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국민소득통계 2021년 6월 9일 공보 2021-06-07호 이 자료는 6월 9일 08: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19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0년 국민계정(잠정) ― 2020년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0.9% 감소 (전년 : +2.2%) ―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933조원으로 전년대비 0.4% 증가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762만원(미 달러화 기준 31,881달러) 붙임 : 2019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0년 국민계정(잠정) 문의처 :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 국민소득총괄팀 과장 이현영, 팀장 최정태 지출국민소득팀 과장 이승한, 팀장 이인규 분배국민소득반 과장 전현정, 반장 이관교 국민B/S팀 과장 이서현 Tel : (02) 759-4320, 4385, 5463 Fax : (02) 759-4387 E-mail : hylee04@bok.or.kr, lsh@bok.or.kr, hj.jeon@bok.or.kr 공보관 : Tel : (02) 759-4015,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bok.or.kr)에, 세부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임) 2019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0년 국민계정(잠정) 2021. 6.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 < 알리는 말씀 > I. 국민계정 연간 확정 및 연간 잠정 추계 배경 □ 국민소득통계의 정도 제고, 국민계정 통계간 정합성 확보 등을 위해 연간 잠정 및 분기 잠정 추계시 활용하지 못한 각종 기초자료*를 이용 하고 국제수지통계, 자금순환통계 등의 최근 공표치와 기초통계의 수정 내용을 반영 * 통계청의 광업.제조업조사, 서비스업 조사, 국세청 자료, 결산자료(정부결 산서, 기업경영분석, 기업결산서 등), 각종 협회자료 등 ᄋ 연간 잠정 추계시 종합계정,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자본재형태별 주체별 총자본형성 등 10개 부표를 작성 ᄋ 연간 확정 추계시에는 제도부문별 생산계정,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경제활동별 국내총부가가치와 요소소득 등 7개 부표를 추가로 작성 현행 국민계정 추계 체제 분기 속보 (1/4~4/4) 분기 잠정 (1/4~4/4) 연간 잠정 확정 공표시한 분기 종료후 28일 이내 분기 종료후 70일 이내 연도 종료후 6개월 이내 연도 종료후 1년 6개월 이내 이용자료 2개월 실적 및 결측월 추정자료 분기 잠정 자료 연간 잠정 자료 연간 확정 자료 추계내용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실질)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실질)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실질, 명목)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실질, 명목)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종합계정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자본재형태별 주체별 총자본 형성 등 10개 부표 ■연간 잠정 추계 내용 ■제도부문별 생산계정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경제활동별 국내총부가가치 와 요소소득 등 7개 부표 II. 2019년 및 2020년 GDP 성장률의 수정 내용 □ 2019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0년 국민계정(잠정) 추계 결과 2019년 및 2020년 GDP 성장률이 2020년 4/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 잠정 (2021.3.4. 발표) 시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GDP 성장률의 수정 내용 2019년(종전) I II III IV 연간 ■전기대비(SA) (%) ■전년동기대비 (%) -0.3 1.0 0.4 1.3 2.0 1.8 2.1 2.0 2.3 2.0 2019년(수정) I II III IV 연간 -0.2 1.0 0.4 1.3 2.2 1.9 2.3 2.1 2.6 2.2 2020년(종전) I II III IV 연간 ■전기대비(SA) (%) ■전년동기대비 (%) -1.3 -3.2 2.1 1.2 -1.0 1.4 -2.7 -1.1 -1.2 -1.0 2020년(수정) I II III IV 연간 -1.3 -3.2 2.2 1.1 -0.9 1.5 -2.6 -1.0 -1.1 -0.9 경제규모 및 국민소득 (명목) 국내총생산 (GDP) 1인당 국민총소득 조원 1,919.0 ( G N I ) 달러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 천원 (PGDI) 달러 생산 및 지출항목별 실질증감률 국 내 총 생 산(GDP) %(%p) 제조업 〃 건설업 〃 서 비 스 업2) 〃 최종소비지출 〃 민간 〃 정부 〃 총고정자본형성 〃 건설투자 〃 설비투자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민간 〃 정부 〃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 국민총소득(GNI) 〃 GDP 디플레이터 등락률 %(%p) 노동소득분배율 %(%p) 저축률과 투자율 (명목) 총저축률 %(%p) 0.2 -1.9 0.4 -0.8 66.4 34.7 6.9 31.3 -1.8 -1.5 -3.3 -1.3 -0.2 0.2 1.3 0.1 67.5 0.9 35.9 0.0 11.9 0.9 31.7 0.2 0.6 0.4 0.0 0.1 - 0.1 - 0.2 가계순저축률 국내총투자율 〃 6.0 〃 31.2 - 31.4 국민계정 주요지표의 수정 내용 단위1) 2019p (A) 2020p (B) 2019f 2020p (C) (D) 1,924.5 1,933.2 16,510 16,382 37,539 37,621 32,204 31,881 20,474 20,952 17,565 17,756 2.2 -0.9 1.1 -0.9 -2.6 -1.4 3.4 -1.0 3.2 -2.4 2.1 -5.0 6.4 5.0 -2.1 2.6 -1.7 -0.4 -6.6 7.1 3.1 4.0 -4.5 2.6 11.4 2.7 2019 2020 (C-A) (D-B) 5.5 8.7 47 74 104 148 89 126 214 - 184 - 0.2 0.1 -0.1 0.0 -0.1 -0.5 0.5 0.1 0.3 -0.1 0.4 -0.1 -0.2 0.0 0.7 0.0 0.9 -0.3 0.9 0.3 0.0 0.3 0.9 0.0 -0.2 -0.1 억달러 천원 1,924.5 16,463 16,308 37,435 37,473 32,115 31,755 20,260 - 17,381 - 2.0 -1.0 1.3 -0.9 -2.5 -0.9 2.9 -1.1 2.9 -2.3 1.7 -4.9 6.6 4.9 -2.8 2.6 -2.5 -0.1 -7.5 6.8 3.0 3.6 -5.3 2.6 11.6 2.9 1.7 -2.5 -0.6 -3.8 0.1 -0.3 -0.9 1.3 65.5 - 34.7 35.8 주:1)( )내는차이기준 2)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정보통신업,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교육서비스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포함 종전 수정 차이 차례 2019년 및 2020년 국민계정의 주요 내용 (개 황) I. 국내총생산과 지출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3. 