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me/News

21년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보고서

728x90
반응형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및거래동향 주택가격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매매가격동

   승인(협의)번호 [제304004호] 발간등록번호 11-B190024-000040-06

주택가격동향

보고서

2021.03

                          KHPI:Korea Housing Price Index www.r-one.co.kr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

매매가격동향 [Housing Sales Price Trends] 주택가격동향 201607 1

 

    Contents

                                   주택가격동향

2021 . 03

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 www.r-one.co.kr

I. 주택가격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3. 월세가격동향 4. 주택수급

5. 주택가격

6. 전월세전환율 7. 월별장기평균

II. 통계개요

1. 조사개요

2. 통계 이용자 유의사항

05

11

17

22

23

25

26

27 32

국가승인통계 [승인번호 : 304004호] 조사기준일 : 2021. 3. 15

조사대상기간 : 2021. 2. 16 ~ 2021. 3. 15 공표일:2021.4.1

발행일:2021.4.1

발 행 처 한국부동산원 발 행 인 손태락 통계책임관 김태훈

담 당 주 소 홈 페 이 지

부동산통계처 주택통계부

대구광역시 동구 이노밸리로 291(신서동)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www.r-one.co.kr]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 (스마트폰)

주택가격동향 / 2021. 03

4

 

      조사결과 요약

                               0.74

0.46

0.14 전국

매매 0.74%

매매가격지수변동률은 지난달 대비 상승폭 축소

(수도권) 서울은 규제완화 기대감 있는 재건축 위주로, 경기는 교통호재 있는 서울 인접지역위주로상승했으나,금리및공시가격인상,보유세부담등으로상승폭축소 됐고, 인천은상승폭낮았던중저가단지위주로오르며지난달대비상승폭확대

수도권

0.53 0.41

0.14

지방

0.96

0.51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0.15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월세가격지수 변동률 (단위 : %)

        전국 매매·전세가격지수 추이 (Trends of The Whole Country Housing Price Index)

 (%)

5.00 4.00 3.00 2.00 1.00

매매가격지수 전월비(좌) 매매가격지수(우)

전세가격지수 전월비(좌)

전세가격지수(우)

120

110

100

90

80

70

60

50

  (지방) 대전은 교통호재 있거나 거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대구는 교육 및 0.00 주거환경 양호한 수성구 위주로, 세종은 행복도시 內 주요 지역 및 조치원읍 -1.00 중소형위주로, 충북은청주시중저가단지위주로상승 -2.00

-3.00 -4.00

2017년 11월 = 100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전세 0.46%

전세가격지수변동률은 지난달 대비 상승폭 축소

가격변동지역 분포

매매 5 1

하락 보합 상승

  전세 80 시흥·의왕·평택시위주로,인천은역세권및교통개선기대감있는단지위주로상승 월세 7 6

170

168

(수도권) 서울은학군양호하거나역세권위주로상승하였으나매물누적및급등 피로감 등으로 상승폭 축소됐고, 경기는 정주여건 또는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지방) 대전은 유성·서구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대구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지역이나 상대적 저평가된 지역 위주로, 세종은 행복도시 인근 지역에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울산은 구축 및 중저가 위주로 상승

월세 0.14%

월세통합지수변동률은 지난달 대비 상승폭 축소

(수도권) 계절적비수기로접어들며상승폭소폭축소된가운데, 서울은강남·동작· 마포구등교통환경및정주여건양호한지역위주로, 경기는의왕·시흥·남양주시등 서울접근성양호한지역위주로, 인천은교육환경양호한송도신도시와역세권주요 단지위주로상승

(지방) 세종은 전세가격 상승과 동반하여 조치원읍 및 행복도시 內 주요단지 위주로, 대전은 교통 및 교육여건 양호한 서·유성구 위주로, 대구는 도심 및 직주근접한 중구와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북구 위주로, 충북은 혁신도시 및 산업단지수요있는음성군위주로상승

서울(Seoul) 0.38

인천(Incheon) 1.31

경기(Gyeonggi) 1.28

부산(Busan) 0.66

대구(Daegu) 1.11

광주(Gwangju) 0.34

대전(Daejeon) 1.18

울산(Ulsan) 0.47

세종(Sejong) 0.68

강원(Gangwon) 0.50

충북(Chungbuk) 0.56

충남(Chungnam) 0.54

전북(Jeonbuk) 0.17

전남(Jeonnam) 0.18

경북(Gyeongbuk) 0.44

경남(Gyeongnam) 0.33

제주(Jeju) 0.10

3.36 0.29

7.84 0.95

10.71 0.56

8.77 0.47

8.85 0.78

2.96 0.28

13.91 0.88

9.47 0.65

29.69 0.66

3.60 0.39

4.93 0.35

4.94 0.43

2.65 0.22

2.60 0.14

3.31 0.25

3.91 0.31

-0.94 0.13

4.18 0.08

8.33 0.35

7.82 0.15

5.46 0.12

5.69 0.25

2.99 0.08

11.96 0.43

13.90 0.22

51.31 0.35

3.71 0.18

4.03 0.16

5.14 0.13

1.51 0.03

1.62 0.06

2.07 0.06

4.02 0.11

-0.51 0.02

(단위 : %)

1.23

1.96

1.96

0.87

1.87

0.75

3.84

5.22

16.29

1.78

1.09

1.55

-0.06

0.74

0.53

0.95

-0.59

163

※ 공표지역 : 176개 (187개 시군구 중 비자치구를 포함한 11개 시를 제외함)

지역 (Region)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월세통합가격지수 변동률

 전월비

 전년 동월비

 전월비

 전년 동월비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국(The Whole Country)

  0.74

  6.70

  0.46

  5.80

  0.14

  1.58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

 

 지역별 매매·전세·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전국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인천 강원 1.31% 서울 경기 0.50%

(단위 : %)

서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단위 : %)

충남 대전 0.54% 1.18%

전북 0.17%

광주 0.34% 전남

0.18%

제주 0.10%

전국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인천

0.95% 서울 경기

0.29% 0.56%

경북 0.44%

대구

1.11% 울산

0.35%

0.24%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0.43% 대전 0.88%

전북 0.22%

광주 0.28% 전남

0.14%

제주 0.13%

전국 월세가격지수 변동률

인천

0.35% 서울 경기

0.08% 0.15%

종로구 0.37% 서대문구 0.11% 동대문구

0.22%

0.38% 1.28%

세종 충북 0.68% 0.56%

은평구 0.28%

도봉구 0.55%

강북구 노원구 0.34% 0.68%

성북구 중랑구

충남

경북 0.25%

충남

경북 0.06%

세종 충북 0.66% 0.35%

은평구 0.32%

세종 충북 0.35% 0.16%

은평구 0.07%

노원구 0.12%

중랑구 0.02%

0.13% 대전 0.43%

전북 0.03%

광주 0.08% 전남

0.06%

제주 0.02%

서대문구 0.08% 동대문구

경남 0.33%

0.47% 부산

0.66%

용산구 영등포구 0.28%

송파구 0.45%

강원 0.39%

도봉구 0.22%

강북구 노원구 0.38% 0.53%

성북구 중랑구

경남 0.31%

울산 0.65%

용산구 영등포구 0.28%

0.29%

강남구 0.33%

광진구 0.26% 0.24%

강원 0.18%

경남 0.11%

울산 0.22%

용산구 영등포구 0.10%

0.13%

강남구 0.14%

광진구 0.08% 0.08%

송파구 0.06%

대구 0.78%

강서구 0.24%

양천구

0.20% 마포구

0.17%

0.30%

대구 0.25%

강서구 0.06%

양천구

0.05% 마포구

0.18%

0.03%

부산 0.47%

0.23% 0.19% 동작구 구로구 0.38% 0.32%

금천구 관악구 0.20% 0.24%

서울 월세가격지수 변동률

송파구 0.32%

부산 0.12%

0.08% 0.04% 동작구 구로구 0.13% 0.06%

금천구 관악구 0.05% 0.08%

(단위 : %)

(단위 : %)

(단위 : %)

서초구 0.33%

도봉구 0.03%

강북구 0.05%

성북구 종로구 0.10%

(단위 : %)

강서구 0.31%

양천구

0.23% 0.20% 중구

동대문구 0.39%

0.43% 0.34% 동작구 구로구 0.43% 0.31%

금천구 관악구 0.24% 0.32%

서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서초구 0.46%

마포구 0.35%

0.38%

강남구 0.45%

0.38% 0.31%

서대문구 종로구 0.32%

중구

0.10% 성동구

강동구

중구

0.03% 성동구

강동구

서초구 0.12%

주택가격동향 / 2021. 03 4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개황 [Overview]

         전국 0.74 % 수도권 0.96 % 지방 0.53 % 서울 0.38 % 전국 매매가격은 정부 공급대책 및 급등 피로감,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수도권 및 지방 모두 상승폭 축소

주택유형별로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상승폭 축소, 단독주택은 상승폭 유지

  매매가격지수 추이 (Sales Price Index Trends) (%)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120 110 100

90 80 70 60

주) 주택가격지수(KHPI)는 2012년 1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 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며, 2003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지수는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의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기하평균)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기 공표된 KB지수와 다를 수 있음(KB지수의 (구)시계열통계표는 http://www.r-one.co.kr 참조)

        2017.11=100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The Whole Country Transaction and Sales Price index Change)

수도권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Sales Price Index Change)

(%)

-1.0

'19.3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9

(만건) (%)

15 1.5 12 1.0 9 0.5 6 0.0 3 -0.5 0 -1.0

'21.3 '19.3 '19.9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3 '20.9

(만건)

10 8 6 4 2 0

(만건)

