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News

수출입물류 동향 점검 및 대응

no1_guru 2021. 5. 15. 22:05
728x90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21-35 수출입물류 동향 점검 및 대응 2021. 5. 12. 관계부처 합동 순서 I. 최근 수출입물류 동향 1 II. 그간의 정책지원 현황 3 III. 향후 지원 강화방안 5 I. 최근 수출입물류 동향 ◇ 초과수요로 인해 해상・항공 모두 高운임 및 공급부족 상황 지속 󰊱 해운 물류 □ (운임) 작년 하반기부터 주요국의 경기부양책과 소비 증가, 항만 현 장의 적체 및 선복 부족 등으로 지속적인 상승세 ᄋ 금년 1분기 들어 안정세를 보였으나, ‘수에즈 운하 사고’ 이후 再 급등하면서 美 동안 및 EU 항로 운임이 크게 증가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추이 ] [ 수에즈 사고 이후 항로별 운임 변화 ]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 상하이發 15개 항로의 수출컨테이너 SPOT 운임을 반영한 지수 □ (수출물동량) ‘20.8월부터 증가 추세로, ’21.1분기 컨테이너 수출 물 동량(1,607천TEU)은 전년 동기대비 +3.2% 증가* * 주요 항로별 수출물동량 : (미주) 261천TEU, 10.4%↑, (유럽) 163천TEU, 3.7%↑ 등 □ (항만) 코로나19로 해외항만 적체 및 내륙운송 연계가 지연되어, 컨 테이너・선박 회전율 감소* → 물동량보다 운임이 더 크게 상승 * 미국은 10일 이상, 중국・싱가포르 등은 3일 이상 선박 대기 필요 ᄋ 부산항 항만 장치율도 평소보다 높은 수준(‘20년 74% → ’21.4월 80%) □ (선복량) 전 세계 가용선박들이 총투입되면서 유휴선박 비율*은 역 대 최저 → 단기간 내 충분한 선박공급 확대에 구조적 한계 * 유휴선박 비율 : (‘20.6월)11.2% → (8월)4.1% → (10월)1.8% → (11월)1.5% → (’21.4월)0.8% -1- 󰊲 항공 물류 □ (운임) 코로나19로 급등한 항공운임은 국산 진단키트와 중국發 복 합운송(Sea&Air) 수요* 증가로 高운임 상태** 지속 * 해상운송을 통해 중국에서 국내로 이동 후, 국내에서 다시 항공으로 해외 운송 ** (미국) (’20.1분기) 3,000원/kg → (’21.1월) 8,000원/kg → (’21.3월) 8,000원/kg (유럽) (’20.1분기) 1,900원/kg → (’21.1월) 5,400원/kg → (‘21.3월) 5,000원/kg □ (공급규모) 여객기 운항 축소*로 인해 여객기 화물칸(Belly-Cargo) 공급이 감소하면서, 적재공간 부족 상황 지속 * 여객 정기노선 운항실적 : (’19년 동계) 45개국, 255개 노선, 주당 4,714회 운항 → (’21.4월 말 기준) 30개국, 70개 노선(△72.5%), 주당 320회(△93.2%) 운항 ᄋ ‘21.1분기 화물기 운항 편수를 대폭 증편(140% 이상) 했으나, 기존 해운 물동량이 항공으로 일부 전환되면서 물동량 해소에 한계 󰊳 수출기업 애로 □ (현황) 수출기업 애로 접수 결과(수출입물류 종합대응센터, ’20.12~’21.4), 1선박공급 확대(36%), 2운임지원(33%), 3컨테이너 확보(8%) 順으로 제기 ᄋ 특히, 수에즈 운하 사고 이후 ‘선복 부족’ 애로가 급증하였으며, 항 로별로는 미주 동안행에 기업 애로가 집중 [ 분야별 물류 애로 현황 ] [‘21.4월접수애로(총42건) 중선복애로항로] ■ 세계경기 회복 등에 따른 물동량 증가, 유가 상승 등 요인으로 당 분간 해상・항공 물류의 초과수요 및 高운임 지속 우려 * ’21년 전망 : (해상, 클락슨) 세계 물동량 +5.7% vs. 선복공급 +3.9% (항공, 국제항공운송협회) 세계 항공화물 물동량 +13.1%, 운임 +5% -2- II. 