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도참고자료
2021. 5. 12.(수) 08:00
김민주 사무관 (kimminju@korea.kr)
보도일시 ’21. 5. 12.(수) 10:00 배포일시
담당과장
국제금융국 국제금융과 김동익 (044-215-4710)
담당자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2, 안정적’으로 유지
◇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는 5.12(수),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 수준(Aa2, 안정적)으로 유지*
* 무디스는 ’21.3월 기재부・한은 등과 올해 연례협의 실시
ᄋ 아시아 국가 중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등급
ᄋ 한국 경제의 강한 펀더멘탈, 견조한 대외건전성 등에 따른 빠른 회복을 높이 평가하며, 우수한 성장세 지속 전망
ᄋ ’21년 성장률을 3.1%(’21.2월 전망)에서 3.5%로 상향조정
무디스의 주요국 국가신용등급(’21.5월 현재)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신용등급 | 국가명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Aaa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룩셈부르크,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Aa1 핀란드, 오스트리아
Aa2 한국, 프랑스,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Aa3 영국, 벨기에, 체코, 홍콩, 마카오, 대만(+)
A1 일본, 중국, 칠레(-), 사우디아라비아(-)
A2 아일랜드, 폴란드
A3 페루, 말레이시아
* 국가명 뒤 (+)는 “긍정적” 전망, (-)는 “부정적” 전망, 나머지는 “안정적”
◇ 정부는 재정준칙 법제화 등으로 재정안정화에도 노력
1. 무디스 발표문 주요 내용
※ 이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무디스 보도자료를 요약·정리한 것이므로, 세부내용이나 정확한 표현 등은 원문 링크 및 첨부한 무디스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원문 링크: https://www.moodys.com/research/Moodys-Strong-fundamentals-underpin- Koreas-resilient-recovery-and-Aa2-rating--PR_446227
□ 한국의 신용등급과 전망(Aa2, 안정적)은 코로나19 충격으로 부터 탄력적 회복을 뒷받침한 아주 강한 펀더멘탈을 반영
ᄋ 국가채무 증가, 고령화, 對北 리스크는 도전 요인
□ ’20년 한국 GDP 성장률은 △1.0%로 유사 신용등급을 가진 대부분의 다른 선진국들보다 우수하였고,
ᄋ ’21년에는 한국 수출품에 대한 높은 수요와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 성장률이 3.5%*로 반등 전망
* 지난 ’21.2월 전망치 대비 +0.4%p 상향조정
□ 한국정부의 확장적 재정기조 지속 전망에 따라 국가채무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으며, 이는 장기간 유지해 온 한국의 재정규율 이력을 시험*할 수도 있음
* “testing the long-established track record of fiscal discipline”
ᄋ 다만, 세수가 점차 회복되고 저금리 여건 하에서 부채비용이 안정적 수준인 만큼, 한국의 부채 여력(debt affordability)은 계속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 한국의 신용등급 상향요인은 잠재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경제·구조개혁과 상당 수준의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임
ᄋ 반면,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대내외 충격에 따른 강하고 지속적인 경제피해, 정부재정의 대규모 악화는 하향요인
2. 평가 및 대응
□ 최근 우리 경제가 보여준 위기대응력 및 우수한 회복력에 대한 대외의 긍정적 시각과 신뢰를 재확인
ᄋ 지난 4.28일 S&P의 신용등급 유지(AA, 안정적)에 이어, 우리 나라의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결과
* ’21.1분기 성장률 전기대비 1.6% 성장, CDS 프리미엄 최저치(19bp) 경신(5.5일) 등
ᄋ 특히, ’21년 성장률 상향조정은 우리의 우수한 회복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을 반영
□ 정부는 앞으로도 무디스와 우리 경제동향 및 현안 등에 대한 긴밀한 소통을 통해 대외신인도 제고에 최선을 다할 것임
ᄋ 최근 신평사들이 코로나19 이후 각국 정부의 재정안정화 노력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점을 감안,
ᄋ 재정준칙 법제화를 국회와 함께 적극 추진하는 한편, ’21~’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마련시 총량관리 강화 등 재정안정화 노력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
※ [참고 1]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변동내역 [참고 2] 주요국 국가신용등급 비교(’21.5월 현재) [참고 3] 무디스 보도자료 원문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참고 1
15.12.18
15.04.10 12.08.27 12.04.02 10.04.14 07.07.25 07.07.03 06.04.25 04.06.11 03.02.11 02.11.15 02.03.28 01.11.29 99.12.16 99.08.23 99.02.12 98.12.18 97.12.21 97.12.10 97.11.27 97.10.27 97.03.07 90.04.04 86.11.18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변동 내역