3.0 2.5 2.0 1.5 1.0 0.5 0.0

2.0 1.5 1.0 0.5 0.0

-0.5

                      1.5 1.0 0.5 0.0

8 6

4

1.5

1.0

0.5

'19.9

'20.3

'21.3

  지방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Non-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Sales Price Index Change)

서울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Transaction and Sales Price Index Change)

(%)

-0.5

-1.0

'19.3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9

(만건) (%)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9

                   '19.9

'20.3

'21.3

'19.3

'19.9

'20.3

'21.3

주) 주택거래량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의 월별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참조하였으며, 신고일자 기준으로 1개월 늦게 공표됨

0.0 2 -0.5 0 -1.0

  주택가격동향 / 2021. 03

5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개황 [Overview]

 서울은주요지역재건축위주로,인천·경기는교통호재있는역세권과상대적저평가인식있는지역위주로상승 공표지역176개시군구중상승지역(172개→170개)은감소,보합(0개→1개)및하락지역(4개→5개)은증가

(%)

2.0

1.5

1.0

0.5 0.38 0.0

1.31 1.11

0.66

1.18

1.28

    0.34

0.47

0.44 0.18

0.33

0.10

0.68

0.50 0.56

0.54

 0.17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Sales Price Index Change)

 전월비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20.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계절조정

 '20.12

 '20.3

  전 국 (The Whole Country)

 0.42

 0.32

 0.54

 0.90

 0.79

 0.89

 0.74

 0.71

 2.44

 6.70

   수도권 (Seoul Metropolitan Area)

지 방 (Non-Seoul Metropolitan Area)

서 울 (Seoul)

0.43 0.30

0.41 0.34

0.27 0.16

0.49 0.66

0.58 1.12

0.17 0.26

0.80 1.17 0.96

0.78 0.64 0.53

0.40 0.51 0.38

0.87 2.96

0.62 1.97

0.54 1.29

(단위 : %)

7.66

5.82

3.36

(단위 : %)

           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포함하며, 지방은 수도권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세종시 및 8개 도에 속한 시군구지역을 통틀어 지칭함

  시도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서울

강북 (Northern Seoul)

0.38 노원구(0.68)

0.38 서초구(0.46)

1.31 연수구(3.24)

1.28 의왕시(2.90)

0.66 강서구(1.16)

1.11 수성구(1.47)

0.34 광산구(0.54)

1.18 유성구(1.51)

0.47 중구(0.62)

0.50 원주시(0.75)

0.56 청주시 흥덕구(1.06)

0.54 계룡시(1.85)

0.17 전주시 완산구(0.20)

0.18 여수시(0.40)

0.44 구미시(0.78)

0.33 창원시 진해구(1.30)

도봉구(0.55)

강남구(0.45)

서구(1.43)

안산시 단원구(2.34)

해운대구(1.02)

달성군(1.41)

남구(0.36)

서구(1.36)

북구(0.59)

춘천시(0.61)

청주시 청원구(0.88)

아산시(1.04)

군산시(0.19)

광양시(0.26)

포항시 북구(0.66)

양산시(1.08)

   강남 (Southern Seoul) 인천 (Incheon)

      경기 (Gyeonggi)

부산 (Busan)

대구 (Daegu)

광주 (Gwangju)

대전 (Daejeon)

울산 (Ulsan)

세종 (Sejong) 0.68

                     강원 (Gangwon)

충북 (Chungbuk)

충남 (Chungnam)

전북 (Jeonbuk)

전남 (Jeonnam)

경북 (Gyeongbuk)

경남 (Gyeongnam)

제주 (Jeju) 0.10

당진시(-0.11)

목포시(-0.26)

문경시(-0.10)

창원시 의창구(-0.99)

창원시 성산구(-0.89)

                        주택가격동향 / 2021. 03 6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Region]

(서울) 정비사업 진척 및 규제완화 기대감 있는 재건축과 중저가 위주로 상승 (인천·경기)인천·경기는교통망확충(GTX등)및정비사업기대감있거나저평가인식있는지역위주로상승

            (1) 서울 [Seoul]

(2) 인천 및 경기지역 [Incheon·Gyeonggi]

  0.38 %

강북

0.38 %

강남

노원구(0.68%)는정비사업기대감있는재건축과역세권위주로, 도봉구(0.55%)는 교통(GTX-C등)및개발호재있는창동역위주로,용산구(0.28%)는이촌동대단지와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한남동 연립·다세대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체로 매수세 감소하며상승폭축소

서초구(0.46%)는서초동구축대단지와방배동단독위주로, 강남구(0.45%)는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 있는 압구정동 위주로, 송파구(0.45%)는 문정·장지동 위주로, 강동구(0.31%)는고덕·암사동중저가단지위주로상승했으나, 매수세 감소하고관망세보이며상승폭축소

1.31 %

인천

1.28 %

경기

연수구(3.24%)는교통망확충기대감(제2경인선) 및상대적저평가인식있는 청학·연수·동춘동위주로,서구(1.43%)는교통및정주여건개선기대감있는검단신도시 위주로,남동구(1.41%)는구월·논현동역세권및대단지위주로, 부평구(1.27%)는 교통호재(GTX-B, 7호선연장) 등기대감과정비사업진척있는지역위주로상승

의왕시(2.90%)는교통호재(월판선, 인동선등) 및저평가인식, 정비사업진척 영향등으로, 안산단원구(2.34%)는GTX-C정차기대감및중저가수요있는지역 위주로, 시흥시(2.30%)는인근지역대비저평가인식및교통호재등영향있는 정왕·은행·목감동위주로,안양동안구(1.99%)는관양·비산·호계동위주로상승

    서울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Seoul Sales Price Index and Change)

(%) 매매가격지수 전월비(좌) 매매가격지수(우)

수도권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Seoul Metropolitan Area Sales Price Index and Change)

2.00 1.50 1.00 0.50 0.00

-0.50 -1.00 -1.50

1.50 1.00 0.50 0.00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

매매가격지수 전월비(좌) 매매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2017. 11=10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87.0 -1.00

2017. 11=100 90.0 87.0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38 0.54 1.29

0.38 0.49 1.26

0.24 0.34 0.89

0.44 0.60 1.41

0.29 0.33 1.05

0.38 0.55 1.32

0.34 0.52 1.08

0.42 0.57 1.63

(단위 : %)

전년

동월비 지역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단위 : %)

전년 동월비

7.84

10.71

10.82

10.71

9.52

13.84

1.61

14.93

8.38

114.0

111.0

108.0

105.0

102.0

99.0

96.0

93.0 -0.50 90.0

114.0 111.0 108.0 105.0 102.0 99.0 96.0 93.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지역 (Region)

(Region) 인천 (Incheon)

경기 (Gyeonggi)

경부1권 (Gyeongbu1-kwon) 경부2권 (Gyeongbu2-kwon) 서해안권 (Seohaean-kwon) 동부1권 (Dongbu1-kwon) 동부2권 (Dongbu2-kwon) 경의권 (Gyeongui-kwon)

경원권 (Gyeongwon-kwon)

(계절조정) 말비 1.31 1.19 3.23

1.28 1.14 4.07

1.39 1.26 4.20

1.06 0.78 3.63

1.49 1.35 3.37

1.44 1.31 5.19

0.26 0.30 0.69

1.08 1.14 5.57

1.45 1.38 5.25

서울 (Seoul)

강북 (Northern Seoul)

도심권 (Dosim-kwon) 동북권 (Dongbuk-kwon) 서북권 (Seobuk-kwon)

강남 (Southern Seoul) 서남권 (Seonam-kwon) 동남권 (Dongnam-kwon)

3.36

3.71

2.72

4.12

3.12

3.02

3.31

2.64

                                                 주) 서울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 경기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택가격동향 / 2021. 03 7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Region]

(5대 광역시) 교통호재 영향 있거나 교육 및 주거환경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 (기타지방) 충북은 청주시 중저가 단지 위주로, 충남은 계룡·아산시 인기단지 위주로 상승

            (3) 5대 광역시 [5 Metropolitan Cities]

(4) 기타지방 [Rest of Provinces]

  1.18 %

대전

1.11 %

대구

유성구(1.51%)는인근지역대비가격낮은송강·장대동위주로, 서구(1.36%)는 도안신도시인근관저동과학군우수한둔산·월평동위주로,중구(1.09%)는재건축 기대감있는문화·태평동구축위주로,대덕구(0.82%)는정주여건양호한법·송촌동 위주로상승

수성구(1.47%)는 재개발 기대감 있는 시지·지산·범물동 구축 위주로, 달성군 (1.41%)은테크노폴리스인근유가·현풍읍위주로, 달서구(1.28%)는주거환경 양호한상인·월성동대단지위주로,중구(1.13%)는남산·대신동준신축위주로상승

0.56 %

충북

0.54 %

충남

청주 흥덕구(1.06%)는 정주여건 양호한 가경·복대동 구축 위주로, 청주 청원구(0.88%)는 직주근접하고 주거환경 양호한 오창신도시 위주로, 청주 서원구(0.60%)는상대적저가인식있는수곡·분평동위주로,청주상당구(0.59%)는 용암·금천동구축위주로상승

계룡시(1.85%)는 두마면 인기단지와 금암동 및 엄사면 구축 위주로, 아산시 (1.04%)는배방읍,모종동준신축위주로,천안서북구(0.87%)는상대적으로저평가 인식있는성정·두정동위주로, 홍성군(0.72%)은정주여건양호한홍북읍신축 위주로상승

    5대 광역시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5 Metropolitan Cities Sales Price Index and Change)

8개 도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8 Provinces Sales Price Index and Change)

(%)

3.00

2.00

1.00

0.00

-1.00

매매가격지수 전월비(좌) 매매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

3.00

2.00

매매가격지수 전월비(좌) 매매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지역 (Region)

지역 (Region)

