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1년 5월 12일 공보 2021-05-04호 이 자료는 5월 13일 조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5월 12일 12: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21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 국제금융시장은 일부 국가의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완화적 정책기조 지속, 바이든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 자 계획 및 양호한 미 기업실적 발표 등으로 투자심리가 개선 ᄋ 주요국 금리는 대부분 하락하고 주가는 상당폭 상승하였으며 달러 화는 약세를 나타냄 ▣ 국내 외환부문은 안정세를 지속 ᄋ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스왑레이트가 소폭 상승 ᄋ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채권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주식자금도 순 유입으로 전환 ᄋ 단기 외화차입 가산금리 및 CDS 프리미엄이 하락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문의처 : 국제국 국제총괄팀 과장 이재영(759-5742) 외환시장팀 과장 김대석(759-5960) (원/달러 환율 관련) Fax. (02) 759-5736 E-mail. ifpteam@bok.or.kr 공보관 : Tel. (02) 759-4038, 4015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선진국 신흥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한국 ■중국 ■인도 ■인니 ■ 브라질 ■ 멕시코 ■ 러시아 ■ 터키 19년 20년 1.92 0.91 -0.01 0.02 -0.19 -0.57 0.82 0.20 1.67 1.72 3.14 3.15 6.56 5.87 7.06 5.89 6.79 6.91 6.91 5.55 6.41 6.27 11.86 12.51 9.03 8.75 21.3월(A) 1.74 0.10 -0.29 0.85 2.06 3.19 6.17 6.78 9.28 6.84 7.23 18.05 9.50 4월 5.10일 (B) 1.63 1.60 0.10 0.09 -0.20 -0.21 0.84 0.79 2.13 2.14 3.16 3.14 6.03 6.01 6.46 6.40 9.12 9.25 6.91 6.77 7.21 7.14 17.71 17.32 9.29 8.98 B-A(%p) -0.14 -0.01 0.08 -0.06 0.08 -0.05 -0.16 -0.38 -0.03 -0.07 -0.09 -0.73 -0.52 2021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I. 국제금융시장 동향 1금리 □ 주요 선진국 금리(국채 10년물)는 대부분 하락 ᄋ미국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완화적 정책기조 지속 등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으며, 5월중 미 경제지표 예상치 하회** 등으로 하락폭이 확대 * 시장기대인플레이션(Break-evenInflation,미국채10년물):3월말2.37%→5.10일2.53% ** 비농업부문 고용증감(만명) : 3월 77.0 → 4월 26.6(예상 100.0) ᄋ독일은백신접종확대* 등에따른경제회복기대강화등으로상승 * 백신 접종률(%, 1회 이상 기준, Our World in Data) : 3월말 11.9 → 5.7일 32.1 □ 신흥국 금리도 대부분 하락한 가운데 터키는 통화정책 불확실성 완 화*, 남아공은 국채발행 규모 축소** 등이 가세하며 큰 폭 하락 * 샤합 신임 총재,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4.1일). 