실질 국민총소득 II. 국민소득의 분배와 처분 1.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분배 2.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처분 III. 저축과 투자 1. 저 축 2. 투 자 IV. 제도부문별 소득 및 자본거래 (2019년) 통계표 I. 종합계정 II. 제도부문별 생산계정 (2019년) III.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IV.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2019년) V.부 표 [ 2019년 및 2020년 국민계정의 주요 내용 ] (개 황) I. 국내총생산과 지출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3. 실질 국민총소득 II. 국민소득의 분배와 처분 1.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분배 2.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처분 III. 저축과 투자 1. 저 축 2. 투 자 IV. 제도부문별 소득 및 자본거래 (2019년) (개 황) 1. 경제성장 및 실질 국민총소득 □ 2020년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정부소비가 증가세를 지속하고 설 비투자가 증가로 전환되었으나, 민간소비와 수출이 감소 전환하면서 전년대비 0.9% 감소(전년 : +2.2%) ― 경제활동별로는 건설업이 감소세를 지속한 가운데 제조업과 서비스 업은 감소로 전환 ― 분기별(전기대비)로는 1/4분기 –1.3% → 2/4분기 –3.2% → 3/4분기 2.2% → 4/4분기 1.1%의 흐름을 보였음 □ 2020년중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대비 0.2% 감소(전년 : +0.4%)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증감률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연 간 2019 2020p 2.2 -0.9 (%) 2020p (전기대비) 2020p (전년동기대비) I IIIIIIVIIIIIIIV 국내총생산 -1.3 -3.2 2.2 1.1 3.4 -8.6 0.0 4.3 -0.1 -9.4 7.5 3.1 0.2 -1.1 -4.5 1.4 -2.5 -0.8 1.0 0.6 -6.6 1.2 0.2 -1.3 1.6 1.0 0.1 -0.4 0.1 -2.9 -3.9 3.5 0.1 0.7 5.8 -0.6 1.2 1.8 0.8 1.3 -0.8 -15.9 16.3 5.3 -2.6 -5.8 5.9 1.5 1.5 -2.6 -1.0 -1.1 -0.7 -6.7 -6.9 -1.3 3.7 -6.5 -0.9 0.4 2.5 -0.9 -2.6 -3.6 0.5 -1.4 -1.3 -1.8 -4.8 -4.2 -4.5 -6.6 6.8 6.2 4.6 2.3 4.4 -0.4 -1.5 -2.9 7.4 4.5 10.7 6.1 2.4 4.1 4.1 5.1 5.7 -13.0 -2.3 2.3 0.4 -9.0 -3.5 -1.3 (G D P) 농 림 어 업 3.9 -4.0 제 조 업 1.1 -0.9 건 설 업 -2.6 -1.4 서 비 스 업 3.4 -1.0 민 간 소 비 2.1 -5.0 정부소비 6.4 5.0 건 설 투 자 -1.7 -0.4 설비투자 -6.6 7.1 지식재산생산물투자 3.1 4.0 수출 0.2 -1.8 수입 -1.9 -3.3 국민총소득 0.4 -0.2 주 : 전기대비 증감률은 계절조정계열 기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원계열 기준 (G N I) -0.6 -2.0 2.3 1.1 0.2 -1.7 -0.3 0.8 - 1 - 2. 경제규모 및 1인당 국민소득 □ 2020년중 국내총생산(GDP)은 1,933.2조원으로 전년보다 0.4% 증가 ― 원/달러 환율이 상승(연평균 1.2%)함에 따라 미달러화 기준으로는 1조 6,382억달러로 전년대비 0.8% 감소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762.1만원으로 전년보다 0.2% 증가하였으며 미달러화 기준으로는 전년보다 1.0% 감소한 31,881달러를 기록 ―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 은 2,095.2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3% 늘어났으며 미달러화 기준으로 는 17,756달러로 전년대비 1.1% 증가 *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 포함)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제한적이나마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 경제규모 및 1인당 국민소득 (당해년가격 기준) 국 내 총 생 산 (GDP) 1인당 GNI 1인당 PGDI 3. GDP 디플레이터 등락률 □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1.3% 상승(전년 : -0.8%) 2020p 1,933.2 16,382 37,621 31,881 20,952 17,756 단위 2017 2018 2019 조원 억달러 천원 달러 천원 달러 1,835.7 16,233 35,886 31,734 19,133 16,919 1,898.2 17,252 36,930 33,564 19,874 18,063 1,924.5 16,510 37,539 32,204 20,474 17,565 4. 저축률과 투자율 □ 총저축률은 35.9%로 전년(34.7%)보다 1.3%p 상승하였으며 국내총투자 율은 전년(31.3%)보다 0.3%p 상승한 31.7%를 기록 ―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순저축률은 11.9%로 전년(6.9%) 보다 5.0%p 상승 - 2 - 국민계정 주요지표 단위 2017 2018 2019 조원 억달러 천원 달러 천원 달러 1,835.7 16,233 35,886 31,734 19,133 16,919 1,898.2 17,252 36,930 33,564 19,874 18,063 1,924.5 16,510 37,539 32,204 20,474 17,565 % 〃 〃 〃 〃 〃 〃 〃 〃 〃 〃 〃 〃 〃 〃 〃 3.2 3.7 5.9 2.6 3.1 2.8 3.9 9.8 7.3 16.5 6.5 11.1 2.2 2.5 8.9 3.3 2.9 3.3 -2.8 3.8 3.7 3.2 5.3 -2.2 -4.6 -2.3 4.4 -3.0 2.6 4.0 1.7 1.6 2.2 1.1 -2.6 3.4 3.2 2.1 6.4 -2.1 -1.7 -6.6 3.1 -4.5 11.4 0.2 -1.9 0.4 % 2.2 0.5 -0.8 % 62.0 63.5 66.4 % 〃 〃 37.1 6.5 32.3 35.9 6.1 31.5 34.7 6.9 31.3 2020p 경제규모 및 국민소득 (명목) 국내총생산(GDP) 1,933.2 16,382 1인당 국민총소득(GNI) 37,621 31,881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20,952 17,756 생산 및 지출항목별 실질증감률 국내총생산(GDP) -0.9 제조업 -0.9 건설업 -1.4 서 비 스 업1) -1.0 최종소비지출 -2.4 민간 -5.0 정부 5.0 총고정자본형성 2.6 건설투자 -0.4 설비투자 7.1 지식재산생산물투자 4.0 민간 2.6 정부 2.7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1.8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3.3 국민총소득(GNI) -0.2 GDP 디플레이터 등락률 1.3 노동소득분배율 67.5 저축률과 투자율 (명목) 총저축률 35.9 가계순저축률 11.9 국내총투자율 31.7 주 : 1)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정보통신업,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교육서비스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포함 - 3 - <참 고> 1.