 가계에 대한 대출태도는 감독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 움직임*, 신용위험에 대한 경계감 증대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보다 강화될 것으로 전망
* 정부는 차주단위 DSR 확대적용 등을 포함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4월중 발표할 예정(금융위원회, 21.3월)
국내은행의 차주별 대출태도지수
2018
3/4 4/4 종합1)-5-18 대기업-30 중소기업 7 -3 가계주택 -23 -47 가계일반 -3 -33
1/4 2/4
9 11 16 -5
1/4 11 00 23 -10 10
2/4 1 -10 7 -7 3
3/4 4/4 0 -19 -3 -3 12 3 -18 -24 9 -44
<가계>
1/4 2/42) 5 -2 0 -3 18 6 -6 -18 -6 -9
주: 1) 개별 은행의 차주별 대출금액으로 가중평균 2) 전망치
<기업>
2019
3/4 4/4 00 0 10 -3
2020
2021
17 23 -3 -7 -3 0
27 3 3 -23 7 -10
60 대기업 중소기업 60
30
30
-30
-60
-30
-60
0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60 가계일반 가계주택 60
30
30
-30
-60
-30
-60
0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완화
강화
1/6
⠀
2 신용위험
□ 2021년 2/4분기중 기업의 신용위험은 코로나19 영향 지속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약화, 대내외 경제여건 불확실성 등으로 특히 중소 기업을 중심으로 높아질 전망
□ 가계의 신용위험도 가계소득 개선 부진, 금리 상승 등으로 채무 상환능력 저하 우려가 증대되면서 전분기보다 큰 폭 높아질 것으로 예상
국내은행의 차주별 신용위험지수
종 합1) 대기업 중소기업 가 계
3/4 4/4 10 15 3 3 17 27 7 10
1/4 2/4 3/4 4/4 18 17 22 15 7 7 10 10 27 27 33 20 10 10 10 10
1/4 2/4 3/4 4/4 11 42 31 22 010 23 18 12 17 43 32 29 7 40 26 15
<가계>
1/4 2/42) 13 26 6 6 21 26 9 24
주: 1) 개별 은행의 차주별 대출금액으로 가중평균 2) 전망치
<기업>
2018
2019
2020
2021
60 대기업 중소기업 60
30
30
-30
-30
0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60 60
30 30
00
-30
-3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증가
감소
2/6
⠀
3 대출수요
□ 2021년 2/4분기중 기업의 대출수요는 대기업의 경우 감소로 전환 되나, 중소기업은 운전자금 수요,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유동성 확보 필요성 등으로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
□ 가계의 대출수요는 주택 거래량 둔화* 및 입주물량 감소** 등이 이어지면서 주택자금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생활자금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심리 회복 등이 가세하면서 일반대출 수요는 전분기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주택매매 거래량(한국부동산원): 20.12월 14.0만건 → 21.1월 9.1만건 → 2월 8.7만건 ** 아파트 입주물량(부동산114): 21.1/4분기 7.6만호 → 2/4분기 4.8만호
국내은행의 차주별 대출수요지수
13/4 4/4
종합1)3 6 대기업 0 -3
중소기업 10 17 가계주택 -3 -13 가계일반 7 10
1/4 2/4 3/4 4/4 1/4 2/4 3/4 4/4
1 13 13 23 19 38 33 25 -3 3 -3 -7 0-7 27 9 -3
1/4 2/42) 23 9
6 -3 32 18 9 -12 12 15
<기업>
2018
2019
13 23 17 37 -13 -3 20 10 -7 10 17 13
33 63 32 18 7 10 21 24 17 23 41 44
<가계>
2020
2021
주: 1) 개별 은행의 차주별 대출금액으로 가중평균 2) 전망치
90
60
30
대기업
중소기업
90
60
30
-30
-30
0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60 가계주택 가계일반 60
30
30
-30
-30
0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2018 2019 2020 2021
증가
감소
3/6
⠀
II 비은행금융기관
▣ 상호저축은행(2020년말 대출잔액 78조원), 신용카드회사(32조원, 카드론 기준), 상호금융조합*(513조원) 및 생명보험회사(169조원) 대상
* 농협, 새마을금고 및 신협 포함(수협 및 산림조합 제외)
⠀
1 대출태도
□ 2021년 2/4분기중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대체로 강화될 것으로 전망
o 상호금융조합은 대출 규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우려, 여신건전성 관리 등으로 대출태도 강화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 부동산 관련 가계대출 규제, 부동산업·건설업 등 여신한도 도입 논의 (상호금융정책협의회, 20.12월, 신용협동조합법 등 개정안 입법예고, 21.4월) 등