2017. 11=100

96.0 1.00 89.0

0.00

82.0

75.0 -1.00

2017. 11=100

110.0 103.0

103.0

96.0

89.0

82.0

75.0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77 0.93 2.98

0.66 0.74 3.02

0.55 0.65 2.65

0.83 1.02 3.46

0.62 0.68 3.12

1.11 1.18 3.61

0.34 0.40 1.31

1.18 1.23 3.63

0.47 0.59 2.86

(단위 : %)

전년 동월비

8.71

8.77

8.05

11.79

6.49

8.85

2.96

13.91

9.47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37 0.40 1.31

0.50 0.44 1.56

0.56 0.53 1.49

0.54 0.59 1.73

0.17 0.19 0.54

0.18 0.23 0.62

0.44 0.41 1.75

0.33 0.25 1.40

0.10 0.09 0.37

(단위 : %)

전년 동월비

3.53

3.60

4.93

4.94

2.65

2.60

3.31

3.91

-0.94

 5대 광역시 (5 Metropolitan Cities) 부산 (Busan)

중부산권 (Jungbusan-kwon) 동부산권 (Dongbusan-kwon) 서부산권 (Seobusan-kwon)

대구 (Daegu) 광주 (Gwangju) 대전 (Daejeon) 울산 (Ulsan)

8개 도 (8 Provinces) 강원 (Gangwon) 충북 (Chungbuk) 충남 (Chungnam) 전북 (Jeonbuk) 전남 (Jeonnam) 경북 (Gyeongbuk) 경남 (Gyeongnam) 제주 (Jeju)

                                                       주) 부산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택가격동향 / 2021. 03

8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유형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Type]

 주택유형별로 아파트, 연립다세대는 상승폭 축소, 단독주택은 상승폭 유지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추이 (Sales Price Index Change by House Type) 2.00

1.00

0.00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1.00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15.1 '15.7 '16.1 '16.7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주)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 포함,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고 있음

서울 및 수도권, 지방의 모든 주택에서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에서 가장 높게 상승

지역별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Sales Price Index Change by House Type & Region)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2.00 1.60 1.20 0.80 0.40 0.00

1.40

   1.07

 0.75

 0.21

0.24

0.24

0.32

0.13 0.22

0.21

0.49

0.34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포함하며, 지방은 수도권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세종시 및 8개 도에 속한 시군구지역을 통틀어 지칭함

주택가격동향 / 2021. 03 9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규모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Scale]

 아파트, 연립 및 단독주택의 모든 규모에서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는 85m²초과~102m²이하에서 가장 높게 상승

  주택규모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Sales Price Index Change by Scale)

(%)

2.00

1.60

1.20

0.80

0.40

0.00

아파트 (%)

연립주택 단독주택

0.22

0.09

규모4

      0.72

규모1

1.07

규모2

1.11

규모3

1.37

규모4

1.04

규모5

0.71

규모6

0.40

0.30

0.20

0.10

0.00

0.25

규모1

0.25 0.25

규모2

0.24

0.13

     주)아파트:전용면적을기준으로6개규모로분류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102m²이하), 규모5(102m²초과~135m²이하), 규모6(135m²초과)

연립주택 :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 단독주택 : 전용면적 및 대지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개 규모로 분류

* 규모2(전용면적 99m² & 대지면적 231m²이하), 규모3(전용면적 99m²초과 331m²이하 & 대지면적 662m²이하, 또는 전용면적 99m²이하 & 대지면적 231m²초과 662m²이하), 규모4(전용면적 331m²초과 또는 대지면적 662m²초과)

건축연령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Age]

모든 건축연령에서 상승한 가운데, 연립주택은 20년 초과에서 가장 높게 상승

규모3

   건축연령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Sales Price Index Change by Age)

(%)

2.00

1.60

1.20 1.14

0.80 0.40 0.00

연령1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 연령2(5년초과~10년이하), 연령3(10년초과~15년이하), 연령4(15년초과~20년이하), 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 연령2(10년초과~20년이하), 연령3(20년초과)

      1.09

연령2

1.06

연령3

아파트 (%)

0.50

0.40 1.00 1.08 0.30 0.20 0.10 0.00

연령4 연령5

0.22 0.11

연령1

0.24 0.14

연령2

연립주택 단독주택

0.35

0.24

연령3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0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개황 [Overview]

         전국 0.46 % 수도권 0.51 % 지방 0.41 % 서울 0.29 % 전국 전세가격은 상승세 지속되나, 계절적 비수기와 매물 누적 등으로 수도권과 지방에서 모두 상승폭 축소

주택유형별로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상승폭 축소, 단독주택은 상승폭 유지

  전세가격지수 추이 (Jeonse Price Index Trends) 110

100

90 80 70 60 50

주) 주택가격지수(KHPI)는 2012년 1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 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며, 2003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지수는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의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기하평균)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기 공표된 KB지수와 다를 수 있음(KB지수의 (구)시계열통계표는 http://www.r-one.co.kr 참조)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전국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The Whole Country Transaction and Jeonse Price index Change)

수도권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Jeonse Price Index Change)

(%)

1.5 1.0 0.5 0.0

-0.5

-1.0

'19.3

거래량 (우) (만건) 전월비 (좌)

(%)

거래량 (우) (만건)

전월비 (좌)

18 1.5   18 15 1.0   15

       12

12

              '19.9

'20.3

'20.9

'21.3

0.5 99

0.0 66

3-0.5 3

0-1.0 0 '19.3 '19.9 '20.3 '20.9 '21.3

  지방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Non-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Jeonse Price Index Change)

서울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Transaction and Jeonse Price Index Change)

(%)

1.5 1.0 0.5 0.0

-0.5

-1.0

'19.3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9

(만건) (%) 거래량 (우) (만건) 전월비 (좌)

                '19.9

'20.3

'21.3

61.5 6

51.0 5

44 0.5

33

0.0 22

1-0.5 1

0-1.0 0 '19.3 '19.9 '20.3 '20.9 '21.3

주) 거래량은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참조하였으며, 확정일자 신고일 기준으로 가격 변동률보다 한 달 늦게 발표됨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1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개황 [Overview]

 (%)

1.5

1.0

0.5

0.0

0.95 0.78

0.88

수도권은 학군 양호하거나 역세권 위주로, 지방은 매매가 상승 영향 있는 주요 광역시 위주로 상승

공표지역176개시군구중상승지역(171개→168개)및보합(1개→0개)은감소,하락지역(4개→8개)은증가

   0.29

0.28

0.22

0.25 0.14

0.31

0.13

0.47

0.43 0.35

0.65

0.66

0.56

0.39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단위 : %)

0.68 0.72 0.51 0.62 1.92 6.57

0.74 0.58 0.41 0.43 1.74 5.09

0.51 0.42 0.29 0.47 1.22 4.18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Jeonse Price Index Change)

 전월비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20.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계절조정

 '20.12

 '20.3

  전 국 (The Whole Country)

 0.53

 0.47

 0.66

 0.97

 0.71

 0.64

 0.46

 0.53

 1.83

 5.80

   수도권 (Seoul Metropolitan Area)

지 방 (Non-Seoul Metropolitan Area)

서 울 (Seoul)

0.65 0.56

0.41 0.39

0.41 0.35

0.74 0.89

0.58 1.03

0.53 0.63

         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포함하며, 지방은 수도권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세종시 및 8개 도에 속한 시군구지역을 통틀어 지칭함

  시도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단위 : %)

과천시(-0.30)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서울

강북 (Northern Seoul)

0.30 노원구(0.53)

0.28 동작구(0.38)

0.95 서구(1.56)

0.56 시흥시(1.55)

0.47 기장군(1.08)

0.78 달서구(0.91)

0.28 남구(0.40)

0.88 서구(0.99)

0.65 울주군(0.82)

0.39 춘천시(0.74)

0.35 청주시 청원구(0.56)

0.43 계룡시(1.16)

0.22 전주시 완산구(0.36)

0.14 여수시(0.41)

0.25 김천시(0.48)

0.31 거제시(0.92)

강북구(0.38)

강남구(0.33)

중구(1.51)

의왕시(1.43) 하남시(-0.34)

강서구(1.05)

수성구(0.85)

광산구(0.39)

중구(0.99)

북구(0.81)

원주시(0.55)

청주시 상당구(0.55)

아산시(1.02)

군산시(0.34) 남원시(-0.01)

광양시(0.29) 목포시(-0.18)

포항시 북구(0.48)

   강남 (Southern Seoul) 인천 (Incheon)

      경기 (Gyeonggi)

부산 (Busan)

대구 (Daegu)

광주 (Gwangju)

대전 (Daejeon)

울산 (Ulsan)

세종 (Sejong) 0.66

                     강원 (Gangwon)

충북 (Chungbuk)

충남 (Chungnam)

전북 (Jeonbuk)

전남 (Jeonnam)

경북 (Gyeongbuk)

경남 (Gyeongnam)

제주 (Jeju) 0.13

양산시(0.83) 창원시 마산합포구(-0.14) 통영시(-0.06)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2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Region]

(서울) 역세권이거나 학군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매물누적과 급등피로감 등으로 상승폭 축소 (인천·경기)경기는시흥·의왕·평택시등위주로,인천은역세권및교통개선기대감있는단지위주로상승

            (1) 서울 [Seoul]

(2) 인천 및 경기지역 [Incheon·Gyeonggi]

  0.30 %

강북

0.28 %

강남

노원구(0.53%)는 교통여건 양호한 상계·월계동 저가 단지 위주로, 성북구 (0.37%)는 정주여건 양호한 길음·돈암동 신축 위주로, 동대문구(0.30%)는 교통여건양호한장안동위주로상승

동작구(0.38%)는교통여건양호한사당동과정비사업기대감있는본동구축 위주로, 강남(0.33%)·서초(0.33%)·송파구(0.32%)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상승했으나, 전반적으로매물누적되며상승폭축소