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국민소득통계 주요지표 <계절조정계열> 4 (전기대비, %) (전기대비, %) 4 3 22 1 00 GDP 2.2 1.5 1.1 1.5 1.1 1.0 1.3 0.4 1.1 0.9 0.80.3 0.4 0.8 0.4 0.7 0.3 0.5 0.6 1.0 0.7 0.6 0.70.8 -0.3 -0.2 중심이동평균(3분기) -1.3 -3.2 -2 -4 -1 -2 -3 -4 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 '14 '15 '16 '17 '18 '19 '20P <원 계 열> 10 (전년동기대비, %) (전년동기대비, %) 10 55 00 GDP 3.8 3.4 3.1 3.3 3.4 2.83.6 2.62.4 2.0 GNI 3.9 2.8 1.9 2.3 2.1 1.5 2.63.1 2.8 2.92.9 3.0 2.4 3.3 2.6 -5 -1.0 -1.1 -2.6 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IIIIIIIV '14 '15 '16 '17 '18 '19 '20P -5 2. GDP에 대한 성장기여도 3 (전기대비, %p) 2 1 -1 -2 -3 -4 1.0 1.0 0.8 0.6 0.8 0.5 0.7 1.0 1.6 0.2 0.3 -0.1 -0.3 -0.6 -2.4 -1.9 2019 2020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 순수출 민간 정부 투자 - 5 - 3. 경제활동별 성장률(계절조정계열) 12 9 6 3 0 -3 -6 -9 -12 (전기대비, %) -2.5 -2.5 20.1/4 1.6 0.10.1 -1.1 0.6 -1.0 19.1/4 0.7 1.1 1.6 0.7 1.7 1.2 2.6 2/4 2.8 3.1 1.0 1.4 0.6 4. 지출항목별 증가율(계절조정계열) <내 수> (전기대비, %) 9 6 3 0 -3 -6 -9 -12 20 15 10 5 0 -5 -10 -15 -20 5.3 1.7 1.9 3.5 -0.4-0.6 -1.3 0.2 0.5 0.3 0.9 0.2 0.1 1.0 2.4 3.5 1.6 0.7 3.4 정부소비 4/4 1.21.0 0.7 -2.9 -0.2 -8.3 -3.3 민간소비 3/4 3.7 -6.6 19.1/4 (전기대비, %) -4.2 -3.8 19.1/4 2/4 건설투자 설비투자 20.1/4 2/4 3/4 4/4 2.2 3.9 2/4 5.3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3.0 3/4 4/4 -9.4 2/4 -0.1 -0.6 -0.8 -2.6 <수출 및 수입> 수출 수입 0.5 16.3 3/4 4/4 -5.8 -15.9 20.1/4 2/4 - 6 - 0.2 -0.1 -0.8 7.5 -4.5 3/4 4/4 5.8 -3.9 5.9 1.5 3/4 4/4 I. 국내총생산과 지출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건설업이 감소세를 지속한 가운데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감소로 전환 (1) 농림어업 : -4.0% (전년 : +3.9%) ― 농축산업 및 관련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5.0% 감소 ᄋ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작물 생산이 감소 ― 어업은 수산어획이 늘어 2.4% 증가 농림어업 성장률 (전기대비, %) 연간IIIIIIIV 농 림 농축산업및관련서비스업 어 업 2018 2019 0.2 3.9 -4.0 2020p 어 업 3.4 -8.6 0.0 4.3 3.3 -10.5 0.6 4.5 2.7 5.2 -4.2 6.2 -0.2 4.3 1.9 3.3 -5.0 2.4 - 7 - (2) 광공업 : -0.9% (전년 : +1.1%) (가) 광업 : -0.2% (전년 : -6.2%) ― 비금속광물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0.2% 감소 (나) 제조업 : -0.9% (전년 : +1.1%) ― 운송장비, 금속가공제품, 코크스 및 석유정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0.9% 감소 광공업 성장률 (전기대비, %) 연간IIIIIIIV 광 공 업 광업 제조업 음식료품 섬유 및 가죽제품 목재,종이,인쇄및복제 코크스 및 석유정제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1 차 금 속 금속가공제품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전기장비 기계 및 장비 운송장비 기타 및 산업용 장비수리 기초소재형 가공조립형 생활관련형 ICT제조업 비ICT제조업 2018 2019 3.3 1.1 -7.4 -6.2 3.3 1.1 2.9 3.8 -5.1 -8.3 1.6 -1.1 -5.6 -5.9 2.5 -0.9 -0.4 -4.8 -3.8 -0.9 -1.3 -1.8 11.4 6.4 6.2 1.6 0.7 -0.9 -2.3 1.9 4.8 -9.1 -0.9 -0.2 -9.4 -0.2 -4.1 -4.8 -0.9 -0.1 -9.4 2.2 1.2 -2.6 -4.5 7.4 -21.7 0.5 -4.5 -3.9 -10.3 -3.3 -10.2 0.7 2.5 -10.1 -4.6 -3.3 -11.4 -3.9 0.7 -12.7 -7.0 0.6 -13.6 3.9 1.1 -6.3 0.1 -5.5 -3.0 2.2 -2.0 -8.6 -9.1 -3.1 -17.6 0.0 2.7 -3.8 -1.9 1.4 -11.2 -0.5 -0.8 -9.4 0.1 -0.1 -3.5 7.5 3.1 0.5 10.8 7.5 3.1 3.1 -0.7 13.9 4.6 4.8 3.4 -0.5 1.6 10.0 2.5 11.3 6.7 6.9 4.0 5.4 0.8 6.5 5.1 6.5 7.1 7.6 3.2 14.1 -1.3 -1.9 0.4 9.3 2.4 7.5 3.8 1.8 0.9 5.7 5.2 8.1 2.5 2020p -0.4 -2.4 5.5 2.9 0.7 0.5 12.2 7.4 4.4 1.4 -5.0 -0.5 -10.7 0.4 -1.1 -2.4 - 8 - (3)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 +4.2% (전년 : +4.3%) ― 전기업은 발전효율 향상 등으로 전년대비 8.9% 성장 ―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가스 판매량 등이 줄어 6.9% 감소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성장률 2020p 2018 전기,가스및수도사업 -1.7 전기 -3.0 가스증기및공기조절공급 -0.2 (전기대비, %) 연간IIIIIIIV 수도하수 및 폐기물 처리원료재생 0.3 2019 4.3 4.2 6.6 -1.5 8.3 8.9 14.4 1.7 0.5 -6.9 -4.1 -6.5 0.2 2.8 0.3 -4.4 -2.6 3.9 -5.4 -0.3 3.4 9.5 -0.4 8.2 (4) 건설업 : -1.4% (전년 : -2.6%) ― 건물건설은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설이 모두 줄어 전년대비 4.7% 감소 ― 토목건설은 산업플랜트 등을 중심으로 3.3% 증가 건설업 성장률 (전기대비, %) 연간IIIIIIIV 2018 2019 2020p 건설업 -2.8 -2.6 -1.4 건물건설 -2.0 -6.5 -4.7 주거용 0.6 -12.5 -6.3 0.2 -1.1 -4.5 1.4 -2.3 -1.3 -1.4 1.3 -4.0 1.0 1.3 1.0 비주거용 -5.0 0.8 토목건설 -8.7 6.2 전문건설 -1.15.5 5.810.41.7-14.51.0 -3.0 -0.5 -3.5 -4.2 1.6 3.3 -2.8 -4.7 -1.9 2.2 - 9 - (5) 서비스업 : -1.0% (전년 : +3.4%) □ 금융 및 보험업, 정보통신업 등은 증가하였으나 숙박및음식업, 운수업 등 이 크게 감소 (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 -5.7% (전년 : +3.5%) ― 도소매업은 면세점 및 백화점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1.9% 감소 ― 숙박음식업은 음식업 및 숙박업이 모두 줄어 전년대비 16.7% 감소 (나) 운수업 : -15.1% (전년 : +1.7%) ― 운수업은 항공 및 육상운송을 중심으로 15.1% 감소 (다) 금융 보험 부동산 및 기타서비스업 : +1.0% (전년 : +3.5%) ― 금융 및 보험업은 예금취급기관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9.1% 성장 ― 부동산업은 부동산중개 등 부동산 관련 서비스를 중심으로 1.7% 증가 ― 정보통신업은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등이 늘어 3.2% 증가 ― 사업서비스업은 인력공급 및 알선 등 사업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0.4% 감소 ― 의료,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의료 및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 이 모두 늘어 1.3% 증가 ―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등을 중심 으로 18.7% 감소 - 10 - 서비스업 성장률 2018 2019 3.8 3.4 2.9 3.5 2.5 3.5 4.0 3.6 3.7 1.7 4.1 3.5 금융및보험 부동산 정보통신 사업서비스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 교육서비스 의료보건및사회복지 문화및기타 2.72.6 -18.7-16.2-7.32.8-0.6 (전기대비, %) 연간IIIIIIIV 2020p 서 비 스 업 도소매숙박음식업 도 소 매 숙박및음식점 운수업 금융보험부동산 및 기타서비스업 -1.0 -2.5 -5.7 -5.5 -1.9 -1.0 -16.7 -18.3 -15.1 -11.3 1.0 -1.3 -0.8 1.0 0.6 -3.0 1.2 0.0 -4.2 2.4 1.6 0.9 -2.6 -5.7 -7.8 2.9 -2.7 0.1 0.9 0.9 5.6 3.4 3.2 1.4 4.5 4.6 3.8 2.6 3.4 3.9 1.7 1.6 8.2 9.8 9.1 2.5 1.7 0.0 3.2 3.3 2.7 2.4 2.3 -0.4 -3.1 4.0 0.8 -2.4 -2.2 1.3 -2.6 0.7 0.5 -0.3 -0.4 -2.6 2.8 0.4 1.1 1.0 1.2 1.1 0.8 -0.3 -1.3 -0.4 -2.1 3.6 0.9 - 11 -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정부소비 증가세가 지속되고 설비투자가 증가로 전환되었으나 민간소비 와 수출이 감소 전환 (1) 최종소비지출 : -2.4% (전년 : +3.2%) ―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의류 및 신발 등)와 서비스(음식숙박 등)를 중심으로 5.0% 감소 ― 정부소비는 물건비를 중심으로 5.0% 증가 최종소비지출의 증감률 (전기대비, %) 연간 I II III IV 2018 2019 2020p 최종소비지출 3.7 민간소비 3.2 가계소비 3.1 3.2 -2.4 -4.5 1.1 0.2 -1.1 2.1 -5.0 -6.6 1.2 0.2 -1.3 2.1 -5.2 -6.7 1.3 0.1 -1.5 형태별국내소비1)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목 적 별 국 내 소 비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품 주류및담배 의류및신발 임료 및 수도광열 가계시설 및 운영 의료및보건 교 통 통 신 오 락문 화 교 육 음 식숙 박 기 타 정부소 비 1) 6.4 2.7 12.2 -1.9 14.0 -0.7 -0.6 4.7 2.5 -10.3 -13.6 10.2 -1.5 -1.5 3.0 3.3 1.1 0.0 -0.4 1.7 -1.4 2.6 2.8 -8.0 -8.0 -0.8 0.1 -1.6 1.1 2.5 4.8 4.8 -3.9 3.0 -0.3 -0.6 -1.4 1.6 2.5 1.3 1.3 -5.7 2.3 -0.4 -18.2 -19.4 12.4 -7.1 2.8 3.1 2.0 2.1 0.5 2.2 -0.3 -0.1 5.8 1.6 10.3 3.5 5.2 3.4 3.1 6.1 8.7 1.3 -3.7 3.9 0.8 -2.7 3.9 2.2 -0.4 -9.3 11.9 -2.6 -1.5 2.4 2.9 6.5 1.4 2.5 2.7 0.1 5.5 4.9 -22.1 -18.6 -8.7 1.2 -0.5 0.8 2.8 -16.8 -15.6 -1.0 -1.6 2.8 1.3 3.3 -14.3 -12.9 1.4 -3.4 -9.5 5.7 3.5 -4.3 -7.0 -0.2 3.8 -2.5 5.3 6.4 5.0 1.6 1.0 0.1 -0.4 주 : 1) 거주자와 비거주자 가계의 국내소비지출 기준 - 12 - (2) 총고정자본형성 : +2.6% (전년 : -2.1%) (가) 건설투자 : -0.4% (전년 : -1.7%) ― 건물건설투자는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물이 모두 줄어 전년대비 2.6% 감소 ― 토목건설투자는 전력시설, 산업플랜트 등이 늘어 4.8% 증가 (나) 설비투자 : +7.1% (전년 : -6.6%) ― 기계류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8.0% 증가 ― 운송장비투자는 자동차 등이 늘어 4.7% 증가 (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4.0% (전년 : +3.1%) ―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등이 증가 총고정자본형성의 증감률 총고정자본형성 2018 2019 -2.2 -2.1 -4.6 -1.7 -5.4 -4.1 -2.7 4.7 -2.3 -6.6 -4.2 -10.2 4.0 4.7 4.4 3.1 -3.0 -4.5 -5.5 -4.9 -4.4 -9.3 4.9 3.0 2.6 11.4 -1.1 11.7 18.0 15.2 -0.5 3.5 2.6 -0.4 -2.6 4.8 7.1 8.0 4.7 4.0 2.6 -1.1 8.0 3.3 2.7 1.8 1.4 10.7 0.3 -0.9 0.1 -2.9 -0.6 -4.6 1.5 0.9 0.1 0.7 -0.8 2.8 2.7 -4.5 1.2 1.8 -0.1 1.5 -1.2 -0.7 0.6 4.9 1.0 1.5 2.3 -11.1 4.1 -9.4 -2.8 -24.0 2.4 4.4 -0.1 1.8 -3.9 3.5 -1.5 3.9 -9.0 2.7 5.8 -0.6 3.1 3.6 13.5 -11.5 0.8 1.3 1.0 1.2 0.0 1.9 2.8 -0.1 0.5 1.3 -5.4 5.1 -16.7 9.8 30.3 -4.0 3.6 1.4 자 본 건설투자 건물건설 토목건설 재 형설비투자 태 별 기계류 운송장비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민간 건 설 투 자 투자 설비투자 주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체 정 부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별 (전기대비, %) 연간 I II III IV 2020p - 13 - (3) 재고 : 14.0조원 증가 (전년 : 20.5조원 증가) ― 유통 재고 등이 증가 (4)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 -1.8% (전년 : +0.2%) ― 재화수출은 화학제품, 반도체 등이 늘었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 자동차 등이 줄어 전년대비 0.5% 감소 ― 서비스수출은 운수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10.1% 감소 수출의 증감률 (전기대비, %) 연간 I II III IV 2018 2019 2020p 재화와 서비스 4.0 0.2 -1.8 -0.8 -15.9 16.3 5.3 재 화 3.3 -1.1 -0.5 -0.5 -16.2 18.1 5.4 서비스 9.49.7 -10.1-2.4-13.54.94.7 (5)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 -3.3% (전년 : -1.9%) ― 재화수입은 원유, 석탄 및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0.1% 감소 ― 서비스수입은 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5.6% 감소 수입의 증감률 2018 2019 (전기대비, %) 연간 I II III IV 2020p 재화와 서비스 1.7 -1.9 -3.3 -2.6 -5.8 5.9 1.5 재 화 2.0 -2.5 -0.1 -1.4 -4.3 6.6 1.7 서비스 0.50.5 -15.6-6.9-11.92.70.7 - 14 - 3. 