터키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금리(19%)를 동결(4.15일, 5.6일) ** 남아공 재무부, 세입증가 등으로 매주 일정 규모로 진행하는 국채입찰 금액을 축소(3.30일 –26억란드화, 5.11일 –9억란드화) ᄋ 러시아, 브라질은 긴축적 통화정책회의 결과* 등으로 하락폭이 제한 * 러시아(4.23일) 및 브라질(5.6일) 중앙은행, 정책금리를 각각 50bp 및 75bp 인상하고 향후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 주요국 국채금리(10년) (기말 기준, %) ■ 남아공 자료: Bloomberg - 1/9 - 2주가 □ 선진국 주가는 미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 양호한 기업실적**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상승(4.1~5.10일중 +5.3%, MSCI 선진국 기준) * 바이든 대통령, 4조달러 규모의 물적·인적 인프라 투자 계획(American Jobs·Families Plan)을 발표(3.31일, 4.28일) ** 21.1/4분기 실적을 발표한 451개 기업중 392개 기업(86.9%)의 당기순이익이 시장 예상을 상회(S&P500 지수 기준, Bloomberg, 5.10일) ᄋ 다만 일본은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상승폭이 제한 * 일평균 신규 확진자수(천명, WHO) : 3월중 1.3 → 4월중 3.8 → 5.1~10일중 5.3 □ 신흥국 주가도 상승(4.1~5.10일중 +2.3%, MSCI 신흥국 기준) ᄋ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는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오름세 등 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 * 국제유가(WTI선물, 배럴/달러) : 3월말 59.2 → 4월말 63.6 → 5.10일 64.9 ** 원자재 가격(CRB) 지수 : 3월말 185.0 → 4월말 199.8 → 5.10일 206.2 ᄋ 반면 중국은 미·중 갈등*, 인도네시아는 경제회복 둔화 우려** 등으로 하락 (기말 기준) 20년 21.3월(A) 4월 5.10일(B) B-A 선 국 ■ 독일 DAX ■ 영국 FTSE100 ■ MSCI 지수 ■ 한국 KOSPI ■ 중국 SHCOMP * 미 상원 외교위원회, 중국의 전략적 무기 감시 및 신장 지역의 인권유린에 대한 대응 등의 내용이 포함된 ‘2021 전략적 경쟁법’을 가결(4.21일)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이동제한조치 등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금년 경제 성장률 전망 범위를 하향 조정(4.3~5.3% → 4.1~5.1%, 4.20일) 19년 2,358 28,538 23,657 13,249 7,542 1,115 2,198 3,050 국 ■ 멕시코 BOLSA ■ 러시아 MOEX ■ 터키 ISE100 ■ 남아공 ALSH ■VIX지수 13.8 주: 1) VIX 지수는 변동폭 자료: Bloomberg 변동률1)(%) 2,962 +5.3 34,743 +5.3 29,518 +1.2 15,400 +2.6 7,124 +6.1 1,346 +2.3 3,249 +6.1 3,428 -0.4 49,502 -0.0 5,976 -0.2 121,909 +4.5 49,867 +5.5 3,695 +4.3 1,461 +5.0 68,377 +2.8 19.7 +0.3 ■ MSCI 지수 ■ 미국 DJIA 진 ■ 일본 Nikkei225 2,690 30,606 27,444 13,719 6,461 1,291 2,873 3,473 47,751 5,979 119,017 44,067 3,289 1,477 59,409 22.8 2,812 32,982 29,179 15,008 6,714 1,316 3,061 3,442 49,509 5,986 116,634 47,246 3,542 1,392 66,485 19.4 2,939 33,875 28,813 15,136 6,970 1,348 3,148 3,447 48,782 5,996 118,894 48,010 3,544 1,398 66,937 18.6 신 ■ 인도 SENSEX 흥 41,254 6,300 ■ 브라질 BOVESPA 115,645 ■ 인니 IDX 43,541 3,046 1,144 57,084 주요국 주가 - 2/9 - 3환율 □미달러화는연준의완화적통화정책지속기대* 및미국채금리 하락,유럽지역백신접종확대및경제지표호조** 등에따른유 로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약세(4.1~5.10일중 –3.2%, DXY 지수 기준) * 미 연준은 FOMC에서 기존의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 파월 의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아직 테이퍼링에 대해 논의할 때가 아니라고 언급(4.28일) ** 독일 소매판매(전월대비, %) : 2월 2.7 → 3월 7.7(예상 3.0) □ 신흥국 통화는 상당폭 강세(4.1~5.10일중 +2.9%, JPM 지수 기준) ᄋ 브라질 헤알화는 외국인 주식투자자금 유입*, 남아공 란드화는 경제지표 호조** 등으로 큰 폭 강세 * 외국인 주식자금 일평균 증감(억달러, IIF) : 3월 –0.36 → 4월 +0.65 ** 무역수지(억란드화) : 2월 312.2 → 3월 527.7(예상 250.0) ᄋ 반면 터키 리라화는 지정학적 갈등*, 인도 루피화는 코로나19 재 확산 심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약세 * 바이든 대통령, 1차 세계대전중 발생한 오스만 제국(터키의 전신)의 아르 메니아인 학살을 집단 학살(genocide)로 공식 인정(4.24일) ** 일평균 신규 확진자수(만명, WHO) : 3월중 3.4 → 4월중 22.0 → 5.1~10일중 39.0 선진국 신흥국 19년 96.4 20년 89.9 111.6 103.3 1.222 1.367 57.9 1,086.3 6.541 73.04 13,912 5.194 19.91 74.19 7.430 14.67 21.3월(A) 93.2 114.1 110.8 1.173 1.378 56.1 1,131.8 6.552 73.11 14,571 5.635 20.43 75.54 8.249 14.76 4월 91.3 112.4 109.3 108.8 +1.8 1.202 1.214 +3.5 1.382 1.413 +2.5 56.9 57.7 +2.9 1,112.3 1,113.8 +1.6 6.467 6.411 +2.2 74.09 73.32 -0.3 14,420 14,106 +3.3 5.438 5.228 +7.8 20.25 19.95 +2.4 75.13 74.19 +1.8 8.273 8.267 -0.2 14.48 14.01 +5.3 ■ 미 달러 (DXY)2) (연준 지수)3) 5.10일(B) 변화율1)(%) 90.2 -3.2 114.7 ■일본엔 108.7 111.35) -2.5 ■ 유로 ■영국파운드 ■ JPM지수 ■ 한국 원 ■ 중국 위안4) ■ 인도 루피 ■인니루피아 ■브라질헤알 ■멕시코페소 ■러시아루블 ■ 터키 리라 ■남아공란드 1.122 1.325 61.4 1,156.4 6.960 71.34 13,850 4.020 18.93 62.04 5.950 13.98 주요국 환율 (기말 기준) B-A 주: 1) 미 달러화는 지수 기준, 여타 통화는 미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변화율[강세(+)·약세(-)] 2) 주요 6개국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상 지수 3) 미 연준 작성 주요 26개 교역국 통화 대상 지수(broad) 4) 역내시장 기준(CNY) 5) Fed의 지연고시로 5.7일 기준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 3/9 - II. 국내 외환시장 동향 1 원화환율 □ 4월중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의 국내주식 배당금 환전수요에도 불구 하고 미 달러화 약세, 우리나라 경제지표 호조* 등의 영향으로 하락 * 韓 GDP 성장률(전분기대비) : 20.4분기 1.2% → 21.1분기 1.6%(예상 1.1%) 韓 수출액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2월 9.2% → 3월 16.5%→ 4월 41.1%(11.1월 이후 최고치) 韓 경상수지 : 1월 70.6억달러 → 2월 79.4억달러 → 3월 78.2억달러(11개월 연속 흑자) ᄋ 5월 들어서는 美 조기 tapering 우려 등으로 상당폭 상승하였다가 4월 美 비농업부문 고용자수의 예상치 