0.95 %

인천

0.56 %

경기

서구(1.56%)는 교통환경 및 정주여건 양호한 청라신도시와 루원시티 등 신축 위주로, 중구(1.51%)는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영종도 위주로, 남동구 (1.30%)는만수·간석·구월동등역세권위주로상승

시흥시(1.55%)는교통개선기대감있는배곧신도시와장현·목감지구위주로, 의왕시(1.43%)는 포일·오전·내손동 위주로, 평택시(1.18%)는 주거환경 양호하거나직주근접한지역위주로상승

    서울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Seoul Jeonse Price Index and Change)

수도권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 Seoul Metropolitan Area Jeonse Price Index and Change)

(%)

3.00

2.00

1.00

0.00

-1.00

전세가격지수 전월비(좌) 전세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

3.00

2.00

1.00

전세가격지수 전월비(좌) 전세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2017. 11=10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80.0 0.00 70.0 -1.00

2017. 11=10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29 0.47 1.22

(단위 : %)

전년 동월비

4.18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95 0.89 2.71

0.56 0.63 2.21

0.28 0.60 1.76

0.45 0.48 2.20

0.78 0.89 2.07

0.61 0.69 2.88

0.14 0.14 0.38

0.65 0.63 2.82

0.55 0.54 2.59

(단위 : %)

전년 동월비

8.33

7.82

6.58

10.47

7.35

10.90

0.65

7.79

5.52

110.0

100.0

90.0

110.0

100.0

90.0

80.0

70.0

  지역 (Region)

지역 (Region)

인천 (Incheon) 경기 (Gyeonggi)

서울 (Seoul)

강북 (Northern Seoul)

도심권 (Dosim-kwon) 동북권 (Dongbuk-kwon) 서북권 (Seobuk-kwon)

강남 (Southern Seoul) 서남권 (Seonam-kwon) 동남권 (Dongnam-kwon)

0.30 0.40 1.13 3.62

0.19 0.27 0.85 2.70

0.34 0.43 1.22 3.81

0.24 0.34 1.04 3.55

0.28 0.54 1.31 4.72

0.26 0.41 1.03 3.27

경부1권 (Gyeongbu1-kwon) 경부2권 (Gyeongbu2-kwon) 서해안권 (Seohaean-kwon) 동부1권 (Dongbu1-kwon) 동부2권 (Dongbu2-kwon) 경의권 (Gyeongui-kwon) 경원권 (Gyeongwon-kwon)

                                             0.31 0.70 1.68

6.68

      주) 서울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 경기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3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Sales Price Trends by Region]

(5대 광역시) 대전·대구는 상대적 저가 인식 있는 지역과 정주여건 양호한 인기 단지 위주로 상승세 지속 (기타지방)강원은춘천·원주시등주요지역의신축위주로,충북은청주시율량지구와음성군혁신도시위주로상승

            (3) 5대 광역시 [5 Metropolitan Cities]

(4) 기타 지방 [Rest of Provinces]

  0.88 %

대전

0.78 %

대구

중구(0.99%)는 정주여건 양호한 목·대흥동 대단지 위주로, 서구(0.99%)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관저·탄방동 위주로, 유성구(0.93%)는 죽동에서 매매가격과동반하여상승

달서구(0.91%)는장기·본동등죽전네거리위주로, 수성구(0.85%)는상대적 저가 인식 있는 지산·범물동 위주로, 달성군(0.85%)은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다사·화원읍신축위주로상승

0.39 %

강원

0.35 %

충북

춘천시(0.74%)는 온의·퇴계동 (준)신축 위주로, 원주시(0.55%)는 정주여건 양호한 무실동과 반곡동 혁신도시 위주로, 강릉시(0.27%)는 학군수요 있는 유천·홍제동인기단지위주로상승

청주 청원구(0.56%)는 직주근접성 양호한 율량지구 위주로, 청주 상당구 (0.55%)는동남지구신축위주로, 충주시(0.30%)는안림동외곽지역위주로, 음성군(0.26%)은맹동면혁신도시에서매매가격과동반하여상승

    5대 광역시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5 Metropolitan Cities Jeonse Price Index and Change)

8개 도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8 Provinces Jeonse Price Index and Change)

(%) 전세가격지수 전월비(좌) 전세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

3.00

2.00

1.00

0.00

전세가격지수 전월비(좌) 전세가격지수(우)

계절조정지수 전월비(좌) 계절조정지수(우)

3.00

2.00

1.00

0.00

-1.00

115.0

105.0

95.0

85.0

115.0

105.0

95.0

85.0

75.0

  2017. 11=10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75.0 -1.00

2017. 11=10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지역 (Region)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59 0.64 2.50

0.47 0.50 2.26

0.25 0.28 1.53

0.69 0.72 2.91

0.56 0.61 2.70

0.78 0.75 2.54

0.28 0.34 1.15

0.88 0.95 3.67

0.65 0.69 3.46

(단위 : %)

전년 동월비

6.99

5.46

3.93

7.55

5.56

5.69

2.99

11.96

13.90

변동률 (Change)

전월비 전월비 전년 (계절조정) 말비

0.29 0.30 1.09

0.39 0.36 1.49

0.35 0.34 0.97

0.43 0.47 1.78

0.22 0.21 0.61

0.14 0.15 0.44

0.25 0.23 1.11

0.31 0.24 1.22

0.13 0.12 0.44

(단위 : %)

전년 동월비

3.06

3.71

4.03

5.14

1.51

1.62

2.07

4.02

-0.51

  5대 광역시

(5 Metropolitan Cities)

부산 (Busan)

중부산권 (Jungbusan-kwon)

동부산권 (Dongbusan-kwon)

서부산권 (Seobusan-kwon)

대구 (Daegu) 광주 (Gwangju) 대전 (Daejeon) 울산 (Ulsan)

8개 도 (8 Provinces) 강원 (Gangwon) 충북 (Chungbuk) 충남 (Chungnam) 전북 (Jeonbuk) 전남 (Jeonnam) 경북 (Gyeongbuk) 경남 (Gyeongnam) 제주 (Jeju)

                                                       주) 서울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 경기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4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유형별 [Housing Jeonse Price Trends by Type]

 주택유형별로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상승폭 축소, 단독주택은 상승폭 유지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추이 (Jeonse Price Index Change by House Type) 3.00

2.00

1.00

0.00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1.00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15.1 '15.7 '16.1 '16.7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주)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 포함,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고 있음

서울 및 수도권, 지방의 모든 주택유형에서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에서 가장 높게 상승

   지역별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Jeonse Price Index Change by House Type & Region)

(%)

1.20 1.00 0.80 0.60 0.40 0.20 0.00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0.38

0.18 0.14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0.70

0.73

0.67

  0.15

0.05

0.19

 0.11

0.05

0.03

      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포함하며, 지방은 수도권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세종시 및 8개 도에 속한 시군구지역을 통틀어 지칭함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5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규모별 [Housing Jeonse Price Trends by Scale]

 모든 주택유형, 규모별에서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는 전용면적 60m²초과 85m²이하에서 가장 높게 상승

  주택규모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Jeonse Price Index Change by Scale)

(%)

1.60

1.20

0.80

0.39

아파트 (%)

연립주택 단독주택

 0.24

0.20

0.20 0.16 0.12 0.08 0.04 0.00

규모1

주)아파트:전용면적을기준으로6개규모로분류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102m²이하), 규모5(102m²초과~135m²이하), 규모6(135m²초과)

연립주택 :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 단독주택 : 전용면적 및 대지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개 규모로 분류

* 규모2(전용면적 99m² & 대지면적 231m²이하), 규모3(전용면적 99m²초과 331m²이하 & 대지면적 662m²이하, 또는 전용면적 99m²이하 & 대지면적 231m²초과 662m²이하), 규모4(전용면적 331m²초과 또는 대지면적 662m²초과)

건축연령별 [Housing Jeonse Price Trends by Age]

모든 주택유형, 건축연령별에서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는 5년이하 연령에서 가장 높게 상승

     0.15

    0.40

0.00

0.48

규모6

0.05

0.08

0.05 0.06

0.69

규모2

0.76

규모3

0.74 0.64

규모4 규모5

0.11

               규모1

규모2

규모3 규모4

   건축연령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Jeonse Price Index Change by Age)

(%)

아파트 (%)

0.24

0.20

0.16

연립주택 단독주택

2.00

1.60

1.20

0.80

0.40

0.00               0.00

      0.16 0.12 0.08 0.04

0.14

0.14

0.05

연령3

  0.88

연령1

0.80 0.79

연령2 연령3

0.62 0.59

연령4 연령5

0.06

연령1

0.04

연령2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 연령2(5년초과~10년이하), 연령3(10년초과~15년이하), 연령4(15년초과~20년이하), 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 연령2(10년초과~20년이하), 연령3(20년초과)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6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개황 [Overview]

 월세·준월세·준전세 모두 상승폭 축소되며, 월세통합도 상승폭 축소

   월세통합 (Monthly Rent Total Index) 0.14 %

대체적으로 전세시장 상승폭 축소되며 월세통합 변동률도 동반 감소된

가운데, 교통환경 양호한 지역이나 신축 단지 위주로 상승

월세 (Monthly Rent Index) 0.06 %

대전과 세종 순으로 상승하였으나, 신규입주물량 영향 및 전세가격 상승폭

축소와 동반하여 상승폭 축소

준월세 (Semi-Monthly Rent Index)

인천은 지난달 대비 상승폭 확대되었고, 지방은 강원·충북 지역 순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전세가격과 동반하여 상승세 이어지나 상승폭은 소폭 축소

준전세 (Semi-Jeonse Price Index) 0.31 %

준전세도 전월대비 상승폭 축소된 가운데, 인천은 교통환경 양호한 지역

위주로, 대전·대구·울산은 신축 단지 또는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월세 세부가격지수 전월 대비 변동률