실질 국민총소득 ― 2020년중 실질GNI는 전년대비 0.2% 감소 ᄋ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전년보다 줄어들었으나 교역조건 개선으 로 실질무역손실이 전년에 비해 감소하면서 실질GDP 성장률(-0.9%)을 상회 교역조건지수1) (계절조정계열) 2019 (2015=100, %) 2020p 교역조건지수 97.7 96.9 96.2 (0.6) (-0.8) (1.7) (조원, %) 2020p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98.5 94.6 93.3 92.2 94.6 93.6 97.1 (1.4) (-4.0) (-1.4) (-1.1) (-5.9) (1.5) (3.8) 주 : 1)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및 수입 디플레이터 기준 2) ( )내는 전기대비 증감률(%) 실질소득지표1)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2019 2) 실질국내총생산 457.2 461.9 463.8 (0.4) -12.6 7.1 458.4 (0.6) 469.8 (1.3) -14.5 4.0 459.3 (0.2) 1,852.7 (2.2) -39.4 15.2 1,828.5 (0.4) 463.9 (-1.3) -11.6 4.2 456.5 (-0.6) 449.2 (-3.2) -5.3 3.4 447.3 (-2.0) 459.3 (2.2) -4.1 2.4 457.6 (2.3) 464.5 (1.1) -5.4 3.8 462.8 (1.1) 1,836.9 (-0.9) -26.4 13.8 1,824.2 (-0.2) (실질 GDP)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실질국외순수취 요소소득 2) (-0.2) (1.0) -2.5 -9.8 0.4 3.7 455.1 455.8 (0.1) (0.2) 실질국민총소득 (실질 GNI) 주 : 1)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통계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2) ( )내는 전기대비 증감률(%) - 15 - II. 국민소득의 분배와 처분 1.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분배 ― 2020년중 국민총처분가능소득(명목기준)은 1,945.9조원으로 전년대비 0.6% 증가 [요소소득별] ᄋ 피용자보수는 918.3조원으로 전년보다 0.5% 증가 ᄋ 영업잉여는 425.6조원으로 전년대비 4.3% 감소 ᄋ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배당금 수취가 줄어 전년 16.6조원에서 14.9조 원으로 축소 → 노동소득분배율은 67.5%로 전년대비 1.2%p 상승 ᄋ 순생산 및 수입세는 189.7조원으로 전년대비 2.8% 증가 ᄋ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은 지급이 줄어들어 전년 –5.9조원에서 –2.1조원 으로 마이너스폭이 축소 ᄋ 고정자본소모는 399.6조원으로 전년대비 4.7% 증가 [제도부문별] ᄋ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이하 동일) 소득은 1,084.9조원 으로 전년대비 2.5% 증가 ᄋ 기업(비금융법인 및 금융법인) 소득은 436.5조원으로 전년대비 5.4% 증가 ᄋ 정부소득은 424.5조원으로 전년대비 8.2% 감소 - 16 - 2.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처분 ― 국민총처분가능소득(1,945.9조원) 중 64.1%(1,246.6조원)가 소비로 지출(민 간 897.4조원, 정부 349.1조원)되고 나머지 35.9%(699.3조원)는 저축(민간 623.9조원, 정부 75.4조원)으로 남아 투자재원으로 활용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분배와 처분 내역 (당해년가격 기준) 2019 2020p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국민총처분가능소득 1,935.2 100.0 1,945.9 100.0 (조원, %) 증 감 률 2019 2020p 1.9 0.6 <분배> 요 소 소 득 별 913.4 47.2 444.9 23.0 16.6 0.9 184.4 9.5 -5.9 -0.3 381.8 19.7 계1) 1,058.7 54.7 업2) 414.2 21.4 918.3 47.2 425.6 21.9 14.9 0.8 189.7 9.7 -2.1 -0.1 399.6 20.5 1,084.9 55.8 436.5 22.4 424.5 21.8 1,246.6 64.1 897.4 46.1 349.1 17.9 699.3 35.9 623.9 32.1 제 가 도 부 기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 순생산 및 수입세 국외 순수취 경상이전 고정자본소 모 5.2 0.5 -9.0 -4.3 - - 1.5 2.8 - - 6.3 4.7 3.2 2.5 0.2 5.4 0.6 -8.2 4.0 -1.4 2.7 -4.1 7.9 6.2 -1.7 4.3 1.8 16.2 -13.8 -43.6 문 별 <처 분> 최종소비지 출 민 간 정 부 총저 축 민 간 정 부 노동소득분배율 주 : 1)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2) 비금융법인 및 금융법인 정 부 462.3 23.9 1,264.6 65.3 935.9 48.4 328.7 17.0 670.6 34.7 537.0 27.7 133.6 6.9 66.4 75.4 3.9 67.5 - - 17 - III. 저축과 투자 1. 저 축 ― 총저축률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증가(0.6%)하였으나 최종소비지출이 감소(-1.4%)하여 전년(34.7%)보다 1.3%p 상승한 35.9%를 기록 ᄋ 민간총저축률(32.1%)은 민간의 총처분가능소득이 증가(3.3% : 가계 2.5%, 기업 5.4%)하였으나 민간 최종소비지출이 크게 감소(-4.1%)함에 따라 전 년(27.7%)보다 4.3%p 상승 ᄋ 정부총저축률(3.9%)은 정부의 총처분가능소득이 크게 감소(-8.2%)하였으나 정부 최종소비지출(6.2%)이 늘어나 전년(6.9%)대비 3.0%p 하락 ― 가계순저축률은 11.9%로 전년(6.9%)보다 5.0%p 상승 ᄋ 가계 순저축은 147.5조원으로 전년보다 64.6조원 증가 * 가계1)의 소득, 소비 및 순저축 변동내역 (조원) 2019 2020p 증감액 .순처분가능소득 998.4 1,021.8 23.4 .최종소비지출 935.9 897.4 -38.5 .순 저 축 82.8 147.5 64.6 주 : 1)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 18 - 2. 투 자 ― 국내총투자율은 전년(31.3%)보다 0.4%p 상승한 31.7%를 기록 총저축률 및 투자율 2017 2018 2019 (%) 2020p 34.7 35.9 27.7 32.1 7.4 10.8 20.4 21.2 6.9 3.9 6.9 11.9 31.3 31.7 26.3 26.5 5.0 5.2 총 저 축 률 민간 (가 계1)) (기 업) 정 부 가계순저축률 국내총투자율 민간 정 부 37.1 29.2 6.8 22.4 7.8 6.5 32.3 27.8 4.5 35.9 27.8 6.8 21.0 8.2 6.1 31.5 27.0 4.4 주 : 1)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 19 - IV. 제도부문별 소득 및 자본거래 (2019년) 1. 가계 ― 순저축 등으로 89.3조원(전년대비 +13.3조원)의 자본을 조달하여 총고정자 본형성 등으로 4.3조원(전년대비 –11.3조원)의 자본을 축적 ᄋ 이에 따라 저축투자차액은 85.0조원을 기록(전년대비 +24.6조원) 2. 비금융법인기업 ― 순저축 등으로 122.0조원(전년대비 –15.6조원)의 자본을 조달하여 총고 정자본형성 등으로 170.3조원(전년대비 –12.7조원)의 자본을 축적 ᄋ 이에 따라 저축투자차액은 –48.3조원을 기록(전년대비 –2.9조원) 3. 