그간의 정책지원 현황 ◇ 1미주 서안항로 중심 임시선박 투입, 2중소기업 전용선복 배정 및 운임지원, 3수출입물류 종합대응센터 개소 등 총력 대응 중 󰊱 선박, 항공 등 공급 확대 □ (임시선박 투입) ‘20.8월~‘21.4월까지 미주, 유럽, 동남아 항로에 임시선박을 27회 투입하여 화물 7.1만TEU 수송 * (미주) 20회, 6.1만TEU / (유럽) 2회, 5천TEU / (동남아) 5회, 5천TEU ᄋ 선복 부족이 심한 미주 서안向에 집중 투입하여, ’20.8월~‘21.3월 미주항로 수출증가 물량(8.2만TEU)의 64% 처리 ᄋ 향후에도 미주 서안向에 매월 2회 이상 지속 투입 예정 □ (전세기 운항 등) 유휴 여객기를 활용한 2차례 4편의 특별전세기 운항* 및규제완화를통한객실내화물적재공간확대** * (1차, ‘20.4월) 중국, 인도네시아 / (2차, ’20.5월) 일본, 독일 ** 객실 천장 수하물칸(오버헤드빈) 및 좌석 내 화물 적재 허용(‘20.6월~) ᄋ 특별전세기 운항을 통해 총 61개社의 진단키트, 반도체, 의료용 방호복, 화장품 등 총 85톤 규모 화물 운송 지원 󰊲 중소ᆞ중견화주 지원 □ (中企 전용선복 배정) ’20.11월~‘21.4월까지 미주 서안向 대상으로 매주 350TEU, 총 17회 배정 → 5,437TEU 운송 지원* * 중소기업 접수율(‘20.11~‘21.4 현재) : 91.4% ᄋ 미주 서안向 선복 배정을 연말까지 연장(당초 4월까지)하는 한편, 유 럽向에 대해서도 5월부터 매주 50TEU 신규 배정 중 -3- □ (운임지원) ‘20년 하반기 해상운임 긴급지원에 이어, ‘21년에는 수출 바우처 사업 등을 통해 해상・항공운임 지원 중(70억원 규모) ᄋ (‘20년 하반기 긴급지원) 해외공동물류센터 사업(산업부) 참여 중 소‧중견기업의 국제운송비 정산 허용(214개社 대상 12억원 지원) ᄋ (수출바우처) 산업부・중기부 수출바우처* 사업의 지원항목으로 물 류비 추가(기업당 1천만원 한도) → ‘21년 30억원 이상 지원 예상* * 중소, 중견기업이 마케팅, 컨설팅, 홍보, 물류비 등 13개 분야 지원 서비스를자 유롭게 선택하고 지급된 수출바우처를 통해 소요비용 정산 ᄋ (온라인 공동물류)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 물류지원 항목으로 기 * 존 항공 외에 해상운임 지원 추가 → ‘21년 40억원 지원 예정 * 기업당 항공 5백만원, 해상 2백만원 한도로 총 1,500여개사 지원 계획 [ 중소・중견기업 운임지원 사업 ] 주요 내용 ‘20.下 ・해외공동물류센터 사업(산업부 ‘20년 12억원, 214개社 해상운임 지원 完) ・수출바우처 지원사업(산업부, 중기부 ’21년 1,525억원, 기업당 1,000만원限) ・온라인 공동물류 지원사업(’21년 40억원, 1,500개社, 항공・해상운임 지원) 󰊳 애로 해소 지원체계 구축 □ (수출입물류 종합대응센터) 무역협회 내 민관합동 물류 애로 원 스톱 지원체계 가동(‘20.12월) ᄋ 산업부, 해수부, 중기부, HMM, 무역협회, 해운협회, 국제물류협 회 등으로 구성 → 물류동향 파악 및 맞춤형 애로 해결 * ‘21.4월까지 총 425건의 애로 접수 및 처리 완료 □ (불공정거래 감시 강화) ‘해운시장질서팀’ 신설・운영(해수부, ’20.10월~) 및 무역협회를 ’해운거래 불공정신고센터‘로 지정(’20.11월~) * 선주의 운송계약 미이행 및 일방적인 변경 등에 대한 조사‧처벌 계획 공표(’20.11월) ‘21 -4- III. 향후 지원 강화방안 ◇ 지속되는 물류수급 차질과 수출기업 현장애로 완화를 위해 기존 지원대책 보강 및 신규 지원책 마련 분야 기존 지원방안 󰋻미 서안 중심 임시선박 투입 󰋻中・日・獨・인니 특별전세기 투입 󰋻미 서안 350TEU, 유럽 50TEU 󰋻긴급 해상운임 지원 12억원(‘20) 󰋻바우처ᆞ공동물류 70억원(’21) 󰋻컨박스 4.3만개 공급(리스) 선박・항공 공급 中企 전용선복 배정 중소화주 운임 지원 인프라・제도 개선 추가 지원방안(5월 이후) 󰋻미 동안・유럽 항로 추가 투입 󰋻미주노선 특별전세기 투입 추진 󰋻미 동안 50TEU 신규 배정 󰋻기업당 물류비 지원한도 확대 󰋻운임지원 총액(70→121억원) 󰋻부산신항 대체장치장 제공 󰋻세관 신고 간소화 등 물류효율화 󰊱 선박, 항공 등 공급 추가 확대 ➊ 미주 동안 및 유럽 항로 선박투입 확대 ᄋ (미주) 