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9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2021년 10월 14일 공보 2021-10-04호 이 자료는 10월 15일 조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10월 14일 12: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21년 9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움직임, 중국 부 동산 기업 부실화 우려 등으로 위험회피심리가 강화 ᄋ 주요국 금리가 상승하고 주가는 대체로 하락하였으며 미 달러화는 강세를 나타냄 ▣ 국내 외환부문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였으나 외국인 국내 증권투 자자금은 순유입되는 등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 ᄋ 원/달러 환율 및 스왑레이트가 상승 ᄋ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의 경우 주식자금이 순유입으로 전환되고 채권 자금 순유입 규모가 확대 ᄋ 단기 외화차입 가산금리 및 CDS 프리미엄은 낮은 수준을 지속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문의처 : 국제국 국제총괄팀 과장 권나은(759-5749), 팀장 채희권(5737) 외환시장팀 과장 이재영(5740), 팀장 송대근(5967) (원/달러 환율 관련) Fax. (02) 759-5736 E-mail. ifpteam@bok.or.kr 공보관 : Tel. (02) 759-4038, 4015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선진국 신흥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한국 ■중국 ■인도 ■인니 ■ 브라질 ■ 멕시코 ■ 러시아 ■ 터키 19년 20년 1.92 0.91 -0.01 0.02 -0.19 -0.57 0.82 0.20 1.67 1.72 3.14 3.15 6.56 5.87 7.06 5.89 6.79 6.91 6.91 5.55 6.41 6.27 11.86 12.51 9.03 8.75 21.8월 (A) 9월 1.31 1.49 0.03 0.07 -0.38 -0.20 0.71 1.02 1.91 2.24 2.85 2.88 6.22 6.22 6.06 6.26 10.50 11.11 6.99 7.38 7.10 7.42 16.47 17.71 9.11 9.60 ■ 남아공 자료: Bloomberg 2021년 9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I. 국제금융시장 동향 1금리 □ 주요 선진국 금리(국채 10년물)는 상승 ᄋ미국은 글로벌 공급병목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확대 우려, 연준 의테이퍼링가시화* 등으로큰폭상승 * 파월 연준 의장은 22년 중반경 테이퍼링 종료 가능성을 언급(9.22일) ᄋ영국은 영란은행의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증대* 등으로 큰 폭 상승 *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통화정책 대응은 금리인 상이며, 필요시 자산매입한도 소진 이전에 금리인상이 가능하다고 언급(9.27일) □ 신흥국 금리는 선진국 금리 상승 영향,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상승 ᄋ 터키는 예상외 정책금리 인하*(19% → 18%, 9.23일)에 따른 인플레이 션 우려 등으로 큰 폭 상승 * 시장의 동결 예상(96%, 9월 Bloomberg 서베이)에도 불구하고 근원물가 상승압력이 낮은 점 등을 이유로 정책금리를 인하 ᄋ 남아공은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브라질·멕시코·러시아는 정 책금리 인상** 등으로 상승 * CPI 상승률(%, 전년동월대비) : 7월 4.6 → 8월 4.9 ** 브라질 +100bp(9.22일), 멕시코 +25bp(9.30일), 러시아 +25bp(9.10일) 주요국 국채금리(10년) (기말 기준, %) 10.12일 (B) B-A(%p) 1.58 