(Segmented Monthly Rent Index Change)

지난달

이번달(단위 : %)

         0.11 %

월세통합

월세

준월세

준전세

0.19 0.14

0.07 0.06

0.14 0.11

  -0.10 0.10

0.30

0.43 0.31

0.50

0.70

(단위 : %)

    변동률 (Change)

구분

 월세통합

(Monthly Rent Total Index Change)

월세

(Monthly Rent Index Change)

준월세 (Semi-Monthly Rent Index Change)

준전세 (Semi-Jeonse Price Index Change)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종합 0.14 0.15 0.14 0.08 0.06 0.04 0.07 0.00 0.11 0.10 0.11 0.04 0.31 0.34 0.28 0.18 아파트 0.22 0.21 0.22 0.11 0.08 0.06 0.11 -0.01 0.16 0.14 0.18 0.04 0.46 0.47 0.45 0.22 연립주택 0.04 0.05 0.01 0.05 0.01 0.01 0.00 0.01 0.03 0.04 0.01 0.03 0.11 0.13 0.04 0.12 단독주택 0.02 0.03 0.01 0.05 0.01 0.02 0.01 0.02 0.02 0.03 0.02 0.04 0.04 0.08 0.03 0.11

주택유형별 월세 세부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Segmented Monthly Rent Index Change by House Type)

      (%) 0.60

0.50 0.40 0.30

0.20 0.10 0.00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0.46

     0.22

0.16

  0.04

월세통합

0.02

0.01

월세

0.01

0.03

준월세

0.02

0.04

0.08

0.11

준전세

   주) ‘월세지수’:보증금이1년치월세미만의월세,‘준전세지수’:보증금이전세금의60%초과하는월세,‘준월세지수’:월세와준전세중간영역월세의각각가격지수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7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Monthly Rent Trends by Region]

 (1) 수도권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 직주근접 수요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계절적 비수기 등의 영향으로 상승폭 소폭 축소 (인천·경기)서울접근성및교육환경양호한주요단지위주로상승

  0.08 %

강북

0.08 %

강남

마포구(0.18%)는공덕·도화·아현동역세권위주로, 성동구(0.13%)는정주여건 양호한 금호·성수동 위주로, 종로구(0.08%)는 직주근접 및 신학기 수요 있는 숭인·동숭·명륜동위주로상승

강남구(0.14%)는 교통여건 양호한 논현·역삼동 역세권 인근 지역 위주로, 동작구(0.13%)는정주여건양호한사당·흑석동및학군양호한대방동등위주로, 서초구(0.12%)는서초·방배동등전세가격상승과동반하여상승 경기

연수구(0.76%)는 교육환경 양호한 송도신도시 위주로, 서구(0.69%)는 청라신도시및인천2호선인접한지역위주로, 남동구(0.44%)는남동공단인근 및역세권주요단지위주로상승

의왕시(1.04%)는 생활편의시설 양호한 내손·청계·포일동 위주로, 남양주시(0.37%)는 전세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금곡동·오남읍 위주로, 동두천(0.36%)·의정부시(0.32%)는신축단지나교통양호한지역 위주로상승

(단위 : %)

0.11 0.21

0.05 0.28

0.11 0.50

0.20 0.44

0.03 0.10

0.04 0.38

0.17 0.39

0.35 %

인천

  권역별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단위 : %)

0.15 %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월세통합

월세

준월세

준전세

 서울 (Seoul)

  0.08

  0.00

  0.04

  0.18

   지역 (Region)

변동률 (Change)

월세통합

월세

준월세

준전세

 인천 (Incheon)

 0.35

 0.21

 0.31

 0.68

 경기 (Gyeonggi)

  0.15

  0.03

  0.10

  0.37

      강북 (Northern Seoul) 도심권 (Dosim-kwon) 동북권 (Dongbuk-kwon) 서북권 (Seobuk-kwon)

강남 (Southern Seoul) 서남권 (Seonam-kwon) 동남권 (Dongnam-kwon)

0.08 0.01 0.05 0.19

0.08 0.04 0.05 0.13

0.07 -0.01 0.03 0.20

0.10 0.05 0.08 0.17

0.08 -0.01 0.03 0.16

0.07 -0.01 0.03 0.15

경부1권 (Gyeongbu1-kwon) 경부2권 (Gyeongbu2-kwon) 서해안권 (Seohaean-kwon) 동부1권 (Dongbu1-kwon) 동부2권 (Dongbu2-kwon) 경의권 (Gyeongui-kwon) 경원권 (Gyeongwon-kwon)

0.14 0.09

0.10 -0.01

0.17 0.00

0.23 0.13

0.03 0.00

0.10 -0.05

0.22 0.11

                                    0.10 -0.01 0.02

0.18

      주) 서울 권역(생활권역)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분류이며, 자세한 기준은 조사개요 참조

(2) 지방 [Non-Seoul Metropolitan Area]

(5대 광역시)전세가격 상승폭 축소 영향으로 5대광역시 모두 상승폭 축소된 가운데, 대전·대구·울산 순서로 상승 (8개도) 충북·경남·전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상승폭 축소된 가운데, 강원·충북·충남 순서로 상승

  서구(0.60%)는 정주여건 양호한 도안신도시 및 둔산지구 위주로, 유성구 0.43 % (0.42%)는 교통 양호한 지역이나 신학기 월세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대전 중구(0.40%)는교육여건및생활편의시설양호한지역위주로상승

음성군(0.38%)은 맹동면 혁신도시 및 금왕면 등 산업단지 위주로, 충주시 0.16 % (0.35%)는 안림동 등 외곽지역 위주로, 청주시(0.11%)는 교통이나 거주여건

충북 양호한흥덕·청원구위주로상승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8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지역별 [Housing Monthly Rent Trends by Region] 시도별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최고·최저 변동지역

   지역 (Region)

 월세통합

(Monthly Rent Total Index Change)

 월세

(Monthly Rent Index Change)

 준월세 (Semi-Monthly Rent Index Change)

 준전세

(Semi-Jeonse Price Index Change)

 최고 상승지역

 최고 하락지역

 5대 광역시 (5 Metropolitan Cities) 8개 도 (8 Provinces)

0.20

0.10

0.08

0.08

0.35

0.15

0.12

0.25

0.08

0.43

0.22

0.35

0.18

0.16

0.13

0.03

0.06

0.06

0.11

0.02

0.10

0.04

0.01

-0.01

0.21

0.03

0.03

0.12

0.02

0.30

0.14

0.27

0.12

0.12

0.07

-0.04

0.02

0.01

0.06

0.00

0.16

0.08

0.05

0.03

0.31

0.10

0.09

0.20

0.05

0.37

0.20

0.32

0.16

0.15

0.11

0.00

0.04

0.04

0.09

0.02

0.40

0.20

0.19 마포구(0.18)

0.16 강남구(0.14)

0.68 연수구(0.76)

0.37 의왕시(1.04)

0.30 기장군(0.31)

0.52 중구(0.63)

0.18 동구(0.12)

0.65 서구(0.60)

0.44 북구(0.35)

0.51

0.30 원주시(0.30)

0.27 음성군(0.38)

0.30 홍성군(0.28)

0.13 군산시(0.06)

0.11 여수시(0.21)

0.17 포항시 남구(0.19)

0.21 양산시(0.28)

0.09

(단위 : %)

하남시(-0.21)

남원시(-0.01)

목포시(-0.06)

문경시(0.00)

창원시 마산회원구(-0.02)

      서울

강북 (Northern Seoul)

   강남 (Southern Seoul) 인천 (Incheon)

경기 (Gyeonggi) 부산 (Busan) 대구 (Daegu) 광주 (Gwangju) 대전 (Daejeon) 울산 (Ulsan)

세종 (Sejong) 강원 (Gangwon) 충북 (Chungbuk) 충남 (Chungnam) 전북 (Jeonbuk) 전남 (Jeonnam) 경북 (Gyeongbuk) 경남 (Gyeongnam) 제주 (Jeju)

주)최고및최저변동지역은월세통합기준

                                                      전국 주택월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The Whole Country Transaction and Monthly Rent Index Change)

수도권 주택월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Monthly Rent Index Change)

(%)

0.4 0.3 0.2 0.1 0.0 -0.1 -0.2

'19.3

거래량 (우) 전월비 (좌)

'20.9

(만건) (%)

12 0.4

10 0.3

8 0.2

6 0.1

4 0.0

2 -0.1

0 -0.2

'21.3 '19.3

거래량 (우) (만건)

전월비 (좌)

'20.9

10 8 6 4 2 0

                           '19.9

'20.3

'19.9

'20.3

'21.3

  지방 주택월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Non-Seoul Metropolitan Area Transaction and Monthly Rent Index Change)

서울 주택월세 거래량주) 및 가격지수 변동률 (Seoul Transaction and Monthly Rent Index Change)

(%)

0.4 0.3 0.2 0.1 0.0 -0.1 -0.2

'19.3

거래량 (우) 전월비 (좌)

(만건)

(%)

거래량 (우) (만건)

전월비 (좌)

4 0.4   4

0.3 33

0.2

2 0.1   2

0.0 11

                 -0.1 0 -0.2

0

      '19.9

'20.3

'20.9 '21.3

'19.3 '19.9 '20.3 '20.9

'21.3

주) 거래량은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참조하였으며, 확정일자 신고일 기준으로 가격 변동률보다 한 달 늦게 발표됨

주택가격동향 / 2021. 03

19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유형별 [Housing Monthly Rent Trends by Type]

 모든주택유형에서상승하는가운데, 아파트유형에서가장높게상승

지역별 주택유형별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Monthly Rent Index Change by House Type & Region)

  (%)