Moody's
일자 등급 전망
S&P
일자 등급 전망
Fitch
일자 등급 전망
16.08.08
AA Stable
94.06.09 89.06.26 88.10.01
A+ Negative A+ Positive A+ -
AA- Stable
15.09.15
14.09.19
12.09.13
05.07.27
02.07.24
01.11.13
99.11.11
99.01.25
99.01.04
98.02.18
98.01.16
97.12.22
97.12.11
97.11.25
97.10.24
97.08.06
95.05.03
94.11.09 A+ Positive
A+
A+
A
A-
BBB+ Stable BBB Positive BBB- Positive BB+ Positive BB+ Stable B+ Wat Dev B+ Wat Neg BBB- Wat Neg A- Wat Neg A+ Negative AA- Negative AA- Stable
Positive Stable Stable Stable
Aa2 Stable
Aa3 Positive Aa3 Stable
12.09.06
11.11.07 09.09.02 08.11.10 05.10.24 05.09.19 02.06.27 02.05.13 00.09.21 00.03.29 99.06.24 99.04.26 99.01.19 98.12.22 98.06.19 98.02.02 98.01.21 97.12.23 97.12.11 97.11.26 97.11.18 96.06.27
AA- Stable
A+ Positive A+ Stable A+ Negative A+ Stable A positive A stable BBB+ Wat Pos BBB+ Stable BBB+ - BBB - BBB- Wat Pos BBB- - BB+ Wat Pos BB+ -
A1 A1 A2 A3 A3 A3 A3 A3 A3 Baa2 Baa2 Baa3 Baa3 Ba1 Ba1 Baa2 A3 A1 A1 A1 A2
Positive Stable Stable RUR(P) Positive Stable Negative Positive Stable Positive Stable RUR(+) Positive RUR(+) RUR(-) RUR(-) Stable Negative Stable
- -
BB+
B-
B-
BBB- A- A+- AA- -
Wat Pos Wat Pos Wat Neg Wat Neg
* (Moody’s) RUR: Rating Under Review for Upgrade(+) or Downgrade(-) (S&P・Fitch) Watch Positive > Positive > Stable > Negative > Watch Negative
참고 2
주요국1」 국가 신용등급 비교 ('21.5월 현재)
구분
등급1」
A+ (A1)
A (A2)
A- (A3)
BBB+ (Baa1)
BBB (Baa2)
BBB- (Baa3)
Moody’s
한국, 프랑스,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영국, 벨기에, 체코, 홍콩, 마카오, 대만(+)
일본, 중국, 칠레(-), 사우디아라비아(-)
아일랜드, 폴란드 페루, 말레이시아
스페인, 태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필리핀,
이탈리아, 포르투갈(+), 러시아, 인도(-)
S&P
일본, 중국
칠레, 스페인(-)
말레이시아(-),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페루, 필리핀, 태국
이탈리아, 포르투갈, 인도네시아(-), 멕시코(-)
러시아, 인도
Fitch
AAA (Aaa)
AA+ (Aa1)
AA (Aa2)
AA- (Aa3)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룩셈부르크,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핀란드, 오스트리아
12개국
2개국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미국, 핀란드, 오스트리아, 홍콩, 뉴질랜드
한국, 프랑스, 아부다비, 대만(+), 벨기에, 영국
체코, 아일랜드
11개국
5개국
10개국
투자 등급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룩셈부르크, 미국(-),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핀란드, 오스트리아
뉴질랜드(+), 프랑스(-), 아부다비, 마카오
한국, 영국(-), 벨기에(-), 체코, 홍콩, 대만, 아랍에미리트
중국, 아일랜드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폴란드, 칠레
페루(-),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포르투갈
이탈리아, 인도(-), 멕시코
모로코, 파라과이 그리스, 베트남(+) 터키, 브라질(-), 남아공(-) 이집트, 케냐(-) 몽골, 우크라이나 파키스탄
3개국
BB+ (Ba1)
BB (Ba2)
BB- (Ba3)
투기 등급
1」 주요국은 G20, ASEAN, PIIGS 국가 중심
2」 괄호안 등급은 Moody’s 기준
3」 국가명 뒤 (-)는 부정적 등급전망, (+) 긍정적 등급 전망
B+ (B1)
B (B2)
B- (B3)
모로코(-), 파라과이 브라질, 남아공(-) 그리스, 베트남(+)
피지(-)
터키(-), 캄보디아, 이집트 몽골, 파키스탄, 우크라이나
모로코, 그리스(+), 베트남, 파라과이 브라질, 남아공, 피지(-)
터키
몽골, 이집트, 우크라이나 파키스탄
참고 3 무디스 보도자료 원문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출입물류 동향 점검 및 대응 (0) | 2021.05.15 |
---|---|
기획재정부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0) | 2021.05.15 |
기획재정부 월간 재정동향 5월 (0) | 2021.05.15 |
21년 배당 결과 공표 보도자료 (0) | 2021.05.15 |
21년 5월 최근경제동향 (0) | 2021.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