0.27 0.09 0.06 -0.09 0.29 1.15 0.44 2.43 0.52 2.97 0.12 6.33 0.11 6.23 0.17 11.00 0.50 7.47 0.48 7.59 0.49 18.48 2.01 9.89 0.78 - 1/10 - 2주가 □ 선진국 주가는 하락(9.1~10.12일중 -3.7%, MSCI 선진국 기준) ᄋ 미국은 hawkish한 9월 FOMC 결과, 중국 헝다그룹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 ᄋ 일본은 차기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기대 등으로 큰 폭 상승하였 다가 중국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 등으로 상승폭을 축소 □ 신흥국 주가는 하락(9.1~10.12일중 -4.2%, MSCI 신흥국 기준) ᄋ 브라질은 정치불안*, 멕시코는 非시장친화적 정책** 추진 등으로 하락 * 물가급등·코로나19 부실 대응 등에 따른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10.2일) 등이 발생 ** 정부가 국영기업의 영향력을 높이는 전력개혁법# 시행을 위한 헌법 개정 안을 발표(9.30일)한 가운데 이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증대(Reuters, 10.2일) # 21.3월 공표되었으나, 연방법원이 독점 등을 이유로 효력 중지를 명령 ᄋ 반면 러시아는 유가 오름세 지속* 등으로, 인도‧인도네시아는 외국인 19년 2,358 28,538 23,657 13,249 7,542 1,115 2,198 3,050 (기말 기준) 20년 21.8월(A) 9월 10.12일(B) B-A 선 국 ■ 독일 DAX ■ 영국 FTSE100 ■ MSCI 지수 ■ 한국 KOSPI ■ 중국 SHCOMP 주식자금 유입** 등으로 상승 * WTI선물(배럴/달러): 8월말 68.5 → 9월말 75.0 → 10.12일 80.6 **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억달러, 자료 IIF): 인도 8월10.1→9월11.4,인도네시아 8월3.1→9월3.1 ■ MSCI 지수 ■ 미국 DJIA 진 ■ 일본 Nikkei225 2,690 30,606 27,444 13,719 6,461 1,291 2,873 3,473 47,751 5,979 119,017 44,067 3,289 1,477 59,409 3,141 35,361 28,090 15,835 7,120 1,309 3,199 3,544 57,552 6,150 118,781 53,305 3,919 1,472 67,428 3,007 33,844 29,453 15,261 7,086 1,253 3,069 3,568 59,126 6,287 110,979 51,386 4,104 1,406 64,282 변동률(%) 3,025 -3.7 34,378 -2.8 28,231 +0.5 15,147 -4.3 7,130 +0.1 1,254 -4.2 2,916 -8.8 3,547 +0.1 60,284 +4.7 6,486 +5.5 112,181 -5.6 51,836 -2.8 4,264 +8.8 1,417 -3.8 65,988 -2.1 신 ■ 인도 SENSEX 흥 국 ■ 멕시코 BOLSA ■ 러시아 MOEX ■ 터키 ISE100 ■ 남아공 ALSH 자료: Bloomberg 41,254 6,300 ■ 브라질 BOVESPA 115,645 ■ 인니 IDX 43,541 3,046 1,144 57,084 주요국 주가 - 2/10 - 3환율 □ 미 달러화는 연준의 테이퍼링 가시화, ECB 통화정책 완화기조 유 지 전망* 등으로 강세(9.1~10.12일중 +2.0%, DXY 지수 기준) * 빌루아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ECB가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9.20일). 