금융법인기업 ― 순저축 등으로 12.9조원(전년대비 –2.8조원)의 자본을 조달하여 총고정자 본형성 등으로 3.7조원(전년대비 +0.5조원)의 자본을 축적 ᄋ 이에 따라 저축투자차액은 9.2조원을 기록(전년대비 –3.3조원) - 20 - 4. 일반정부 ― 순저축 등으로 64.6조원(전년대비 -29.2조원)의 자본을 조달하여 총고정 자본형성 등으로 46.2조원(전년대비 +9.8조원)의 자본을 축적 ᄋ 이에 따라 저축투자차액은 18.4조원을 기록(전년대비 -39.0조원) 5.국 외 ― 국외부문의 저축투자차액은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로 –64.3조원을 기록(전년대비 +20.7조원) 제도부문별 자본조달 및 축적 (당해년가격 기준, 2019년) 순저축 국외경상수지 순자본이전 계 (A) 총고정자본형성 고정자본소모(-) 재고증감 귀중품순취득 비생산비금융 자산 순취득 계 (B) 비금융법인 116,841.6 - 5,167.4 122,009.0 360,953.5 254,926.5 23,052.1 - 41,239.2 170,318.3 -48,309.4 금융법인 13,352.0 - -475.7 12,876.3 10,369.9 8,762.9 - - 2,073.0 3,680.1 9,196.3 일반정부 75,848.2 - -11,214.0 64,634.2 97,972.0 57,786.6 -316.0 - 6,371.4 46,240.8 18,393.4 가계1) 82,816.2 - 6,518.0 89,334.2 109,706.7 60,280.8 1,365.3 3,015.9 -49,490.2 4,316.9 85,017.2 국내 288,858.1 - -4.4 288,853.7 579,002.1 381,756.7 24,101.3 3,015.9 193.4 224,556.2 64,297.5 자본 조달 자본 축적 (십억원) 국외 - -64,495.3 4.4 -64,490.9 - - - - -193.4 -193.4 -64,297.5 저축투자차액(A-B) 주 : 1)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 21 - 국민계정 주요지표 추이 단위 2017 2018 2019 조원 억달러 조원 억달러 조원 〃 〃 〃 억달러 천원 달러 천원 달러 1,835.7 16,233 1,843 16,299 1,327 1,497 1,837 983 8,690 35,886 31,734 19,133 16,919 1,898.2 17,252 1,906 17,321 1,365 1,539 1,899 1,026 9,321 36,930 33,564 19,874 18,063 1,924.5 16,510 1,941 16,653 1,375 1,553 1,935 1,059 9,083 37,539 32,204 20,474 17,565 % 〃 〃 〃 〃 〃 〃 〃 〃 3.2 2.3 3.7 3.7 5.9 2.6 2.8 3.3 3.3 2.9 0.2 3.3 3.3 -2.8 3.8 1.3 1.6 1.6 2.2 3.9 1.1 1.1 -2.6 3.4 0.8 -0.1 0.4 1. 경제규모 및 국민소득(명목) 국 내 총 생 산 (GDP) 국민총소득(GNI) 요소비용 국민소득 (NI) 국민 처분 가능 소득 (NDI) 국민총처분가능소득 (GNDI) 가계총처분가능소득 (PGDI) 1인당GNI 1인당 PGDI 2. 경제활동별 성장률 (실질) 국내총생산(GDP) 농림어업 광공업 (제조업) 건설업 서 비 스 업1) 순 생 산 물 세2) 국 내 총 소 득 (GDI) 국 민 총 소 득 (GNI) 2020p 1,933.2 16,382 1,948 16,508 1,359 1,546 1,946 1,085 9,194 37,621 31,881 20,952 17,756 -0.9 -4.0 -0.9 -0.9 -1.4 -1.0 0.0 -0.2 -0.2 - 22 - (계속) 단위 2017 2018 2019 % 〃 〃 〃 % 〃 〃 〃 〃 〃 〃 % 〃 〃 〃 〃 〃 〃 〃 〃 〃 〃 〃 3.1 2.8 3.9 9.8 7.3 12.4 -4.7 16.5 23.0 -1.9 6.5 11.1 8.1 18.4 7.4 2.2 3.7 -0.5 -1.5 2.5 4.4 8.9 8.8 3.7 3.2 5.3 -2.2 -4.6 -5.4 -2.7 -2.3 -4.2 4.0 4.4 -3.0 -5.5 -4.4 4.9 2.6 -1.1 18.0 -0.5 4.0 3.3 1.7 2.0 3.2 2.1 6.4 -2.1 -1.7 -4.1 4.7 -6.6 -10.2 4.7 3.1 -4.5 -4.9 -9.3 3.0 11.4 11.7 15.2 3.5 0.2 -1.1 -1.9 -2.5 3. 지출항목별 증감률 (실질) 최종소비지출 민간 정부 총고정자본형성 <자본재 형태별> 건설투자 건물건설 토목건설 설비투자 기계류 운송장비 지식재산생산물투자 <투 자 주 체 별> 민간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정부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재 화 3)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재 화 3) 2020p -2.4 -5.0 5.0 2.6 -0.4 -2.6 4.8 7.1 8.0 4.7 4.0 2.6 -1.1 8.0 3.3 2.7 1.8 1.4 10.7 -1.8 -0.5 -3.3 -0.1 - 23 - (계속) 단위 2017 2018 2019 % 〃 〃 〃 〃 〃 2.0 29.6 29.5 2.4 6.0 60.0 1.9 29.2 29.1 2.0 5.9 60.9 1.8 27.7 27.5 2.1 5.9 62.5 % 〃 〃 〃 〃 〃 〃 〃 63.0 47.5 15.4 31.5 27.1 4.4 40.9 36.2 64.1 48.0 16.1 30.4 25.9 4.5 41.7 37.3 65.7 48.6 17.1 30.1 25.0 5.1 39.3 36.5 % 〃 〃 〃 〃 % 〃 〃 〃 44.8 27.4 18.5 9.6 -0.4 53.5 23.2 23.3 62.0 45.7 26.2 18.9 9.6 -0.4 54.0 21.8 24.2 63.5 47.1 23.9 19.7 9.5 -0.3 54.7 21.4 23.9 66.4 4.생산구조4)(명목) 농림어업 광공업 (제조업) 전기가스및수도사업 건설업 서 비 스 업1) 5.지출구조4)(명목) 최종소비지출 민간 정부 총고정자본형성 민간 정부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공제)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6.분배구조(명목)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구성 <요소소득별> 피 용 자 보 수5) 기 업 및 재 산 소 득5) 고정자본소모 생산 및 수입세 (공제) 보조금 국외 순수취 경상이전 <제도부문별> 가 계 6) 기업 정부 노동소득분배율 2020p 2.0 27.2 27.1 2.4 5.9 62.4 64.5 46.4 18.1 31.1 25.9 5.2 36.4 32.8 47.2 22.7 20.5 9.7 -0.1 55.8 22.4 21.8 67.5 - 24 - (계속) 단위 2017 2018 2019 % 〃 〃 〃 〃 〃 〃 〃 37.1 29.2 6.8 22.4 7.8 32.3 31.5 6.5 35.9 27.8 6.8 21.0 8.2 31.5 30.4 6.1 34.7 27.7 7.4 20.4 6.9 31.3 29.9 6.9 % 〃 〃 〃 〃 80.2 42.7 36.1 37.5 28.6 82.5 43.7 36.5 38.9 29.8 79.4 41.5 33.4 37.9 28.6 2015=100 % 104.3 2.2 104.8 0.5 103.9 -0.8 2020p 7. 총저축과 총투자(명목) 총저축률7) 35.9 민간 32.1 가 계6) 10.8 기업 21.2 정부 3.9 국내총투자율 31.7 (국내총고정투자율) 30.9 가계순저축률8) 11.9 8. 수출입의 대GNI 비율(명목) 총수출 재화 총수입 재화 9.GDP 디플레이터 72.3 9) 38.4 3) 31.3 10) 34.0 3) 26.3 105.2 1.3 (등락률) 주 : 1)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정보통신업,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교육서비스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포함 2) 생산물세, (차감) 생산물보조금 3) F.O.B.