o 신용카드회사는 최근 대출 증가세가 확대*된 가운데 리스크관리 등을 위해 대출태도를 일부 강화할 것으로 예상
* 카드론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20.2/4분기 5.5 → 3/4분기 7.1 → 4/4분기 10.1 → 21.2월 9.9
o 상호저축은행 및 생명보험회사의 경우에는 대출태도가 전분기 와 유사한 수준을 보일 전망
비은행금융기관별 대출태도지수
3/4 4/4 상호저축은행 -14 -23 신용카드회사 -6 -19 상호금융조합 -33 -39 생명보험회사 -7 -14
주: 1) 전망치
2018
2019
2020
2021
4/4 1/4 2/4 3/4 4/4 1/4 -9 -4 -20 -15 -8 3 8 13 -6 6 13 13 -19 -19 -17 -22 -22 -21 -7 -4 0 1 -8 -21 -13 -5 -1
1/4 2/4 3/4 --9 -6 -2 -6 -6 -13 -29 -23 -25
2/41)
3 -6 -21 -1
4/6
⠀
2 신용위험
□ 비은행금융기관은 2021년 2/4분기중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지속,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악화 우려 등으로 모든 업권에서 신용위험 이 전분기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
비은행금융기관별 차주 신용위험지수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018
2019
2020
2021
2/41)
상호저축은행 13 20 14 18 8 7 19 28 신용카드회사313113310-25625 상호금융조합 26 33 28 27 22 25 27 31 생명보험회사 1112 15151512 1723
주: 1) 전망치
3 대출수요
25 11 10 6 666 30 28 24 26 79
17 13 30 12
□ 2021년 2/4분기중 비은행금융기관에 대한 대출수요는 모든 업권 에서 증가할 전망
o 기업의 경우 운전자금 등의 수요 증가, 가계는 생활자금 및 주거비 지출수요증가,은행신용대출규제강화* 등에따른수요이동 등에 기인
* 고액 신용대출 차주의 상환능력 심사 강화 등 가계대출 관리방안을 발표 (금융위원회, 20.11월)
o 업권별로는 전분기에 이어 신용카드회사 및 상호저축은행의 대출 수요 증가세가 두드러짐
비은행금융기관별 대출수요지수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018
2019
2020
2021
2/41)
상호저축은행 -2 -5 -9 -1 -11 -4 -6 24 신용카드회사 -6 -6 -6-25 13 8 6-13 상호금융조합 -4 -8 -7-11 -9 -8 --7 8
생명보험회사 -9 1 -5 -8 -8 9 4 5
주: 1) 전망치
17 21 17 -6 25 19 3 55 10 14 8
23 31 9 6
5/6
⠀
<참고>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개요
(2021년 1/4분기 동향 및 2/4분기 전망)
□ 실시기간 : 2021.3.15~2021.3.26일
□ 대상기관 : 총 201개 금융기관(국내은행 17개*, 상호저축은행 16개, 신용카드
회사 8개, 생명보험회사 10개 및 상호금융조합 150개)
*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한 지 3년이 경과한 가운데 대출업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어, 2020년 3/4분기부터 인터넷전문은행(2개)을 지수 산정에 포함 □ 대상자 : 대상기관의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
□ 방 법 : 전자설문 조사(상호금융조합은 우편 조사) 및 인터뷰 □내용
ᄋ 금융기관의 대출태도, 신용위험 및 대출수요에 대한 지난 3개월간(2021.1~3월) 동향 및 향후 3개월간(2021.4∼6월) 전망을 조사
□ 지수 산출
ᄋ 대출태도, 신용위험 및 대출수요에 대한 지난 분기 동향 및 다음 분기 전망을
5개 응답항목*을 통해 조사한 후 가중평균**하여 지수를 산출
* 1 크게 완화[증가] 2 다소 완화[증가] 3 변화없음 4 다소 강화[감소] 5 크게 강화[감소]
** [(‘크게 완화(증가)’ 응답 비중 × 1.0 + ‘다소 완화(증가)’ 응답 비중 × 0.5) - (‘크게 강화(감소)’ 응답 비중 × 1.0 + ‘다소 강화(감소)’ 응답 비중 × 0.5)] × 100
ᄋ 지수는 100과 -100 사이에 분포하며 지수가 양(+)이면 「
한 금융기관의 수가 「
이면 그 반대를 의미
□ 지수 공표 : 매 분기가 종료된 다음 달(1·4·7·10월)에 공표
완화(증가)」
라고 응답한 금융기관의 수보다 많음을, 음(-)
라고 응답
강화(감소)」
6/6
⠀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2월중 통화 및 유동성 보도자료 (0) | 2021.04.18 |
---|---|
'21.3월 고용동향 분석 (0) | 2021.04.18 |
2021년 3월중 금융시장 동향 (0) | 2021.04.18 |
2021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0) | 2021.04.18 |
21년 02월 경제전망보고서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