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1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728x90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도참고자료 보도일시 배포시 배포일시 담당과장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담당자 김승태 (044-215-2770) 제목 : '21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2021. 5. 4.(화) 09:00 이상홍 사무관 (lsh0622@korea.kr) ◇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2.3% 상승(전월비 0.2%),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전년동월비 1.4% 상승 ◇ 작년 기저효과가 작용하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강세 지속, 석유류 가격 큰 폭 상승 등으로 3월 대비 오름폭 확대 주요품목 기여도 상방 요인 휘발유(0.29), 경유(0.19), 파(0.16), 사과(0.16), 공동주택관리비(0.09), (단위: %p, 전년동월비) 하방 요인 고등학교납입금(△0.17), 도시가스(△0.15) 학교급식비(△0.07), 휴대전화기(△0.05) □ 4월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가 작용하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강 세 지속, 석유류 큰 폭 상승 등으로 2.3% 상승(전년동월비) 4 전년동월비 0.1 2.3 전월비 △0.6 0.2 ᄋ 농축수산물은 조생종 양파·봄 대파 출하 등으로 농수산물 가 격 상승세가 둔화되었으나, 축산물 가격 소폭 상승 등으로 강세 지속(전년동월비, (3월)13.7→(4월)13.1%) * 전년동월비(%, 3→4월) : (농산물)19.2→17.9 (축산물)10.2→11.3 (수산물)1.8→0.6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3→4월) : (사과)55.3→51.5 (양파)38.8→17.5 (달걀)39.6→36.9 ᄋ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20.4월 유 가급락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전년 대비 큰 폭 으로 상승(1.3→13.4%) * 두바이유($/b): (‘20.2) 54.2 (3) 33.7 (4) 20.4 / (‘21.2) 60.9 (3) 64.4 (4) 62.8 (%) ‘20.4 5 6 7 8 9 ‘21.1 △0.3 △0.2 0.0 0.2 0.3 0.0 0.7 0.6 1.0 0.7 10 0.1 △0.6 11 0.6 △0.1 12 0.5 0.2 0.6 0.8 2 1.1 0.5 3 1.5 0.1 -1- 휘발유(원/L): (‘20.2) 1,545 (3) 1,469 (4) 1,324 / (‘21.2) 1,463 (3) 1,513 (4) 1,535 ᄋ 공공서비스는 ‘20.4월 고2 무상교육 시행에 따른 기저효과(△ 1.6%)와 국제항공료 상승으로 하락폭 축소(△2.0→△1.0%)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3→4월) : (고등학교납입금)△100.0→△100.0 (국제항공료)12.2→14.0 ᄋ 개인서비스는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외식물가에 반영되면 서 상승폭 확대(1.8→2.2%)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3→4월) : (구내식당식사비)3.9→4.4 (삼겹살(외식))1.2→1.4 전체 공업 석유류 가공식품 집세 공공 개인 외식 외식外 품목별 상승률(%) 농축 수산물 전기수도 가스 제품 서비스 서비스 3월 전년동월비 1.5 13.7 0.7 1.3 1.5 △5.0 1.0 △2.0 1.8 1.5 2.0 4월 2.3 13.1 2.3 (기여도, %p) - (1.0) (0.8) 전월비(%) 0.2 △0.5 0.3 (기여도, %p) - (△0.0) (0.1) 13.4 1.7 △4.9 (0.5) (0.1) (△0.2) 1.5 0.1 0.0 (0.1) (0.0) (0.0) 1.2 △1.0 2.2 1.9 2.5 0.1 (△0.1) (0.7) (0.2) (0.5) 0.1 0.1 0.5 0.4 0.5 (0.0) (0.0) (0.2) (0.1) (0.1) 전년동월비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폭 확대(1.0→1.4%) * 계절적요인이나, 일시적인충격에의해영향을크게받는농산물및석유류를제외한물 가상승률로 전체 460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관련 품목을 제외한 407개 품목으로 구성 (전년동월비,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20.4 5 0.3 0.5 0.1 0.1 6 7 8 0.6 0.7 0.8 0.2 0.4 0.4 9 10 11 0.9 0.1 1.0 0.6 △0.3 0.6 12 ‘21.1 2 0.9 0.9 0.8 0.5 0.4 0.3 3 4 1.0 1.4 0.6 1.1 □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석유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 하여 오름폭 확대(1.5→2.8%) * 전체 460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3→4월) : (식품)5.0→5.3 (식품이외)△0.5→1.3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3→4월) : (휘발유)1.8→13.9 (경유)0.7→15.2 (자동차용LPG) 2.8→9.8 ᄋ 신선식품지수*는 오름폭 축소(16.5→14.6%)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3→4월) : (신선어개)2.1→0.7 (신선채소)18.9→19.4 (신선과실)24.0→ 19.3 -2- (전년동월비, %) ‘20.4 생활물가지수 신선식품지수 