뮐러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는 긴급자산매입(PEPP) 종료 이후 기존 자산매입 프로그램(APP) 확대를 시사(9.22일) □ 신흥국 통화는 대부분 약세(9.1~10.12일중 -3.5%, JPM 지수 기준) ᄋ 터키 리라화는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브라질 헤알화는 정치 불안 등으로 큰 폭 약세 * CPI 상승률(%, 전년동월대비): 8월 19.3 → 9월 19.6 ᄋ반면러시아루블화는경기회복기대* 및유가상승등의영향으로 강세 선진국 신흥국 19년 96.4 20년 89.9 111.6 103.3 1.222 1.367 57.9 1,086.3 6.541 73.04 13,912 5.194 19.91 74.19 7.430 14.67 21.8월(A) 92.6 113.4 110.0 1.181 1.375 56.9 1,159.5 6.463 72.96 14,255 5.153 20.07 73.23 8.306 14.50 9월 94.2 115.0 111.3 1.158 1.348 55.2 1,184.0 6.464 74.31 14,333 5.443 20.64 72.73 8.896 15.11 (기말 기준) B-A * World Bank는 러시아의 금년 경제성장률을 상향 조정(3.2% → 4.3%, 10.6일) 주요국 환율 ■ 미 달러 (DXY)2) (연준 지수)3) 10.12일(B) 변화율1)(%) 94.5 +2.0 114.7 ■일본 엔 108.7 114.95) +1.3 113.6 -3.2 1.153 -2.4 1.359 -1.2 54.9 -3.5 1,198.8 -3.3 6.448 +0.2 75.48 -3.3 14,188 +0.5 5.539 -7.0 20.78 -3.4 71.88 +1.9 9.039 -8.1 14.96 -3.1 ■유로 ■영국 파운드 ■ JPM지수 ■ 한국 원 ■ 중국 위안4) ■ 인도 루피 ■인니루피아 ■브라질헤알 ■멕시코페소 ■러시아루블 ■ 터키 리라 ■남아공란드 1.122 1.325 61.4 1,156.4 6.960 71.34 13,850 4.020 18.93 62.04 5.950 13.98 주: 1) 미 달러화는 지수 기준, 여타 통화는 미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변화율[강세(+)·약세(-)] 2) 주요 6개국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상 지수 3) 미 연준 작성 주요 26개 교역국 통화 대상 지수(broad) 4) 역내시장 기준(CNY) 5) Fed의 지연고시로 10.8일 기준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 3/10 - II. 국내 외환시장 동향 1 원화환율 □ 원/달러 환율은 미 연준의 테이퍼링 가시화 등에 따른 미 달러화 강세, 미국 정부부채 한도* 및 중국 헝다그룹** 관련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상승하여 연중 최고치를 경신(1,198.8원/달러, 10.12일) * Fitch社, 의회가 부채한도 적용유예·증액 합의에 실패할 경우 미 국채 신용 등급(현 AAA)이 하락할 수 있음을 언급(10.1일). 미 상원은 부채한도를 12.3 일까지 한시적으로 증액(4,800억달러)하는 법안을 통과(10.7일) ** 헝다그룹이 발행한 미 달러화채권 이자의 상당부분이 지급예정일(9.23일, 29일)에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홍콩증권거래소는 헝다그룹 및 자회사(헝다물업)의 주식거래를 정지(10.4일) ᄋ 원/엔 환율 및 원/위안 환율은 상승 원화 환율1) ■ 원/달러 주요 ■ 원/100엔 환율 ■ 원/위안 19년 20년 1,156.4 1,086.3 1,059.6 1,051.1 165.60 167.02 21.8월(A) 1,159.5 1,055.8 179.46 9월 1,184.0 1,057.9 182.95 (기말기준, 원) (B-A) 주: 1) 원/달러, 원/위안 환율은 서울외환시장 은행간 거래의 종가 기준, 원/100엔 환율은 하나은행 고시 매매기준율(15:30분) 기준 2) (B-A) 기간중 미달러화, 엔화(100엔) 및 위안화 대비 원화가치 변화율[(+)강세 · (-)약세] 자료: ECOS 원화 환율 주요국 통화가치 변화율1)2)3) - 4/10 - (%) 6 3 0 -3 -6 -9 3) 위안화는 역외시장 기준(CNH)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3.2 -1.2 -2.4 21.8월중 10.12일 변화율2)(%) 1,198.8 -3.3 1,059.6 -0.4 21.9.1~21.10.12일중 -3.4 -3.3 -3.3 -3.1 -8.1 -7.0 일 유로 영국 국 터키 라 시코 인 한국 남아 중국 인 러 질 도 공 니 시아 주: 1) 미국은 달러화지수(DXY) 기준, 여타 국가는 