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News

21년 7월 국내외 경제동향

no1_guru 2021. 7. 18. 09:00
728x90
반응형

 

 

더보기

 

 

1. 주요국 경제동향 □ (미국)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 □ (유로지역) 백신접종 확대 등으로 개선흐름이 점차 빨라지는 모습 □ (중국)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 □ (일본) 경기회복세가 미약한 모습 주요국 경제지표 2019 2020 연간 2/4 3/4 4/4 (전기대비, %) 2021 4월 5월6) 6.4 --- GDP(연율) 2.2 산업생산 -0.8 소매판매 3.3 자본재수주1) -0.1 미국 주택가격(기존)2) 4.9 취업자수(천명)3) 실업률(%) GDP 1.3 산업생산 -1.3 -3.5 -31.4 33.4 -7.2 -12.9 9.6 0.5 -7.3 14.2 1.1 -4.8 9.3 9.4 4.1 11.7 -8,720 -18,201 7,195 4.3 2.0 0.4 4.5 14.2 1,759 6.7 -0.6 4.3 -1.3 7.1 6.9 8.1 6.5 7.1 4.6 2.9 16.6 2.8 5.7 0.2 12.9 12.3 0 0.9 8.0 2.9 15.1 736 [1,643] 1.1 -1.4 4.1 2.5 8.4 18.3 24.5 33.9 25.6 48.9 [30.8] -1.0 2.9 0.4 -5.3 4.2 2.4 -3.3 수출(통관기준) 2.8 실업률 7.6 GDP 6.0 산업생산 5.7 8.0 고정투자4) 5.4 0.5 수출(통관기준) GDP 0.0 산업생산 -3.0 0.5 0.6 -1.0 4.0 -3.9 4.6 2.9 4.5 -2.2 2.8 -2.3 .. 8.1 8.1 7.9 - - - 14.1 9.8 8.8 34.2 17.7 12.4 25.6 19.9 15.4 30.6 32.3 27.9 [32.2] - - - 1.7 2.9 -6.5 1.2 -4.6 -0.4 3.7 0.6 7.8 6.5 2.2 0.0 유로 소매판매 지역 자본재수주 중국2) 소매판매 0.1 민간기계수주액5) -0.7 수출(통관기준) -5.6 일본 소매판매 1,996 3.7 0.1 0.8 0.9 -1.3 2.7 0.1 18.8 23.6 269 583 [850] 연간 8.1 -6.5 -8.6 -0.8 -12.7 -9.2 7.9 2.3 2.8 -3.9 2.9 3.6 -4.7 -10.4 -3.2 -8.4 -11.1 13.0 8.8 -11.5 12.6 -15.9 16.2 -4.7 10.4 -24.3 23.6 -22.9 19.0 7.4 8.5 3.2 4.9 4.4 5.8 -4.0 0.9 -3.1 0.8 -0.2 8.4 -8.1 5.3 -16.8 9.0 -7.0 8.2 -10.4 -0.3 -21.6 16.8 6.2 [5.9] 6.1 5.8 [5.9] 2.6 11.3 1.6 16.2 785 6.0 -0.3 --- 주: 1) 항공기 및 국방관련 자본재 제외 3) 비농업 임금근로자 기준, 증감 6) [ ] 내는 21.2/4분기 및 21.6월 기준 2) 전년동기대비 4) 연간누계기준 5) 선박, 전력 제외 -1- 1/46) 3월 2. 국제유가 □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70달러 초반 수준으로 상승 ᄋ 글로벌 원유 수요는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원유 공급이 더디게 증가*하면서 수급불균형이 지속 *OPEC+의 증산 확대가 지연되고 있으며 이란의 원유 수출 재개도 핵합의 지연으로 불확실한 상황 국제유가1) 주: 1) 현물가격 기준 자료: Bloomberg, Reuters 국제유가1) 추이 2018 2019 2020 (기간중 평균, 달러/배럴) 2021 7월2) 1~14일 14일 Dubai Brent WTI 69.3 63.2 42.2 71.2 64.2 42.0 65.2 57.0 39.2 4월 5월 6월 62.4 66.0 71.0 64.8 68.5 73.2 61.7 65.2 71.4 74.0 (6.7) 75.1 76.5 (7.4) 75.7 74.1 (6.3) 73.1 <2.9> <-1.6> <-0.6> 주: 1) 현물가격 기준 2) ( )내는 전월 동기간 평균대비, < >내는 전월 말일대비 등락률(%) 자료: Bloomberg, Reuters -2- II. 국내경제 1. 내수 및 대외거래 ◆ 소매판매 및 투자 감소, 수출 증가 □ 5월중 소매판매는 내구재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가 줄면서 전월대비 1.8% 감소 ᄋ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줄면서 3.5% 감소 ᄋ 건설기성은 건물과 토목이 모두 줄면서 4.1% 감소 □ 6월중 수출(548억달러, 통관기준)은 반도체, 자동차, 화공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9.7% 증가 ᄋ 5월중 경상수지(107.6억달러)는 전년동월(22.4억달러)에 비해 흑자 규모가 크게 확대 2019 2020 연간 연간 3/4 소매판매액 2.4 -0.2 -1.1 (전년동기대비) - - 1.6 설비투자지수 -5.7 6.0 2.2 (전년동기대비) - - 7.7 건설기성액 -2.3 -4.1 -2.8 (전년동기대비) - - -4.2 수 출1) -10.4 -5.5 -3.5 수 입1) -6.0 -7.1 -8.7 경상수지(억달러)2) 596.8 752.8 240.0 (S.A., 전기대비, %) 2021 2/4 4월 5월 6월 내수 및 대외거래 관련지표 4/4 5월 1/4 0.9 3.5 1.7 -1.2 1.7 6.4 0.8 -5.7 6.9 2.8 2.6 11.9 2.5 -3.1 -3.6 -5.3 -7.4 -7.2 4.1 -23.7 12.5 -1.7 -20.5 12.1 322.4 22.4 228.2 .. .. .. .. .. .. 