0.40

0.30

종합

아파트

0.11 0.08

연립주택 단독주택

   0.20

0.14

0.10

0.00

0.04

0.02

0.05

0.05 0.05

0.22

0.21

0.15

0.22

0.14

   0.03

0.01

0.01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포함하며, 지방은 수도권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세종시 및 8개 도에 속한 시군구지역을 통틀어 지칭함

주택규모별 [Housing Monthly Rent Trends by Scale]

아파트 및 연립주택의 모든 주택규모에서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는 85m²초과~102m²이하 에서 가장 높게 상승

   주택규모별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Monthly Rent Index Change by Scale)

0.19

0.04

아파트 (%)

연립주택

0.02 0.02

(%)

0.50

0.40

0.30

0.20 0.16 0.10

0.00

규모1

주)아파트:전용면적을기준으로6개규모로분류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102m²이하), 규모5(102m²초과~135m²이하), 규모6(135m²초과)

      0.23

규모2

0.23 0.24

0.12 0.10 0.08 0.06 0.04 0.02 0.00

0.05

규모1

       규모3 규모4 규모5

0.15

규모6

규모2 규모3 규모4

연립주택 : * 규모1(40m²이하), 규모2(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85m²초과)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0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건축연령별 [Housing Monthly Rent Trends by Age]

 (%)

0.60 0.50 0.40 0.30 0.20 0.10 0.00

모든 주택유형 및 연령에서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는 10년 이하 연령에서 가장 높게 상승

  건축연령별 월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Monthly Rent Index Change by Age)

아파트 (%) 0.10

0.08 0.06

0.18 0.04 0.02

0.00

연령5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 연령2(5년초과~10년이하), 연령3(10년초과~15년이하), 연령4(15년초과~20년이하), 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 연령2(10년초과~20년이하), 연령3(20년초과)

연립주택 단독주택

        0.30 0.30

연령1 연령2

0.23

연령3

0.04

0.04

   0.18

연령4

0.03

 0.02

연령1

0.01

연령2

0.02

연령3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1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매매시장 [Sales Market Trends]

   매매 수급동향 (Supply and Demand Trends of Sales Market)

125.0 120.0 115.0 110.0 105.0 100.0

95.0

121.0

'21.2월 '21.3월

106.4

수요많음

공급많음

   112.2

118.3

 114.1

  107.5

   전국 수도권

지방

 전세시장 [Jeonse Market Trends]

전세 수급동향 (Supply and Demand Trends of Jeonse Market)

  125.0 120.0 115.0 110.0 105.0 100.0

95.0

116.3

'21.2월 '21.3월 수요많음

    108.8

113.6

 110.5

  '21.2월 '21.3월 수요많음

101.4

공급많음

주) 수급동향 : 한국부동산원 조사자를 대상으로 수요와 공급의 비중(임대문의 많음, 임대문의 약간 있음, 비슷함, 임차문의 약간 있음, 임차문의 많음)을 선택하게 하여 점수화한 수치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많음.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많음, 100에 가까울수록 수요와 공급이 비슷함을 의미함

105.0

104.2

   전국 수도권

지방

공급많음

 월세시장 [Monthly Rent Market Trends]

월세 수급동향 (Supply and Demand Trends of Monthly Rent Market) 120.0

     115.0 110.0 105.0 100.0

95.0

112.0

 105.8

110.4

 106.8

 101.8

    전국

수도권

지방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2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평균주택가격 [Mean Housing Prices]

  ※ 주) 평균(중위)가격은 표본구성 및 재고량 변화에 따른 가중치 조정 등으로 변동이 발생되어 지역 내 가격 변동률을 산정하는데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지역별 평균주택가격(종합) (Mean Housing Prices by Region)

지역별 평균월세가격(종합) (Mean Monthly Rent by Region)

(천원)

800,000

700,000

600,000

500,000

400,000 351,059 300,000

200,000 100,000

주택유형별 전국 평균가격(TheWholeCountryMeanHousingPricesbyType)

(천원)

120,000 100,000

평균보증금(좌)

평균월세가격(우)

평균매매가격 평균전세가격

 99,100

 975

 59,597 831

 41,058

495

656

 24,098

      713,486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주택유형별전국평균월세가격(TheWholeCountryMeanMonthlyRentbyType)

  493,065

288,390

210,535

20,000 000

  221,150 139,311

80,000 385,959 60,000

40,000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천원)

450,000

400,000

351,059

평균매매가격

평균전세가격

(천원)

100,000

80,000

평균보증금(좌)

평균월세가격(우)

1,000

800

600

400

200

  656

724

601

 41,058

46,903

445

26,434

34,770

       410,921

 350,000 300,000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0

304,535

258,433 60,000

   210,535

종합

172,799 40,000 142,355

  118,852

연립주택 단독주택

20,000

  아파트

00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평균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 (Mean Deposit / Jeonse Price)

    평균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Mean Jeonse Price / Sales Price)

(%)

100

80

64.9

60 40 20

70.4

74.9

주택종합 아파트

61.2 58.5

(%)

40

30

20

10

주택종합 아파트

24.4 24.2

      64.7 65.6 65.1

 18.3 16.6

19.0 17.1

17.6 16.2

  00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3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평균주택가격 [Mean Housing Prices]

  ※ 주) 평균(중위)가격은 표본구성 및 재고량 변화에 따른 가중치 조정 등으로 변동이 발생되어 지역 내 가격 변동률을 산정하는데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지역

 주택유형

 매매가격

 전세가격

 월세보증금

 월세가격

 평균 전세/매매

 평균 월세보증금/전세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단위:천원,%)

656 64.9 18.3

724 70.4 16.6

445 70.8 19.7

601 46.2 21.6

831 64.7 19.0

920 65.6 17.1

495 71.1 20.6

1,104 48.6 24.7

495 65.1 17.6

539 74.9 16.2

318 70.0 17.5

445 45.5 20.7

975 61.2 24.4

1,135 58.5 24.2

559 71.8 23.1

1,352 46.2 28.9

(단위:천원,%)

32,612 602 65.5 16.8

37,578 693 71.1 15.0

18,575 417 72.0 17.9

23,798 435 45.5 19.8

47,070 781 65.3 17.2

52,586 885 66.0 15.2

22,866 462 72.4 18.9

59,987 858 48.5 23.5

19,386 439 65.7 16.3

23,457 512 76.0 14.7

7,700 301 70.9 15.3

12,557 304 44.6 18.7

72,831 898 61.7 21.8

86,599 1,055 58.3 20.8

32,505 524 73.7 20.7

101,393 1,082 46.6 28.3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351,059 210,535 41,058

410,921 258,433 46,903

172,799 118,852 26,434

304,535 142,355 34,770

493,065 288,390 59,597

584,631 348,818 66,950

202,983 139,835 32,332

650,368 306,965 83,320

221,150 139,311 24,098

247,481 173,393 28,041

96,296 65,669 11,487

197,115 91,225 19,689

713,486 385,959 99,100

907,112 491,824 122,321

268,072 183,725 46,385

1,010,840 447,097 136,327

               주) 보증금과 월세조합이 다양하여 지역 유형별 보증금과 월세의 개별 비교는 부적절하며 전월세전환율의 고려 필요

중위주택가격 [Median Housing Prices]

  지역

 주택유형

 매매가격

 전세가격

 월세보증금

 월세가격

 중위 전세/매매

 중위 월세보증금/전세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종합

아파 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318,529 194,572

380,920 244,503

150,726 106,333

245,410 108,695

461,579 272,934

557,063 335,452

177,416 125,563

555,987 247,233

187,665 122,885

215,191 158,931

83,079 57,596

148,941 65,664

673,406 359,126

876,876 459,886

237,995 171,389

864,259 360,023

               주) 보증금과 월세조합이 다양하여 지역 유형별 보증금과 월세의 개별 비교는 부적절하며 전월세전환율의 고려 필요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4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전월세전환율('21년 2월)

  <전월세전환율 이용 유의사항>

·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로서, 이 비율이 높으면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며 낮으면 반대임 [전월세전환율={연간 임대료/(전세금-월세보증금)}×100]

· 상기 전월세 전환율은 전월세거래정보 시스템에 집계된 실거래 정보를 활용하여 1개월 시차가 발생하며 매기 거래건의 특성(가격, 물적특성 등)에 따라 장기 시계열상으로는 등락이 발생 할 수 있음 · 전월세전환율은 중위값으로 작성되어 하위지역에서는 전월대비 증감이 발생하여도 상위지역에서는 중위값 변동이 없을 수 있음 ※ (예시) 전국 보합, 수도권, 지방 0.1%p 하락

·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가격 대비 상대적인 개념으로 전환율 상승이 “절대적인” 월세부담 증가가 아님

※ (예시) 4월 전세 1억원, 전환율 5% ⇒ 월세부담=1억원×5%÷12월=416천원

5월 전세 9천만원, 전환율 5.1% ⇒ 월세부담=9천만원×5.1%÷12월=383천원

⇒ 전환율이 상승하여도 전세가격에 따라 “절대적인” 월세부담이 감소 할 수 있음

  전월세전환율 장기 시계열

(%) 주택종합 아파트 12.0

10.0

8.0

6.0

4.0

2.0

0.0

시도별 전월세전환율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주택담보대출금리

정기예금금리 (1년미만 )

                                              '11.1Q '11.3Q '12.1Q '12.3Q '13.1Q '13.3Q '14.1Q '14.3Q '15.1Q '15.3Q '16.1Q '16.3Q '17.1Q '17.3Q '18.1Q '18.3Q '19.1Q '19.3Q

  (%)

10.0

8.0

6.0

4.0

2.0

0.0

주택유형별 전월세전환율

8.2

8.6

  5.7

5.2

6.0

5.8 6.2

6.2

5.9

7.7

7.8

 6.8

7.0

6.8

6.8

7.0

7.0

 4.7

5.1

5.5

                        (%)