미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변화율[(+)강세· (-)약세] 2) 유로화·엔화·파운드화는 뉴욕시장 16:30분 기준(Reuters) 2.0 1.9 0.1 0.5 185.75 -3.4 멕 브 미 본 2 원/달러 환율 변동성 □ 9월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대비 변동률은 전월에 비해 축소 원/달러 환율 변동성 (기간중 평균, 원, %) 변동률 0.32 0.34 0.38 0.25 주요국 통화의 환율 변동성1) 21.2/4 21.3/4 8월 9월 변동폭 3.6 3.9 4.5 2.9 ■ 전일 대비 ■ 기간중 표준편차 자료: ECOS 7.7 14.2 12.0 8.8 3 원/달러 스왑레이트 및 통화스왑금리 □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기관투자자(해외투자)의 외화자금수요 에도 불구하고 역외투자자의 NDF 매입 및 외국인의 원화투자자산 환헤지 관련 외화자금공급 등의 영향으로 상승 ᄋ 통화스왑금리(3년)는 조선업체의 선물환매도(환헤지), 기관투자자 (해외투자)의 외화자금수요 등에도 불구하고 국고채금리 상승 (+42bp)*, 외국인(금리차익거래)의 외화자금공급 등으로 상승 * 국고채금리(3년물): 8.31일 1.40% → 10.12일 1.82% 원/달러 스왑레이트 및 통화스왑금리 ■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 ■ 통화스왑금리(3년) 자료: 한국자금중개, Tullett Prebon 19년 20년 -0.92 -0.04 0.72 0.31 21.8월 (A) 0.38 0.68 9월 10.12일(B) 0.49 0.61 0.77 0.92 (B-A) 변동폭 +0.23 +0.24 - 5/10 - 주: 1) 전일대비 변동률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기말 기준, %) 4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 9월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 전환 ᄋ주식자금은 8월중 순유출 규모가 컸던 반도체 관련 기업 위주로 순유입 전환 ᄋ 채권자금은 공공 및 민간자금 모두 순유입되었으며 유입 규모가 전 월대비 확대 5 2) 상장주식(KOSPI·KOSDAQ)의 장내·외거래 및 기업공개(IPO) 포함(단, ETF·ELW·ETN 등은 제외) 3) 상장채권 장내.외거래 기준(RP 거래 및 만기도래분 반영) 대외 외화차입여건 ◾ 전 체 (주 식2)) (채 권3)) 주: 1) 결제일 기준 -36.4 83.2 25.1 -82.3 -4.4 -30.6 45.9 87.6 55.7 -28.8 70.1 -44.5 24.2 15.6 46.0 19년 20년 101.6 34.7 20.0 -182.4 81.6 217.1 21년 254.7 -210.0 464.7 (기간중, 억달러) 5월 6월 7월 8월 9월 외국인 증권투자자금1) □ 9월중 국내은행의 단기 차입 가산금리와 외평채 CDS 프리미엄은 낮은 수준을 지속 ᄋ 다만 중장기 차입 가산금리는 차입기간 장기화 등으로 전월대비 상승 대외 외화차입여건 ◾ 대외차입 가산금리1)2) <단 기 3)> <중장기4)> ◾ 외평채 CDS 프리미엄5) 19년 20년 21년 3 21 2 (131) (140) (153) 53 71 23 (3.5) (3.8) (5.1) 31 27 20 (기간중 평균, bp) 6월 7월 8월 9월 2 2 2 2 (145) (171) (206) (144) 29 34 19 38 (5.4) (8.5) (5.0) (11.3) 주: 1)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기업·산업·수출입 등 8개 국내은행 기준 2) 국내 금융기관간 차입 및 본지점 차입은 집계대상에서 제외 3) Libor 대비, 만기 1년 이하 차입금액 가중평균(O/N 제외), ( )내는 가중평균 차입기간(일) 4) Libor 대비, 만기 1년 초과 차입금액 가중평균(20년 이후 RP 포함), ( )내는 가중평균 차입기간(년) 5) 5년물 기준 (자료: Bloomberg, CMA Datavision) - 6/10 - 18 18 18 18 <참고 1> 주 : 1) 외국환 중개회사 경유 거래 4) 통화스왑 및 옵션 등 2. 국내 기업의 선물환거래 )내는 전분기 대비 증감액 2021년 3/4분기중 외환거래 동향 1. 