(본선인도가격) 기준 4) 생산구조는 기초가격 총부가가치에 대한 각 산업의 구성비를, 지출구조는 국내총생산 에 대한 각 지출항목의 구성비를 의미 5) 국외순수취요소소득 포함 6)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7) (제도부문별 총저축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 100 8) [가계 순저축 / (가계 순조정처분가능소득 +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 × 100 9) 국외수취요소소득 포함 10) 국외지급요소소득 포함 - 25 - 주요 경제활동별 성장률 추이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 연 도 GDP 비농림어업 제조업 서비스업 GNI 2011 3.7 2012 2.4 2013 3.2 2014 3.2 2015 2.8 2016 2.9 2017 3.2 2018 2.9 2019 2.2 2020p -0.9 3.8 5.2 3.9 2.5 1.4 3.4 3.1 3.1 3.6 3.2 3.2 3.1 2.9 1.7 3.1 3.1 2.3 2.9 3.2 3.7 2.6 3.0 3.3 3.8 2.2 1.1 3.4 -0.8 -0.9 -1.0 3.0 3.1 2.3 3.4 4.3 2.9 2.9 1.9 4.1 3.0 4.6 3.6 2.1 0.8 3.3 2.3 1.4 3.5 -0.6 -1.6 -0.4 -1.0 -0.2 -1.5 1.6 2.9 3.8 3.5 6.3 4.4 3.3 1.6 0.4 -0.2 2.3 4.2 2.4 0.8 -0.1 0.8 -0.7 0.3 2.6 (2.2) 2.0 (-0.1) 5.3 (2.4) 3.3 (-1.3) 2.7 (1.8) 2.2 (-0.6) 0.2 (0.2) 1.4 (-0.2) -0.4 (0.1) 0.3 (0.2) 0.5 (0.6) 1.0 (0.2) 0.2 (-0.6) -1.7 (-2.0) -0.3 (2.3) 0.8 (1.1) 2017 2018 2019 상반 2.9 하반 3.4 상반 3.0 하반 2.9 상반 2.1 하반 2.4 2020 p 상반 하반 -1.0 2017 2018 2019 -0.6 I 3.1 (1.0) II 2.8 (0.7) III 3.9 (1.5) IV 2.9 (-0.3) I 2.9 (1.1) II 3.0 (0.6) III 2.4 (0.7) IV 3.3 (0.8) I 1.9 (-0.2) II 2.3 (1.0) III 2.1 (0.4) IV 2.6 (1.3) I 1.5 (-1.3) II -2.6 (-3.2) III -1.0 (2.2) IV -1.1 (1.1) 3.2 (1.0) 4.1 (1.9) 2.7 (0.6) 2.1 (-0.2) 3.9 (1.5) 6.5 (2.5) 2.9 (-0.3) 2.4 (-1.9) 2.8 (1.2) 0.9 (1.4) 3.1 (0.7) 2.9 (1.4) 2.5 (0.8) 3.4 (1.8) 3.4 (0.8) 5.8 (0.9) 1.9 (-0.3) 1.0 (-2.5) 2.3 (1.1) 0.6 (0.7) 2.1 (0.4) 1.1 (1.6) 2.6 (1.3) 1.7 (1.7) 1.5 (-1.3) 3.7 (-0.1) -2.6 (-3.1) -6.5 (-9.4) -0.9 (2.3) -0.9 (7.5) 0.4 (3.1) 2.3 (0.4) 2.3 (1.0) 2.7 (1.1) 3.0 (0.5) 4.3 (1.5) 3.9 (0.6) 3.4 (0.8) 3.8 (0.9) 3.0 (0.6) 3.5 (1.1) 3.3 (0.7) 3.7 (1.2) 0.5 (-2.5) -1.4 (-0.8) -1.3 (1.0) -1.8 (0.6) 2020 p 주 : ( )내는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성장률(%) -1.1 (1.1) - 26 - 연 도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재화수출 2011 2.9 2012 1.7 2013 1.7 2014 2.0 2015 2.2 2016 2.6 2017 2.8 2018 3.2 2019 2.1 2020p -5.0 -2.8 5.5 -3.5 1.0 6.3 -3.9 1.4 5.1 6.9 5.1 10.0 2.6 7.3 16.5 -4.6 -2.3 -1.7 -6.6 -0.4 7.1 10.1 19.5 4.9 13.6 -1.3 2.0 -7.6 -6.7 -4.4 -11.1 0.9 -1.7 1.6 5.9 -2.3 8.2 10.7 (4.5) 19.8 (5.2) 9.7 (0.6) 19.2 (5.2) 6.9 (1.0) 17.3 (1.2) 3.0 (-2.9) 10.4 (-1.6) 0.6 (1.5) 9.7 (4.4) -2.8 (-3.3) -4.9 (-8.2) -9.1 (-4.5) -9.1 (-3.5) -6.0 (0.4) -4.5 (3.2) -7.6 (-0.2) -16.3 (-8.3) 5.5 17.2 6.9 5.0 5.4 3.9 4.5 1.1 2.0 -0.3 4.0 2.0 6.5 4.4 4.4 3.3 3.1 -1.1 4.0 -0.5 5.3 4.8 7.6 4.0 5.5 1.4 3.4 5.1 3.6 -2.2 2.6 0.0 3.3 -3.0 4.6 1.8 (1.4) 7.2 (4.2) (2.0) 2.5 (-1.9) (2.0) 7.5 (3.9) (2.2) 0.8 (-5.0) (-0.5) -0.1 (3.4) (1.3) 2.9 (1.1) (1.1) 3.8 (4.4) (0.5) 6.3 (-2.3) (1.2) -2.3 (-5.0) (0.1) -2.2 (1.1) (0.7) -1.6 (4.6) (0.4) 1.6 (1.1) (1.2) 6.4 (-0.5) (1.8) -11.9 (-16.2) (0.8) -0.3 (18.1) (1.3) 3.8 (5.4) 상반 하반 상반 하반 상반 하반 2020 p 상반 하반 2.4 3.2 3.6 2.8 2.0 2.2 -4.5 -5.6 (0.6) (1.2) (0.9) (0.6) (1.3) (0.2) (0.5) (0.8) (0.2) (0.7) (0.5) (0.9) (-1.3) 2017 2018 2019 주요 지출항목별 증감률 추이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총고정자본형성 (전년동기대비, %) 2017 2018 2019 I 2.1 II 2.7 III 3.0 IV 3.3 I 4.0 II 3.2 III 2.7 IV 2.8 I 1.7 II 2.3 III 2.2 IV 2.2 I -4.8 II -4.2 III -4.5 IV -6.6 -2.0 (2.4) -1.9 (-3.3) 3.5 (5.3) 4.4 (0.1) -0.4 (-2.9) -1.5 (-3.9) -2.9 (3.5) -5.8 (3.5) -1.7 (0.3) -1.7 (3.4) 7.4 (0.1) 4.5 (0.7) 10.7 (5.8) 6.1 (-0.6) 5.2 5.4 7.3 7.9 5.8 5.2 4.5 2.4 4.3 3.0 2.8 2.4 2.4 4.1 4.1 5.1 2020 p 주 : ( )내는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증감률(%) (-6.6) (1.2) (0.2) - 27 - 연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p GDP GNI GDP 및 GNI 성장률 추이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 IIIIIIIVIIIIIIIV 0.5 3.6 0.8 -0.5 -6.8 -0.8 1.7 2.5 3.0 4.4 2.8 2.9 1.9 1.3 2.8 -0.3 1.2 1.3 1.4 1.8 2.5 1.8 2.0 1.1 -0.7 -0.2 1.9 2.6 1.3 0.8 0.4 0.8 0.9 1.9 1.5 1.0 1.6 0.7 1.6 0.8 1.7 1.7 1.2 2.2 0.4 0.5 0.8 -3.3 0.1 1.3 3.0 0.7 2.0 1.9 1.2 1.2 0.9 0.5 0.5 0.5 0.9 0.6 0.5 0.5 0.9 1.2 0.9 0.8 0.9 0.8 0.3 0.4 0.8 0.4 1.5 0.7 0.3 1.1 0.5 0.6 1.0 0.7 1.5 -0.3 0.8 3.4 -7.6 -1.7 4.3 3.7 1.7 0.1 2.2 0.1 4.6 0.2 -0.9 -0.5 0.0 0.1 0.1 0.6 1.0 0.8 0.8 1.8 -0.2 -0.6 0.2 4.7 2.7 2.1 -0.2 1.7 1.4 0.5 1.1 1.7 0.5 1.3 3.7 -0.6 2.9 0.3 2.2 -0.1 1.8 -0.6 0.1 0.2 -0.6 -2.0 -0.7 -0.9 1.8 2.2 0.8 3.0 2.8 -1.2 1.3 1.9 2.9 0.5 2.7 3.1 0.4 1.8 0.2 1.1 1.6 1.7 1.9 0.6 -0.4 -2.4 1.8 0.4 