10.0 8.0 6.0 4.0 2.0 0.0

주택종합 아파트

8.7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5.7

5.2

6.2 4.3 4.6

5.5 4.0 4.0

7.0

7.6 6.8

4.9

 5.0 4.5

4.7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5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연도별 3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Year-over-year Change In Sales Price Index & Long-term Average]

     연도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Yearly Sales Price Index Change)

최근1년매매가격지수변동률과장기평균(Sales Prices Index Change and Long-term Average)

(%)

1.0 0.8 0.6 0.4 0.2

0.02 0.0

-0.2 -0.4

0.30

'15

0.54

'20

0.74

'21

(%)

1.2 1.0 0.8 0.6

0.4 0.27

0.2 0.14

0.61

연도별 3월

3월 장기평균

전월대비 변동률

0.90

0.54 0.32

0.0

'20.4 5 6 7 8 9 10 '20.11 12 1 2 3

최근1년전세가격지수변동률과장기평균(Jeonse Prices Index Change and Long-term Average)

장기평균

0.89

0.79

0.74

           0.23

'14

0.06

'17

0.12

'18

0.19

0.41

0.47 0.42

           '12

-0.08

'13

0.00

'16

-0.16 '19

 연도별 3월 전세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Year-over-year Change In Jeonse Price Index & Long-term Average]

    연도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Yearly Jeonse Price Index Change)

(%)

1.2

0.8

0.4

0.0

-0.4

연도별 3월

0.07

3월 장기평균 (%) 1.2

전월대비 변동률 장기평균

   1.0

0.8

0.97

0.71

        0.08

0.35

0.6

0.19 0.31 0.44

0.4 0.32 0.26

0.2 0.11 0.09 0.0

0.53

0.47

0.46

0.46

0.66 0.47

0.64

0.46

 0.10

  -0.13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0.25

0.02 -0.08 0.23 0.30

-0.33 -0.08 0.22 0.36

0.08 0.35 0.47 0.46

0.01 0.57 0.50 0.60

'20.4 5 6 7 8 9 10 '20.11 12

1 2 3

(단위 : %)

0.74 0.19

0.38 0.10

0.46 0.31

0.29 0.29

(단위 : %)

     연도별 3월 변동률

전국 (The Whole Country)

서울 (Seoul)

전국 (The Whole Country)

서울 (Seoul)

0.00 0.06 0.12

0.01 0.13 0.55

0.10 0.07 -0.13

0.11 0.13 -0.08

-0.16 0.54

-0.22 0.13

-0.25 0.19

-0.39 0.12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장기평균

              매매

      전세

      전국

'20.4

5

6

7

8

장기평균 0.19 0.07 0.12 0.11 0.12 0.18 0.20 0.20 0.18 0.11 0.14 0.19

지난달 대비 변동률 0.27 0.14 0.41 0.61 0.47 0.42 0.32 0.54 0.90 0.79 0.89 0.74

장기평균 0.27 0.08 0.14 0.15 0.22 0.34 0.33 0.29 0.23 0.24 0.27 0.31

지난달 대비 변동률 0.11 0.09 0.26 0.32 0.44 0.53 0.47 0.66 0.97 0.71 0.64 0.46

9

10

11

12

'21.1

2

3

               매매

    전세

  주) 당월 장기평균은 공표일을 기준으로 최근 10년의 당월 변동률의 평균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6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1. 법적 근거

「주택법」 제88조 제1항, 제89조 제2항 제4호, 동법 시행령 제91조 제2항 제3호,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 823호(2014.12.15)에 의한 주택가격동향조사 업무 위탁기관 지정(한국부동산원(구 한국감정원))

2. 조사목적

전국의 주택 매매, 전세, 월세가격을 조사하여 주택시장의 평균적인 가격변화를 측정하고, 주택시장 판단지표 또는 주택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3. 조사내용

주택 매매·전세·월세가격, 주택가격 변동요인, 주택수급동향, 주택시장 변동요인 * 조사주택유형 : 아파트, 연립 및 다세대주택, 단독주택

4. 조사지역 및 공표지역

(1) 조사모집단

- 아파트 : 임대주택을 제외한 전국의 거래 가능한 재고 아파트

- 연립 및 단독 : 매월 조사가 불가능한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국 거래 가능한 모든 주택

* 표본추출틀 : 주택가격정보체계

* 주택가격정보체계는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27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75조 규정에 따라 매년 전국의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정보, 이와 관련된 정보를 국토교통부장관이 구축한 부동산시장정보로 매년 1월 1일 기준일자의 확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표본추출틀로 활용

(2) 조사지역

- 아파트 : 203개 시군구 (78시, 24군, 101구)

- 연립 및 단독 : 212개 시군구 (78시, 33군, 101구)

(3) 공표지역

- 아파트 : 시군구 단위 공표, 주택재고 3만이상, 아파트 재고 1만이상인 187개 시군구 - 연립 및 단독 : 시도 단위 공표, 17개 시도 및 생활권역별 공표

모집단 76 2 78 69 32 101 82 227 34 261

조사 76 2 78 69 32 101 24 169 34 203

제외 0 0 0 0 0 0 58 58 0 58

공표 76 2 78 69 32 101 8 153 34 187

제외 0 0 0 0 0 0 74 74 0 74

* 세종특별자치시는 일반시에 포함, 2013년 9월 23일 여주시 승격 2014년 7월 1일 통합청주시 출범을 반영하여 집계함

5. 조사기준일 및 주기

(1) 조사기준일 : 매월 15일이 포함된 주의 월요일

(2) 조사주기 / 조사기간 : 월 1회 / 조사기준일로부터 5일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구분

 합계

 일반

  비자치

  

  일반

  비자치

  

  일반

  비자치

 계

   조사 지역

공표 지역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7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6. 조사결과 공표

(1) 공표일 : 조사 다음달 1일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2) 공표방법

- 보도자료 : 조사 다음달 1일 석간 배포

- 공표 : 조사 다음달 1일 홈페이지를 통한 공표

(3) 공표사이트 :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http://www.r-one.co.kr)

7. 표본설계

(1) 표본추출방법 : 층화 2단계 확률비례 집락추출법 (2) 아파트 추출기준

- 1차 추출단위 : 시군구 내 단지 / 규모 집락

- 2차 추출단위 : 집락 내 개별 호 (3) 연립 및 단독 추출기준

- 1차 추출단위 : 전국 읍·면·동

- 2차 추출단위 : 전국 읍·면·동 내 개별 주택 호 (4) 표본규모의 결정

- 비례배분 방식*으로 시군구에 표본 배분(초기 표본크기) 후 초기 상대표준오차 산출(주택 공시가격 기준으로 산정함) * 아파트는 제곱근비례배분, 연립 및 단독주택은 비례배분

- 초기 상대표준오차를 토대로 목표상대표준오차 결정

- 목표상대표준오차, 초기 상대표준오차, 초기 표본크기를 통해서 최종 표본크기 선정 (5) 표본수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구분

월간

 합계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전국

수도권 지방

* 수도권 : 서울·경기·인천

<조사프로세스>

28,360 17,190

13,833 8,306 14,527 8,884

*지방 :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6,350

3,872 2,478

4,820

1,655 3,165

          사전준비

  ·조사목록 ·실거래가 ·부동산테크확인

  표본확인 및 동향파악

  ·표본특성 확인 ·지역동향 파악 ·협력중개업소 문의

  가격결정 및 시황보고서 작성

  ·실거래가격 기반 표본가격 결정

·보고서 작성

  조사가격 검증

  ·1차(조사자) ·2차(지사) ·3차(주택통계부)

  공표

  ·(월간) 조사 익월 1일 ·(주간) 매 주 금요일 ·R-one, 부동산시장정보앱

  지수작성 및 보고서 작성

  ·주택가격지수 생성 ·보도자료, 보고서,

통계표(시계열) 작성

  조사결과 보고

  ·가격변동률, 변동원인 ·시황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8

 

  아파트

주택가격동향

연립주택

주택규모 구분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8. 조사방법

해당표본의 실거래사례가 있는 경우 실거래가격을 거래가능가격으로, 실거래사례가 없는 경우 매매사례비교법을 활용하여 유사실거래사례의 사정보정을 통하여 거래가능 가격 산정

1 조사대상(표본)의 당해 월 실거래사례가 있는 경우 실거래가격을 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 산정

2 조사대상(표본)의 당해 월 실거래사례가 없는 경우 유사거래사례를 활용하여 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 산정 3 조사대상(표본)의 당해 월 유사거래사례가 없는 경우 최근(조사월 기준 최근 6개월 이내) 거래사례를 활용하여

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 산정

4 조사대상(표본)의 당해 월 또는 최근의 유사거래사례가 없는 경우 매물정보, 시세정보, 부동산중개업소 등의

의견을 참조하여 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 산정

9. 주택규모 구분기준

(1) 아파트 및 연립주택

규모1 규모2 규모3 규모4 규모5 규모6

10. 건축연령 구분기준

연령1 연령2 연령3 연령4 연령5

11. 공표내용

규모1 40m²이하

규모2 40m²초과~60m²이하 규모3 60m²초과~85m²이하 규모4 85m²초과

(2) 단독주택

231m²이하

대지 231m²초과~662m²이하 면적

662m²초과

주택가격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전용면적

유의사항

        40m²이하 40m²초과~60m²이하 60m²초과~85m²이하 85m²초과~102m²이하 102m²초과~135m²이하 135m²초과

99m²이하

99~331m²

    규모2

규모2

331m²초과

  규모1

규모3

   규모2

규모3

   규모3

규모3

규모3

      아파트

연립주택

      5년이하

5년초과 ~ 10년이하 10년초과 ~ 15년이하 15년초과 ~ 20년이하 20년초과

연령1 연령2 연령3

10년이하

10년초과 ~ 20년이하 20년초과

    (1) 주택 매매, 전세, 월세가격지수(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

- 지역별, 주택유형별, 규모별, 연령별, 계절조정 지수

- 월세통합지수 : 월세, 준월세, 준전세 지수를 각각의 월세 거래량으로 가중 평균한 지수 - 월세지수 :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전세가격 대비 보증금 비율 10% 이하)