234 1.2 1.5 2.8 18.9 16.5 14.6 0.3 2.9 5 △0.7 3.4 6 △0.3 4.3 7 0.0 8.4 8 0.5 15.8 9 10 11 12 ‘21.1 0.9 △0.7 △0.1 △0.1 0.3 21.5 19.9 13.1 10.0 9.2 -3- □ 4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기저효과가 작용하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강세 지속, 석유류 큰 폭 상승 등으로 인해 3월에 비해 오름폭 확대 ➊ 4월 소비자물가가 지표상으로 전년동월대비 2.3% 상승한 데는 코로나 19 및 국제유가 급락으로 작년 4월 물가상 승률이 이례적으로 낮았던 기저효과*가 상당부분 작용 * ‘20년초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비, %) : (‘20.1)1.5 (2)1.1 (3)1.0 (4)0.1 ▪ 지난해 기록적인 장마, 겨울 한파,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등으로 주 요 농축산물 가격 강세가 지속(전년동월대비 13.1% 상승) * 농축수산물 기여도(전년동월비, %p): (‘20.3)0.24 (’20.4)0.14 / (‘21.3)1.08 (’21.4)1.04 ▪ 국제유가도 작년 11월부터 회복, 60불대까지 상승함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전년동월대비 13.4% 상승) 공급측면 물가여건이 작년과 상이 * 석유류 기여도(전년동월비, %p): (‘20.3)0.26 (’20.4)△0.28 / (‘21.3)0.06 (’21.4)0.50 ➋ 전월비로는 0.2% 상승*하였으며, 국제유가 회복세에 따른 석유류 1.5% 상승 등 공급측 요인과 외식물가 상승에 따 른 개인서비스 0.5% 상승에 주로 기인 *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월비, %) : (‘16)0.2 (’17)△0.1 (‘18)0.2 (’19)0.4 (‘20)△0.6 (’21)0.2 ‘20~`21.상 물가지수 및 상승률(전년동월비, %) ‘20~’21년 3-4월 주요 품목성질별 기여도 자료: 통계청 자료: 통계청 □ 5월 및 2분기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가 지 속되면서 물가 상승폭이 2%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음 -4- 1.5 1 0.5 0 -0.5 (%p, 전년동월비) 1.04 0. 14 농축수산물 20.4월 21.4월 0.52 0.34 -0.28 0. 73 5.0 4.0 3.0 2.0 1.0 0.0 1월 2월 3월 4월 108 106 104 102 100 ( %, 전년동월비) '21.4월 물가상승률 기저효과 2 . 3 1.5 0.6 1.1 '21.3월 물가상승률 21년물가상승률 (좌) 21년(지수) (우) 20년(지수) (우) 석유류 개인서비스 * ‘20.상 소비자물가(전년동월비, %) : (‘20.1)1.5 (2)1.1 (3)1.0 (4)0.1 (5)△0.3 (6)0.0 -5- □ 다만, 연간 기준 2% 상회 가능성은 제한적인 상황 ➊ ‘20년 분기별 소비자물가는 2분기 △0.1%에서 3분기 0.6%, 4분기 0.4%로 상승함에 따라 기저효과가 완화 * ‘20년 소비자물가(전년비, %): (‘20.1/4)1.2 (2/4)△0.1 (3/4)0.6 (4/4)0.4 * ➋ 농축수산물 가격 강세도 수확기 도래 및 산란계 회복 등으 로 점차 둔화되고, 석유류도 국제유가가 60불대에서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물가 상승폭이 축소될 전망 * 봄배추(5~7월), 사과ᆞ배(8~10월), 쌀(10~11월), 가을배추(11~12월) 산란계 수 전망(만수): (평년)7,053 (’21.4.28)6,890 → (‘21.6e)7,023 → (‘21.9e)7,236 ** 국제유가(두바이유) 전망(CERA, 달러/배럴): (‘21.2/4)63 (3/4)67 (4/4)66 ➌ 주요 국제기구・IB들의 ‘21년 연간 물가전망도 1.4~1.5% 수준 * 한국 ‘21년 물가 전망: (IMF, ‘21.4월) 1.4%, (IB 평균, ’21.4월) 1.5% ※ (참고) 미국 3월 소비자물가(4.13일 발표) 동향 □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기저효과(‘20.3월 1.5*)가 크게 작용**하 면서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 *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비, %): (‘19.12월)2.3 (’20.1월)2.5 (2)2.3 (3)1.5 (4)0.3 (5)0.1 ** 작년 유가급락 영향으로 가솔린 22.5% 상승 등 에너지 13.2% 상승(전년동월비) *** 파월 미 연준의장 “최근 높은 물가상승률은 작년 3-4월의 기저효과 등으로 인한 일 시적인 현상이며 지속적인 물가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 □ 정부는 2분기 일시적 물가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 산되지 않도록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중심으로 안정적 물가 관리에 총력을 다 할 방침 ᄋ 정부 비축·방출, 수입 확대*, 할인쿠폰 행사 등을 통해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수급 조기 안정에 정책역량을 집중 * 4월 계란 1500만개 추가 수입(2,500만개 → 4,000만개)하고, 5월도 가격동향에 따라 추가 수입 추진 ᄋ 아울러, 국제유가·곡물 등 원자재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업계 소통·지원*을 통해 가격인상 요인을 최소화하는 한 편, 시장감시도 병행하는 등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하겠음 * Agro-Biz 발전포럼 내 물가대응분과를 신설하고 국제곡물 상승 등에 따른 주요 식품기업 애로사항 청취 및 물가안정방안 논의 중 -6-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