은행간 외환거래 규모 □ 2021년 3/4분기중 국내 은행간시장의 일평균 외환거래 규모*는 262.2 억달러로 전분기(269.5억달러)에 비해 7.3억달러 감소 * 외국환중개회사 경유분 기준 ᄋ 현물환(-7.2억달러) 및 외환스왑(-4.5억달러) 거래규모 감소에 주 로 기인 19년 현물환 92.2 (원/달러) 69.1 (원/위안) 23.1 선물환 6.2 외환스왑 138.6 기타파생상품4) 25.1 합 계 262.2 은행간 외환거래1) 규모2)3) 20년 97.3 74.9 22.4 6.0 129.9 24.4 257.6 21.1/4 21.2/4 109.2 110.8 90.2 89.2 19.0 21.7 6.4 4.1 143.5 130.0 24.7 24.6 283.9 269.5 2) p는 잠정치 21.3/4p (기간중 일평균, 억달러) 7월 8월 9월p 106.5 95.9 108.7 86.9 81.9 89.9 19.6 14.1 18.8 6.7 9.7 3.2 121.9 126.4 128.7 26.4 25.1 28.2 261.5 257.1 268.8 □ 국내 기업의 선물환 순매입 규모는 43억달러로 전분기(30억달러) 에 비해 13억달러 증가 ᄋ 거래규모는 551억달러로 전분기(433억달러)에 비해 118억달러 증가 국내 기업의 선물환 거래1) 19년 20년 21.1/4 매 입(A) 913 811 252 매 도(B) 725 574 267 합 계(A+B) 1,638 1,385 519 순매입2)(A-B) +188 +236 -14 21.2/4 21.3/4p 232 297 201 254 433 551 +30 +43 (억달러) 7월 8월 9월p 92 96 109 90 76 88 182 172 197 +2 +20 +21 주 : 1) p는 잠정치 2) (+)는 순매입, (-)는 순매도 - 7/10 - 103.6 86.1 17.5 6.6 125.5 26.5 262.2 3) ( (-7.2) (-3.1) (-4.2) (+2.5) (-4.5) (+1.9) (-7.3) 3. 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 □ 비거주자의 NDF 순매입 규모*는 207.4억달러로 전분기(6.5억달러)에 비해 200.9억달러 증가 * 국내 외국환은행과의 NDF 순거래 규모(매입-매도) 기준(ND Swap 포함) 비거주자의 NDF 순매입1)2) (억달러, 원) 19년 20년 21.1/4 21.2/4 21.3/4p 7월 8월 9월p NDF 순매입3) -6.1 -266.7 +83.9 +6.5 +207.4 +96.7 +45.2 +65.5 원/달러 환율4) 1,166.1 1,180.0 1,114.8 1,121.1 1,158.3 1,145.1 1,161.1 1,170.4 주 : 1) 국내 외국환은행과의 NDF 거래 기준(ND Swap 포함) 2) p는 잠정치 3) (+)는 순매입, (-)는 순매도 4) 기간중 평균환율 □ 비거주자의 일평균 NDF 거래규모*는 104.4억달러로 전분기(101.0억달러) 대비 3.4억달러 증가 * 국내 외국환은행과의 NDF 총거래 규모(매입+매도) 기준(ND Swap 포함) 비거주자의 NDF 거래규모1)2) (일평균, 억달러) 19년 20년 21.1/4 21.2/4 21.3/4p 7월 8월 9월p 107.9 91.2 102.9 101.0 104.4 99.1 103.9 111.1 주 : 1) 국내 외국환은행과의 NDF매입 및 매도 거래 합계 기준(ND Swap 포함) 2) p는 잠정치 - 8/10 - <참고 2> 금 리 0.82 1.41 1.47 1.67 3.14 6.56 7.06 6.79 6.41 주 가 환 율 3,046 13.8 96.4 114.7 108.7 1.122 1.325 한국원화 1,156.4 중국위안화 6.960 인도루피화 71.34 인니루피아화 13,850 브라질헤알화 4.020 러시아루블화 62.04 러시아(MOEX) VIX 일본엔화 유로화 영국파운드화 19년말 20년말 21.8월말 298 국제금융시장 주요 지표 9월말 10.12일 최근 1년간 최고치 미국(10년) 1.92 미국(2년) 1.57 Libor(3개월) 1.91 일본(10년) -0.01 독일(10년) -0.19 영국(10년) 이탈리아(10년) 그리스(10년) 한국(10년) 중국(10년) 인도(10년) 인니(10년) 브라질(10년) 러시아(10년) EMBI+ Spread 미국(DJIA) 28,538 일본(Nikkei225) 23,657 독일(DAX) 13,249 영국(FTSE100) 7,542 한국(KOSPI) 2,198 중국(SHCOMP) 3,050 인도(SENSEX) 41,254 인니(IDX) 