- 준월세지수 : '월세'와 '준전세'의 중간영역

- 준전세지수 :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 초과(전세가격 대비 보증금 비율 60% 초과) (2) 주택가격

- 평균 및 중위 주택매매 및 전세 및 월세가격

- 단위면적당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 5분위 주택가격 및 5분위 배율

주택가격동향 / 2021. 03 29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3)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비율 & 전세가격 대비 보증금 비율 (4)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PIR : Price to Income Ratio)

(5) 주택구매력지수(HAI : Housing Affordability Index) (6) 주택시장 수급동향(매매, 전세, 월세)

12. 주택가격지수의 추정

- 기준시점 대비 현재시점의 가격비를 기준시점이 100인 수치로 환산한 값, 기준시점 대비 조사시점 가격비의 기하평균 방식으로 계산

-주택가격은지역별,주택유형별,건축연령별가격수준및가격변동추이가상이할수있으며,때에따라일부지역또는 일부 주택 유형, 일부 건축연령이 주택가격을 견인하거나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분기준에 따라 세부적인 주택가격지수 제공

- 주택재고량을 가중치로 한 제본스지수 산식(Jevons index formular) 으로 계산 (기준시점 : 2017년 11월)

* 주의사항

·지역별로 기준시점(2017년 11월)의 가격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주택가격지수를 이용하여 지역별 가격차이를 비교할 수 없음 ·지수와 지수의 변동률은 소수점 이하 절사하지 않으나, 지면상 제약으로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나타냄

- 주택가격지수(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는 2012년 1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 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한 시계열이 구축되어 있으나, 중장기 추이분석을 위하여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에 의해 2003년 11월부터 시계열을 연장하였음. 따라서 2011년 12월까지의 시계열은 기 공표된 KB지수와 다를수있음

13. 상대표준오차

- 주택가격동향조사 통계량의 신뢰성을 검토하기 위한 지표로, 추정값의 표본오차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됨

상대표준오차 CV(%) = 표준오차 / 추정값 X 100

- 95% 신뢰수준에서 지수의 신뢰구간은 주택가격지수 ± 1.96 X (CV X 주택가격지수 / 100)

14. 전월세 전환율

(1) 전월세 전활율 정의

- 전월세전환율 이란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시 적용되는 비율로 임대인은 요구수익률, 임차인은 전월세 선택 및 월세계약시

기회비용을 계산하는 지표로 활용

전월세전환율(%) = 연세 X 100 전세금 - 보증금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0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2)전월세전환율작성개요

- 전월세 확정일자 신고 데이터를 활용함

- 신고일을 기준으로 월별 시군구별 중위 전환율을 산정 -거래량증감,거래특성변경등에따른안정적인전월세전환율산정을위해최근6개월신고된데이터를이용하여작성

3) 전월세전환율 산정 프로세스

1 최근 6개월 전세 및 월세 계약건 중 동일단지 동일면적(비아파트의 경우 동일행정동, 유사면적) 대상 추출 2 동일단지·면적(비아파트의 경우 동일행정동, 유사면적) 전세계약건의 중위전세금을 추정전세금으로 산정 3 추정전세금을 월세계약건에 적용하여 전월세전환율 산정

4 지역별, 규모별 중위값의 전월세전환율 산정

4) 공표지역 및 지역구분

- 전체 261개 시군구 중 아파트재고량, 거래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34개 시군구 공표 -비아파트의경우17개시도및생활권역공표

-서울

· 강북권역(도심권(종로, 중, 용산), 서북권(은평, 서대문, 마포), 동북권(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 강남권역( 서남권(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동남권(서초, 강남, 송파, 강동) )

-경기

·경부1권:과천,안양,성남,군포,의왕 ·경부2권:안성,용인,수원 ·서해안권:부천,안산,시흥,광명,화성,오산,평택 ·동부1권:남양주,구리,하남,광주 ·동부2권:이천,여주,양평,가평 ·경의권:김포,고양,파주 ·경원권:포천,동두천,양주,의정부,연천

-부산 ·중부산권:중,서,동,영도,부산진,남,연제,수영 ·동부산권:해운대,금정,동래,기장 ·서부산권:북,강서,사상,사하

5) 규모구분(전용면적기준)

15. 문의처

60m²이하

60m²초과~85m²이하

85m²초과

30m²이하

30m²초과~60m²이하

60m²초과

30m²이하

30m²초과~60m²이하

60m²초과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규모1

  규모2

  규모3

  부동산통계처 주택통계부(053-663-8501)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1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1. 주택가격지수 [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

·기준시점과 매기 조사되는 조사시점의 가격비를 이용하여 기준시점이 100인 수치로 환산한 값을 의미

·본 조사의 기준시점과 조사시점의 가격은 표본을 선정하고, 선정된 동일한 표본에 대하여 매 시점 가격을 산정 ·산정가격은 전문조사자의 현장방문을 통한 지역분석과 동일지역 또는 인근지역 실거래사례의 가격과 주택의 특성정보를

활용하여 거래사례비교법에 의하여 산정함

·기준시점 : 2017년 11월 (2017.11 지수 = 100.0)

·주택가격지수는 표본의 가격 비율로 산정되는 통계이기 때문에 이지수를 이용하여 지역간의 직접적인 가격차이를 비교할

수는 없음

※ 주택가격지수는 지면사정상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변동률은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표시하였음. 통계표 또는 시계열 통계표에 제공된 셀을 복사하여 선택하여 붙여넣기에서 '값'을 선택하여 붙여넣으면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확인 할 수 있음

2. 변동률

·주택가격지수의 두 시점간 비율이며, 백분비(%)로 표기

·본 조사에서는 전월비와 전년말비를 제공, 제공산식을 활용하여 원하는 두 시점의 가격 변동률을 구할 수 있음

→ (전월비) 당월과 전월의 지수 비율로 지난달 대비 평균적인 가격 증감률을 의미 ◆전월비계산식={(당월-전월)/전월}X100

→ (전년말비) 당월과 전년말의 지수 비율이며 전년말 대비 평균적인 가격 증감률을 의미 ◆계산식={(당월-전년말)/전년말}X100

·주택가격지수 변동률의 단위는 퍼센트(%)를 사용함, 포인트 (P, 단위를 갖지 않는 지수의 수치를 비교할 때 사용)와 다르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를 요함

- 예를 들어 전월지수 105, 당월지수 110의 경우, 지난달 대비 변동률은 4.76%(퍼센트)지난달 대비 지수는

5포인트(p)상승

◆변동률(%) = {(110 - 105) / 105} X 100 = 4.76퍼센트(%)

◆포인트(p) = 110 -105 = 5포인트(p)

※ 주택가격지수 및 변동률의 시계열은 2003년 11부터 제공되며, 통계표 항목 중 음영처리된 영역은 '해당수치 없음'을 의미함

3. 광역단위 지역 구분

(1) 광역지역

·수도권 : 서울, 경기, 인천

·지방:수도권을제외한전지역

·6대광역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5대광역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9개도: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8개도: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2

유의사항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주택가격

(2) 생활권역

·서울, 경기, 부산의 경우 2020도시기본계획에 의한 생활권역별 지수 및 변동률 제공

·<서울> 5개 생활권역외 강북권역, 강남권역의 지수 및 변동률 추가 제공

- 강북권역

·도심권 (종로, 중, 용산)

·동북권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서북권 (은평, 서대문, 마포)

- 강남권역

·서남권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동남권 (서초, 강남, 송파, 강동)

·<경기> 경부1, 2권, 서해안권, 동부1, 2권, 경의권, 경원권

-경부1권 : 과천, 안양, 성남, 군포, 의왕

-경부2권 : 안성, 용인, 수원

-서해안권 : 부천, 안산, 시흥, 광명, 화성, 오산, 평택

-동부1권 : 남양주, 구리, 하남, 광주

-동부2권 : 이천, 여주, 가평, 양평

-경의권 : 김포, 고양, 파주

-경원권 : 포천, 동두천, 양주, 의정부, 연천

※ 경기도 2020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5개 생활권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경부권 및 동부권의 경우 포괄하는 지역범위가 넓고 생활권역내 가격수준의 편차가 커 각각 2개 권역으로 분리하여 지표 제공

·<부산> 중부산권/동부산권/서부산권

-중부산권:중,서,동,영도,부산진,남,연제,수영

-동부산권:해운대,금정,동래,기장

-서부산권:북,강서,사상,사하

전월세전환율

월별장기평균

조사개요

유의사항

 ※주택가격지수는 2012년 1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한 시계열이 구축되었으나, 중장기 추이분석을 위하여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기하평균)에 의해 2003년 11월부터 시계열을 연장하였음. 따라서 2011년 12월까지의 시계열은 기 공표된 KB지수와 다를 수 있음.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3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월세가격동향

주택수급 및 거래동향 주택가격

월별장기평균

주택가격동향

통계개요 조사개요 유의사항

             세계 최고의 부동산시장 전문기관

건전한 부동산문화! 한국부동산원이 이끌어 가겠습니다.

51년간 대한민국 부동산 가치의 기준을 세워왔습니다. 더욱 신뢰할 수 있는 한국부동산원이 되겠습니다.

주택가격동향 / 2021. 03 34

매매가격동향 [Housing Sales Price Trends] 주택가격동향 201607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