큰 폭 하회에 따른 연준의 완화기조 지속 기대 등으로 하락 ᄋ 원/엔 환율 및 원/위안 환율은 소폭 상승 원화 환율1) 19년 20년 21.3월(A) 4.29일 4월 5.6일 5.10일(B) 변화율2)(%) 주요 ■ 원/달러 1,156.4 1,086.3 1,131.8 1,108.2 1,112.3 1,125.8 1,113.8 +1.6 ■ 원/100엔 1,059.6 1,051.1 1,022.1 1,019.3 1,022.4 1,029.7 1,023.1 -0.1 환율 ■ 원/위안 165.60 167.02 172.17 171.40 171.98 173.78 173.48 -0.8 주: 1) 원/달러, 원/위안 환율은 서울외환시장 은행간 거래의 종가 기준, 원/100엔 환율은 하나은행 고시 매매기준율(15:30분) 기준 2) (B-A) 기간중 미달러화, 엔화(100엔) 및 위안화 대비 원화가치 변화율[(+)강세 · (-)약세] 자료: ECOS 주: 1) 미국은 달러화지수(DXY) 기준, 여타 국가는 미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변화율[(+)강세· (-)약세] 2) 유로화·엔화·파운드화는 뉴욕시장 16:30분 기준(Reuters) 3) 위안화는 역외시장 기준(CNH)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원화 환율 주요국 통화가치 변화율1)2)3) - 4/9 - (%) -3 -3.2 -6 -9 -12 21.3월중 1.8 2.5 7.8 6 3 0 5.3 21.4.1~21.5.10일중 1.6 1.8 2.4 2.4 -0.3 -0.2 국 일 영국 유로 인 터키 한국 러 중국 시코 인 남아 라 도 시아 니공질 3.5 3.3 (기말기준, 원) B-A 브 멕 본 미 2 원/달러 환율 변동성 □ 4월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대비 변동률은 전월에 비해 축소 ■ 전일 대비 0.86 ■ 기간중 표준편차 자료: ECOS 0.28 0.35 원/달러 환율 변동성 주요국 통화의 환율 변동성1) (%) 변동폭 변동률 3.2 0.9 0.6 0.3 0.0 21.4월중 0.32 0.13 국 유로 일 영국 중국 인 한국 인 러 라 니 도시아질 (기간중 평균, 원, %) 21.2월 3월 4월 4.1 3.5 0.37 0.31 0.28 1.5 1.2 주: 1) 전일대비 변동률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6.8 5.2 5.9 3 원/달러 스왑레이트 및 통화스왑금리 □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기관투자자(해외투자)의 외화자금수요 등 에도 불구하고 국내은행(여유 외화자금 운용) 및 외국인(금리차익거래)의 외화자금공급 등으로 소폭 상승 ᄋ 통화스왑금리(3년)는 기관투자자(해외투자)의 장기 외화자금수요, 수출기업의 선물환 매도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부채스왑*) 및 외 국인(금리차익거래)의 외화자금공급 등으로 소폭 상승 * 외화채권 발행 등으로 조달한 외화자금을 CRS Pay(Sell&Buy)를 통해 원화로 환전 ■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 ■ 통화스왑금리(3년) 자료: 한국자금중개, Tullett Prebon 19년 20년 21.3월(A) -0.92 -0.04 0.00 0.72 0.31 0.39 (기말 기준, %) 4월 5.10일(B) -0.02 0.02 +2bp 0.42 0.44 +5bp 원/달러 스왑레이트 및 통화스왑금리 - 5/9 - 21.3월중 0.24 0.24 0.24 0.19 0.60 브 미 본 B-A(%p) 4 은행간 외환거래 규모 □ 4월중 국내 은행간시장의 일평균 외환거래 규모*는 264.2억달러로 전월(286.8억달러)에 비해 22.6억달러 감소 * 외국환중개회사 경유분 기준 ᄋ 외환스왑(-12.8억달러) 거래 규모 감소에 주로 기인 은행간 외환거래 규모1)2) 19년 ◾현물환 92.2 (원/달러) 69.1 (원/위안) 23.1 ◾선물환 6.2 ◾ 외환스왑 138.6 ◾ 기타파생상품3) 25.1 ◾합 계 262.2 주 : 1) 외국환중개회사 경유 기준 3) 통화스왑, 옵션 등 20년 21년p 97.3 108.7 74.9 90.3 22.4 18.4 6.0 5.6 129.9 140.7 24.4 23.5 257.6 