6,300 브라질(BOVESPA) 115,645 0.91 0.12 0.24 0.02 -0.57 0.20 0.54 0.63 1.72 3.15 5.87 5.89 6.91 6.27 338 30,606 27,444 13,719 6,461 2,873 3,473 47,751 5,979 119,017 3,289 22.8 89.9 111.6 103.3 1.222 1.367 1,086.3 6.541 73.04 13,912 5.194 74.19 48.5 1,898.4 1.31 0.21 0.12 0.03 -0.38 0.71 0.71 0.77 1.91 2.85 6.22 6.06 10.50 7.10 350 35,361 28,090 15,835 7,120 3,199 3,544 57,552 6,150 118,781 3,919 16.5 92.6 113.4 110.0 1.181 1.375 1,159.5 6.463 72.96 14,255 5.153 73.23 68.5 1,813.6 1.49 0.28 0.13 0.07 -0.20 1.02 0.86 0.88 2.24 2.88 6.22 6.26 11.11 7.42 373 33,844 29,453 15,261 7,086 3,069 3,568 59,126 6,287 110,979 4,104 23.1 94.2 115.0 111.3 1.158 1.348 1,184.0 6.464 74.31 14,333 5.443 72.73 75.0 1,757.0 1.58 0.34 0.12 0.09 -0.09 1.15 0.93 0.94 2.43 2.97 6.33 6.23 11.00 7.59 380 34,378 28,231 15,147 7,130 2,916 3,547 60,284 6,486 112,181 4,264 19.9 94.5 114.91) 113.6 1.153 1.359 1,198.8 6.448 75.48 14,188 5.539 71.88 80.6 1,760.2 1.74 0.34 0.25 0.16 -0.09 1.19 1.12 1.13 2.43 3.36 6.35 6.90 11.14 7.69 410 35,625 30,670 15,977 7,220 3,305 3,715 60,284 6,486 130,776 4,280 40.3 94.5 116.6 113.6 1.232 1.421 1,198.8 6.748 75.48 14,797 5.876 80.58 80.6 1,951.4 최저치 0.73 0.10 0.11 0.01 -0.64 0.17 0.46 0.55 1.44 2.82 5.82 5.89 6.87 6.10 337 26,502 22,977 11,556 5,577 2,267 3,225 39,614 5,092 93,952 2,691 15.1 89.4 110.8 102.7 1.153 1.290 1,082.1 6.366 72.32 13,879 4.915 71.76 35.8 1,683.5 DXY지수 미달러화 연준지수 기 WTI유(U$/bbl) 61.1 타 금(U$/oz) 1,517.3 주: 1) 10.8일 기준 자료: Bloomberg, Reuters, ECOS - 9/10 - <참고 3> 2019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1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추이 (기간중, 억달러) 주식 채권 합계 20.0 81.6 101.6 33.4 -32.3 1.2 15.1 -1.9 13.2 0.2 13.1 13.3 22.4 4.8 27.3 -25.8 60.4 34.6 2.2 45.6 47.8 17.4 -3.1 14.3 -19.5 14.3 -5.2 -7.4 10.7 3.3 -0.3 -5.5 -5.9 -24.4 -15.2 -39.6 6.6 -9.3 -2.7 -182.4 217.1 34.7 3.7 40.6 44.3 -26.6 3.1 -23.5 -110.4 36.6 -73.7 -43.2 58.2 15.0 -32.7 21.0 -11.7 -4.4 29.2 24.8 13.9 30.1 43.9 -8.9 6.7 -2.2 -20.8 -0.1 -20.9 13.8 -2.3 11.5 55.2 -4.5 50.7 -21.9 -1.7 -23.6 -210.0 464.7 254.7 -23.9 13.2 -10.7 -28.6 89.9 61.2 -25.8 83.5 57.7 5.9 27.4 33.3 -82.3 45.9 -36.4 -4.4 87.6 83.2 -30.6 55.7 25.1 -44.5 15.6 -28.8 24.2 46.0 70.1 - 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