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계룡~신탄진) 본격 추진...24년 개통
보도자료 배포일시 2021. 4. 20.(화) /총 5매(본문3, 참고2) 국토교통부 철도투자개발과 담당 대전광역시 부서 도시광역교통과 충청남도 도로철도항공과 담당자 ∙과장 김승범, 사무관 문기성, 주무관 박기홍 ∙☎ (044) 201-3988, 4133, 3989 ∙과장 송성선, 팀장 양의석, 주무관 최돈묵 ∙☎ (042) 270-6040, 6060, 6061 ∙과장 안병수, 팀장 강민수, 주무관 고동환 ∙☎ (041) 635-2830, 4691, 2835 보도일시 2021년 4월 21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4. 20.(화) 11:00 이후 보도 가능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계룡~신탄진) 본격 추진...24년 개통 - 기존 운영 일반철도 노선 개량·전동열차 투입·운영하는 고효율 사업 - 21일 업무협약으로 충청권 광역철도망 첫 걸음...지역상생·균형발전 토대 □ 국토교통부(장관 직무대행 윤성원)는 4월 21일 대전시·충청남도·국가 철도공단·한국철도공사와 ‘계룡~신탄진’을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이하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노선(계룡~중촌 까지 호남선, 오정~신탄진까지 경부선)을 개량하여 전동차를 투입·운영 하는 사업으로, ᄋ 새로 노선을 건설하는 신설형 사업에 비해 사업비를 대폭 절감하고, 호남고속철도 1단계 개통 이후 낮아지고 있는 일반철도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ᄋ 해당 사업은 2015년 8월 광역철도 지정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고시 등 후속절차를 거쳐 2019년 12월부터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진행 중에 있다. -1-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계룡~신탄진 구간(총 연장 35.4km)에 정거장 * 12개소를 설치(신설 6개, 개량 6개)하며, 총 사업비는 약 2,307억원 (국고 1,198억원, 지방비 1,109억원)이다. * (정거장 계획) 기존역 6개 : 계룡, 흑석리, 가수원, 서대전, 회덕, 신탄진 신설역 6개 : 도마, 문화, 용두, 중촌, 오정, 덕암 ᄋ 해당 구간 개통 시 1일 65회(편도) 운행될 예정이고, 용두(대전 1호선), 서대전·오정(대전 2호선) 등 기존 대전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하며, 연간 약 700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번에 체결된 협약은 사업의 본격적인 착공에 앞서 원활한 개통 및 운영을 위하여 기관별 업무범위를 명확하게 정하기 위한 것으로, ᄋ 협약에 따라 국가(철도공단)는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지자체는 차량 소유 및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하며,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하는 등 기관별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ᄋ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협약 체결 이후 실시설계 및 전동차량 제작 착수를 연내 완료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 하여 2024년 말 개통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김선태 철도국장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 수도권과 대응하는 비수도권의 광역권 형성을 위한 광역철도 중심의 광역 교통망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ᄋ “이번 사업으로 대전시를 포함한 충청권 주요 거점도시 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며, 향후 대전도시철도와 연계,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 및 옥천연장 등 확장을 통하여 충청권 광역 경제권·생활권 형성 등 지역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2- ᄋ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초광역 경제권·생활권 구축에 있어 핵심 교통 인프라인 지역 광역철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추가 사업들도 적극 발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전광역시 조성배 트램도시광역본부장은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충청권 광역철도망 시발점이라는 큰 의미가 있으며, 경부선과 호남선 철도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간 접근성 향상 등 교통 소외 지역의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이라면서, ᄋ “앞으로 충청권 메가시티 구상 실현을 앞당기고, 하나의 광역 생활권으로서 지역 상생 및 균형발전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말했다. □ 충청남도 박연진 건설교통국장은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을 통해 충청·대전 간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ᄋ “국가 균형발전과 충청권 메가시티 완성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국토부, 대전시, 철도공단, 철도 공사와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철도투자개발과 문기성 사무관(☎ 044-201-4133)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참고 1 사업 개요 □ 사업 개요 ᄋ 사업내용 : 경부선 및 호남선 계룡~대전조차장~신탄진간 35.4km 기존선 개량형 광역철도 * (정거장) 기존역 6개(계룡, 흑석리, 가수원, 서대전, 회덕, 신탄진) 신설역 6개(도마, 문화, 용두, 중촌, 오정, 덕암) ᄋ 총사업비 : 2,307억원(국고 1,198억원, 지방비 1,109억원) ᄋ 사업기간 : 2015 ∼ 2024년 ᄋ 사업목적 : 기존 경부선 및 호남선의 선로 여유용량을 활용, 광역 전철망을 구축하여 대전과 인접 도시 간 접근성 향상 □ 주요 추진경위 ᄋ ‘15. 8월 : 광역철도 지정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02) ᄋ ‘15.11월 : 예비타당성조사(B/C 0.95, AHP 0.513, KDI) ᄋ ‘17.11월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ᄋ ‘18. 7월 : 총사업비 조정 완료(기본계획결과 반영, 230,745백만원) ᄋ ‘18.12월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8-803호) ᄋ ‘19.12월~ : 기본 및 실시설계 시행중 ᄋ ‘21. 4월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운영에 관한 협약 체결 □ 향후 계획 ᄋ ‘24년 말 개통 목표로 추진 -4- 참고2 노선도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