278.6 (기간중 일평균, 억달러) 4월p ◾전 체 (주 식2)) (채 권3)) 주: 1) 결제일 기준 19년 20년 12월 21년 1월 101.6 34.7 -23.6 141.5 -10.7 20.0 -182.4 -21.9 -72.4 -23.9 81.6 217.1 -1.7 213.9 13.2 (기간중, 억달러) 2월 3월 4월 61.2 57.7 33.3 -28.6 -25.8 5.9 89.9 83.5 27.4 2) ( )내는 전월 대비 증감액, p는 잠정치 5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 4월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주식, 채권자금 모두 순유입 ᄋ 주식자금은 차익실현성 매도세 축소, 국내외 경기 회복 기대 등의 영향으로 순유입 전환 ᄋ 채권자금은 공공자금을 중심으로 유입규모가 축소 외국인 증권투자자금1) 2) 상장주식(KOSPI·KOSDAQ)의 장내·외거래 및 기업공개(IPO) 포함(단, ETF·ELW·ETN 등은 제외) 3) 상장채권 장내.외거래 기준(RP 거래 및 만기도래분 반영) - 6/9 - 2월 3월 106.8 108.8 90.0 88.8 16.7 20.1 5.8 6.3 140.8 145.8 25.5 25.9 278.8 286.8 107.2 (-1.6) 90.6 (+1.8) 16.6 (-3.4) 3.5 (-2.8) 133.0 (-12.8) 20.4 (-5.5) 264.2 (-22.6) 6 대외 외화차입여건 □ 4월중 국내은행의 단기 차입 가산금리와 외평채 CDS 프리미엄은 전월대비 하락 ᄋ 다만 중장기 차입 가산금리는 차입기간 장기화 등으로 전월대비 상승 ◾ 대외차입 가산금리1)2) <단 기 3)> <중장기4)> ◾ 외평채 CDS 프리미엄5) 2 3 1 19년 3 (131) 53 (3.5) 31 (기간중 평균, bp) 1월 2월 3월 4월 21 2 3 (140) (144) (109) (157) (145) (161) 대외 외화차입여건 20년 21년 71 21 24 (3.8) (4.6) (5.3) 27 23 25 20 14 26 (3.3) (3.5) (5.9) 23 22 21 주: 1)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기업·산업·수출입 등 8개 국내은행 기준 2) 국내 금융기관간 차입 및 본지점 차입은 집계대상에서 제외 3) Libor 대비, 만기 1년 이하 차입금액 가중평균(O/N 제외), ( )내는 가중평균 차입기간(일) 4) Libor 대비, 만기 1년 초과 차입금액 가중평균(20년 이후 RP 포함), ( )내는 가중평균 차입기간(년) 5) 5년물 기준 (자료: Bloomberg, CMA Datavision) - 7/9 - <참고 1> 미국(10년) 미국(2년) Libor(3개월) 일본(10년) 독일(10년) 영국(10년) 이탈리아(10년) 그리스(10년) 한국(10년) 중국(10년) 인도(10년) 인니(10년) 브라질(10년) 러시아(10년) EMBI+ Spread 미국(DJIA) 28,538 일본(Nikkei225) 23,657 독일(DAX) 13,249 영국(FTSE100) 7,542 한국(KOSPI) 2,198 중국(SHCOMP) 3,050 인도(SENSEX) 41,254 인니(IDX) 6,300 브라질(BOVESPA) 115,645 DXY지수 금 리 -0.01 -0.19 0.82 1.41 1.47 1.67 3.14 6.56 7.06 6.79 6.41 298 환 율 유로화 영국파운드화 국제금융시장 주요 지표 19년말 20년말 21.3월말 4월말 5.10일 최근 1년간 최고치 1.92 1.57 1.91 0.91 0.12 0.24 0.02 -0.57 0.20 0.54 0.63 1.72 3.15 5.87 5.89 6.91 6.27 338 30,606 27,444 13,719 6,461 2,873 3,473 47,751 5,979 119,017 3,289 22.8 89.9 111.6 103.3 1.222 1.367 1,086.3 6.541 73.04 13,912 5.194 74.19 48.5 1,898.4 1.74 0.16 0.19 0.10 -0.29 0.85 0.67 0.87 2.06 3.19 6.17 6.78 9.28 7.23 370 32,982 29,179 15,008 6,714 3,061 3,442 49,509 5,986 116,634 3,542 19.4 93.2 114.1 110.8 1.173 1.378 