5월에 동안向 임시선박을 1회 긴급 투입하고, 서안向 임시 선박도 5회 투입 예정 → 미주 항로에 임시선박 총 6회 투입(월간 기준 최대 규모인 32,800TEU의 추가 선적 공간 제공) * 미주향 임시선박 투입 계획 : (5.2) 5,000TEU, (5.8) 6,500TEU, (5.12) 6,800TEU, (5.19) 1,800TEU, (5.24) 6,300TEU, (5.30) 6,500TEU ᄋ (유럽) 1.6만TEU급 신조선박 총 6척을 5월 2주부터 매주 1척씩 유 럽 항로에 투입(5.12~6.30) * 신조선박 총 8척 중 2척은 3월 조기 투입 완료, 나머지 6척은 5.12일부터 투입 ➋ 미주노선 대상 특별 전세기 투입 추진 ᄋ 업계 수요조사를 거쳐 투입 여부와 적재물품・운항횟수・운임* 등 계 획을 상반기 중 결정(무역협회-항공사 협의 중) * 중소기업에게 現 항공운임 대비 저렴한 수준으로 제공하는 방안 검토 -5- 󰊲 중소‧중견 화주 지원 강화 ➊ 중소화주 대상 미주 동안 전용선복량 신규 배정 ᄋ6월중순부터매주미주동안向선복50TEU를신규배정하고, 미 주 서안向 350TEU/주, 유럽向 50TEU/주는 연말까지 연장 ➋ ‘21년 해상・항공운임 지원 목표를 現 70억원 → 121억원*으로 확대 * (추가 운임지원) 21억원, (수출바우처 한도확대) 60억원, (온라인 공동물류) 40억원 ᄋ (추가 운임지원) 코로나19 장기화로 집행이 어려운 해외 마케팅 예산 등을 기업 해상운임 지원에 활용(420여개社, 기업당 5백만원) ᄋ (지원한도 확대) 수출 바우처 지원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물류비 지원 한도를 2배 상향*, 지원 목표를 現 30억원 → 60억원으로 확대 * (현행) 기업당 1천만원 → (개선) 기업당 2천만원 (’21년 한시) 󰊳 항만・공항 적체 해소 및 컨테이너 확보 지원 ➊ 부산신항 주변 대체 장치장 제공 ᄋ터미널외부에대체장치장운영* 및장치장포화시인접부두·배후 ** 단지 등추가활용→화주에게 컨테이너 임시 보관 장소 제공 * 웅동배후단지 1단계 공‘컨’ 장치장(장치능력 3,416TEU), 안골 위험물 장치장(550TEU) ** (1‧4부두 포화 시) 인접한 다목적부두 활용(수용량 4,179TEU, 현 여유공간 약 800TEU) (2‧3부두포화시) 인접한 서 ‘컨’ 배후단지 활용(유휴부지 12만평, 기업 입주(~’22.상) 까지) -6- ➋ 컨테이너 박스 신규 제작 및 공급 확대 ᄋ 현재 제작 중인 40피트 컨테이너 4.3만개*를 7월까지 차질 없이 인도하고, 추가 발주(4월)한 1.7만개도 하반기 적기 공급 * 해양진흥공사 리스사업 활용 (’21.4월말 기준 19,600개 인도) ➌ 수출용자동차 일시양륙 신고 절차 간소화 ᄋ 자동차전용 운반선에 旣적재된 수출용자동차를 효율적 선적을 위해 일시양륙시세관장신고절차* 생략→물류지체요인해소 * ‘21년 3분기까지 「보세화물 입출항 하선 하기 및 적재에 관한 고시」 개정 추진 ➍ 인천공항 계류장 내 환적화물 보관창고 신축・운영 ᄋ 신선화물환적지원을위해특허절차및반출입신고가필요없는환적 화물 보관창고 7월부터 운영 → 물류 신속화 및 비용 부담 완화 * (현재) 공항 계류장 외부 화물터미널로 환적화물을 반출입하고, 반출입 시 세관 신고 → (개선) 계류장내창고이용으로이동경로최소화+신고생략+특허보세창고운영비용등경감 󰊴 비상대응 TF 가동 및 물류 정책 조정 체계 구축 ➊ ‘수출입물류 비상대응 TF’(산업부, 해수부 공동반장) 구성・운영 ᄋ 물류 긴급 상황을 고려하여 관계부처, 지원기관으로 구성*된 비 상대응 TF 가동 → 물류 동향 모니터링 강화 및 애로 즉각 해소 * 산업부, 해수부, 기재부, 국토부, 중기부, 관세청, 코트라, 중진공, 해진공, HMM 등 ➋ ‘수출입물류 상생협의체’(민관 공동의장)를 통한 제도개선 추진 ᄋ 선・화주 협력을 통해 1장기계약 확대, 2표준거래계약서 보급, 3 거래조건 변경(FOB→CIF) 등 중장기 개선과제 추진 * 구성 : 산업부, 해수부, 중기부, 국토부, 기재부, 선, 화주, 물류업계, 민간전문가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