2.1 -1.8 .. 8.7 3.1 .. 3.8 -3.5 .. 17.1 11.0 .. -2.2 -4.1 .. -3.2 -7.6 .. 42.1 41.2 45.6 39.7 37.4 33.9 37.9 40.7 .. 19.1 107.6 .. 주: 1) 통관기준(원계열),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2) 원계열 기준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관세청, 한국은행 -3- 2. 생산활동 및 고용 ◆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감소, 취업자수 증가 □ 5월중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 등이 늘었으나 자동차, 기계장비 등이 줄면서 전월대비 1.0% 감소 금융‧ □ 6월중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58.2만명 늘어 큰 폭의 증가세 지속 ᄋ 전월대비(계절조정)로는 1.8만명 증가 ᄋ 실업률(계절조정)은 3.7%로 전월(3.8%)에 비해 소폭 하락 생산 및 고용 관련지표 (S.A., 전기대비, %) 2019 2020 2021 □ 5월중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 음식, 정보통신업 등이 늘었으나 보험, 도소매 등이 줄면서 0.2% 감소 연간 연간 3/4 제조업 생산 0.5 -0.3 6.4 (전년동기대비) - - 0.4 평균가동률 73.2 71.3 71.5 서비스업 생산 1.4 -2.0 2.0 (전년동기대비) - - -1.7 취업자수 증감(만명)1) 30.1 -21.8 -31.4 (전기대비) - - 16.4 실업률(S.A.) 3.8 4.0 3.8 4/4 5월 3.1 -7.9 -0.1 -11.0 73.8 63.2 0.9 2.0 -2.0 -4.0 -44.1 -39.2 2.7 14.0 1/4 2/4 4월 5월 6월 4.3 4.3 2.6 40.3 6.8 10.1 1.8 4.4 3.7 3.7 3.8 3.7 3.4 .. 4.4 .. 75.1 .. 0.7 .. -1.6 -1.0 .. 13.2 16.0 .. 73.8 73.8 .. 0.2 -0.2 .. 8.3 4.4 .. 2.2 .. -38.0 61.8 65.2 61.9 58.2 주: 1) 전년동기대비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경제활동인구조사」 -4- 3. 물가 및 부동산가격 ◆ 소비자물가 및 부동산가격 오름세 지속 □ 6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은 2.4%로 전월(2.6%)에 이어 2%를 상회 ᄋ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가격의 오름폭이 전월에 비해 다소 축소되었으나 서비스물가의 오름폭은 소폭 확대 ᄋ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은 전월 수준(1.2%)을 유지 □ 5월중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며 전월대비 1.0% 상승 ᄋ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대비 0.5% 상승 물가 및 부동산가격 (전년동기대비, %) 소비자물가1)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1) 아파트 매매가격2) 아파트 전세가격2) 2019 2020 2021 연간 연간 3/4 4/4 6월 1/4 2/4 4월 5월 6월 0.4 0.5 0.6 0.4 0.0 1.1 2.5 2.3 2.6 2.4 - 0.7 - -1.4 -1.8 - (0.6) (0.1) (0.2) (1.2) (0.5) (0.2) (0.1) (-0.1) 0.4 0.4 0.2 0.2 0.4 1.1 1.1 1.2 1.2 - (0.4) (-0.3) (0.0) (0.6) (0.4) (0.2) (0.2) 7.6 2.1 2.5 0.6 3.6 .. 1.0 7.3 2.0 3.3 0.4 2.8 .. 0.5 (0.0) 1.0 .. 0.5 .. 주:1)( )내는전기대비상승률 2) 해당기 말월의 전기말월대비 상승률 자료: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5- III. 종합의견 □ 최근 국내경제는 양호한 회복세를 지속하였음 ᄋ 수출과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세 강화 등에 힘입어 호조를 지속 ᄋ 민간소비는 백신접종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점차 회복 □ 금년중 성장률은 지난 5월 전망수준(4.0%)에 대체로 부합할 것 으로 예상 ᄋ 향후 성장경로 상에는 감염병 전개양상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백신접종 확대 등에 따른 소비개선세 강화, 국내외 추가 경기부양책 등은 상방 리스크로, 감염병 확산 지속에 따른 소비개선 지연, 일부 제조업의 생산 차질 지속 등은 하방 리스크로 잠재 ᄋ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대 초중반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 ᄋ 경상수지는 흑자기조를 이어갈 전망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