1,131.8 6.552 73.11 14,571 5.635 75.54 59.2 1,707.7 1.63 0.16 0.18 0.10 -0.20 0.84 0.90 0.99 2.13 3.16 6.03 6.46 9.12 7.21 360 33,875 28,813 15,136 6,970 3,148 3,447 48,782 5,996 118,894 3,544 18.6 91.3 112.4 109.3 1.202 1.382 1,112.3 6.467 74.09 14,420 5.438 75.13 63.6 1,769.1 1.60 0.15 0.16 0.09 -0.21 0.79 0.93 0.99 2.14 3.14 6.01 6.40 9.25 7.14 350 34,743 29,518 15,400 7,124 3,249 3,428 49,502 5,976 121,909 3,695 19.7 90.2 111.31) 108.8 1.214 1.413 1,113.8 6.411 73.32 14,106 5.228 74.19 64.9 1,836.1 1.74 0.23 0.43 0.16 -0.19 0.88 1.89 2.19 2.16 3.36 6.25 8.10 9.62 7.46 521 34,778 30,468 15,460 7,130 3,249 3,696 52,154 6,435 125,077 3,695 40.8 100.5 124.0 110.8 1.232 1.414 1,244.2 7.158 76.17 14,986 5.887 80.58 66.1 2,063.5 최저치 0.51 0.10 0.16 -0.01 -0.64 0.08 0.46 0.56 1.28 2.58 5.75 5.89 6.56 5.59 337 23,248 19,915 10,337 5,577 1,922 2,814 30,029 4,508 77,557 2,590 16.3 89.4 111.1 102.7 1.080 1.211 1,082.1 6.411 72.32 13,879 4.819 68.37 24.1 1,683.5 주 가 3,046 13.8 96.4 114.7 108.7 1.122 1.325 한국원화 1,156.4 중국위안화 6.960 인도루피화 71.34 인니루피아화 13,850 브라질헤알화 4.020 러시아루블화 62.04 러시아(MOEX) VIX 미달 러화 연준지수 일본엔화 기 WTI유(U$/bbl) 61.1 타 금(U$/oz) 1,517.3 주: 1) 5.7일 기준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 8/9 - <참고 2> 2019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1년 1월 2월 3월 4월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추이 (기간중, 억달러) 주식 채권 합계 20.0 81.6 101.6 33.4 -32.3 1.2 15.1 -1.9 13.2 0.2 13.1 13.3 22.4 4.8 27.3 -25.8 60.4 34.6 2.2 45.6 47.8 17.4 -3.1 14.3 -19.5 14.3 -5.2 -7.4 10.7 3.3 -0.3 -5.5 -5.9 -24.4 -15.2 -39.6 6.6 -9.3 -2.7 -182.4 217.1 34.7 3.7 40.6 44.3 -26.6 3.1 -23.5 -110.4 36.6 -73.7 -43.2 58.2 15.0 -32.7 21.0 -11.7 -4.4 29.2 24.8 13.9 30.1 43.9 -8.9 6.7 -2.2 -20.8 -0.1 -20.9 13.8 -2.3 11.5 55.2 -4.5 50.7 -21.9 -1.7 -23.6 -72.4 213.9 141.5 -23.9 13.2 -10.7 -28.6 89.9 61.2 -25.8 83.5 57.7 5.9 27.4 33.3 - 9/9 -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4월중 금융시장 동향 (0) | 2021.05.15 |
---|---|
21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 (0) | 2021.05.15 |
2021년 5월 재정증권 2.0조원 발행 (0) | 2021.05.08 |
CDS 프리미엄 (0) | 2021.05.08 |
'21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0) | 202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