1.5 -1.3 0.8 -0.5 1.3 0.0 0.9 0.8 0.1 2.0 1.8 0.7 -0.4 0.6 2.4 -1.3 0.2 -0.2 0.6 0.2 2.3 1.1 1.1 0.6 0.7 -0.2 1.0 0.4 -1.3 -3.2 2.2 0.8 1.3 1.1 - 28 - 연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p GDP 및 GNI 성장률 추이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 GDP GNI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6.0 7.6 6.9 -2.9 -7.2 -6.4 7.0 12.2 12.8 12.7 9.1 9.1 5.1 4.9 3.5 7.2 7.6 8.2 4.2 2.3 2.1 5.8 6.7 5.2 3.0 3.9 5.0 6.4 4.8 5.1 4.9 5.9 5.5 5.8 4.4 4.0 -1.8 -1.2 0.9 7.3 7.9 5.8 5.4 3.8 3.1 2.4 2.4 2.3 2.3 2.9 3.5 3.8 3.4 3.1 2.4 2.0 3.3 2.8 3.6 2.8 3.1 2.8 3.9 2.9 3.0 2.4 1.9 2.3 2.1 1.5 -2.6 -1.0 4.3 6.2 -3.8 -5.1 13.5 11.5 5.9 9.1 5.9 4.9 7.8 7.7 4.0 3.1 3.3 5.2 5.3 4.3 4.8 5.3 6.8 5.8 -1.7 3.0 5.2 0.8 6.3 6.8 2.6 3.7 2.5 2.4 3.9 3.2 2.6 3.2 3.4 2.8 2.6 2.9 2.9 3.2 3.3 2.9 2.6 2.2 -1.1 -0.9 3.9 5.5 -5.6 -10.8 7.0 12.4 9.5 5.6 3.9 3.8 8.3 8.1 2.5 1.8 5.5 5.8 2.6 2.4 3.0 3.2 5.2 6.1 4.5 1.9 -3.1 2.0 10.2 7.2 2.3 1.2 2.9 2.8 2.8 4.0 4.1 3.6 7.4 5.1 4.9 5.8 2.6 2.0 2.7 2.2 -0.4 0.3 0.2 -1.7 4.4 2.5 4.0 -8.4 -5.7 -7.7 10.9 12.3 10.7 7.6 3.7 6.5 2.2 5.9 4.0 9.6 8.5 8.6 1.7 4.5 2.7 3.8 2.3 4.3 2.6 2.1 2.4 4.6 5.0 4.0 6.4 5.1 5.7 -0.4 -3.9 0.4 3.8 7.0 2.5 6.6 5.2 7.2 0.8 2.2 1.6 2.8 3.1 2.9 3.9 4.6 3.8 2.7 3.7 3.5 7.2 5.7 6.3 3.7 3.3 4.4 5.3 3.3 3.3 0.2 1.4 1.6 0.5 1.0 0.4 -0.3 0.8 -0.2 - 29 - 생 전기가스 및 산 국 수도사업 건설업 -0.1 서비스업1) 0.4 순생산물세 0.0 0.1 -0.2 0.1 0.0 0.6 0.4 0.7 -1.4 0.1 0.0 -0.1 0.0 지 출 내 총 생 산 내수 최종소비지출 민간 정 부 총자본형성 총고정자본형성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민간 정부 재고증감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공제)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통계상불일치 -0.2 1.0 0.0 1.5 0.3 0.6 0.1 0.3 0.2 0.3 -0.3 0.9 -0.7 0.6 -0.1 0.3 -0.7 0.3 0.1 0.0 -0.2 0.0 -0.5 0.7 0.4 0.3 -1.8 0.9 -1.4 1.4 0.1 0.0 0.4 1.3 -1.3 -1.0 0.8 -2.0 0.5 0.7 -2.9 0.2 0.4 -3.2 0.3 0.3 0.3 -1.5 0.1 1.0 -0.4 1.1 0.1 -0.5 0.8 0.0 0.0 0.3 0.0 0.0 0.0 0.1 -0.4 0.6 0.0 0.0 0.5 0.1 -1.1 -0.9 0.9 1.5 0.2 -0.3 0.0 -0.2 -0.9 -0.1 0.0 0.1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p) 2019 2020p IIIIIIIVIIIIIIIV 농 림 어 업 0.1 광 공 업 -0.1 0.0 0.0 0.1 -0.7 0.2 0.4 0.5 0.0 -0.7 0.2 0.4 0.4 0.0 0.0 0.1 -0.2 0.1 0.1 -0.1 0.0 0.1 -2.4 1.8 0.8 -2.4 1.8 0.8 0.0 -0.1 0.1 -0.1 -0.3 0.1 -0.5 0.6 0.3 0.0 0.2 -0.2 -3.2 2.2 1.1 1.1 -1.3 -0.5 0.7 0.1 -0.7 0.5 0.1 -0.6 0.2 0.0 -0.1 0.4 -1.5 0.2 -0.3 0.0 0.5 -0.4 -0.6 0.5 0.1 0.5 -0.1 0.1 0.1 0.1 0.4 0.3 0.3 -0.6 -0.3 0.2 0.6 -1.4 -0.4 -6.3 5.7 2.1 -2.1 2.1 0.5 0.0 0.0 0.1 제 조 업 주 : 1)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정보통신업, 사업서비스업,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교육서비스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 업 포함 - 30 - 농 광 림 공 어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p) 2019 2020p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업 0.1 0.0 0.1 0.0 0.1 0.0 -0.1 -0.1 0.0 -0.1 업 0.3 0.2 0.3 0.4 0.3 0.9 -1.6 -0.2 0.1 -0.2 수도사업 산 국 지 출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제 조 업0.30.20.30.40.30.9-1.6-0.20.1-0.2 생 전기가스 및 0.1 0.2 0.0 0.0 건 설 업 -0.4 -0.1 -0.2 0.1 서 비 스 업1) 1.8 1.9 1.8 2.0 순생산물세 0.1 0.1 0.1 0.0 내총생산 1.9 2.3 2.1 2.6 내수 0.1 1.9 2.2 1.4 최종소비지출 1.9 2.2 2.1 2.0 민간 0.9 1.1 1.1 1.0 정부 1.0 1.1 1.0 1.0 총자본형성 -1.7 -0.3 0.2 -0.7 총고정자본형성 -2.4 -0.6 -0.2 0.6 건 설 투 자 -1.1 -0.3 -0.3 0.5 설 비 투 자 -1.6 -0.5 -0.1 -0.1 지식재산생산물투자 0.3 0.2 0.2 0.2 민간 -2.4 -1.4 -0.8 -0.3 정부 -0.1 0.7 0.5 0.8 재 고 증 감 0.7 0.4 0.4 -1.2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0.5 -0.1 0.0 0.9 (공제)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2.3 -0.5 0.1 -0.3 통계상불일치 -0.1 0.0 0.0 0.0 0.1 0.1 0.0 -0.1 0.1 0.0 1.9 0.3 -0.8 0.1 0.0 -0.1 2.2 1.5 -2.6 1.4 -0.6 -1.0 2.0 -1.1 -0.9 1.0 -2.4 -2.0 1.0 1.3 1.1 -0.6 0.6 0.0 -0.6 1.3 0.6 -0.3 0.5 0.0 -0.6 0.6 0.4 0.2 0.2 0.3 -1.2 0.1 0.4 0.5 1.1 0.2 0.0 -0.7 -0.7 0.1 2.2 -5.0 -0.7 0.2 -3.3 0.0 0.0 0.1 0.1 0.1 0.1 -0.1 -0.2 -0.1 -0.7 -1.0 -0.6 0.1 0.0 0.0 -1.0 -1.1 -0.9 -1.4 -2.6 -1.4 -1.5 -2.8 -1.6 -2.2 -3.1 -2.4 0.7 0.4 0.8 0.0 0.2 0.2 0.9 0.4 0.8 -0.2 -0.4 -0.1 0.8 0.5 0.6 0.3 0.3 0.3 1.1 0.9 0.6 -0.2 -0.5 0.1 -0.9 -0.3 -0.6 -0.9 0.9 -0.7 -1.3 -0.5 -1.2 0.1 0.2 0.1 주 : 1)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정보통신업, 사업서비스업,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교육서비스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 업 포함 - 31 - 내수 최종소비지출 민간 정부 총자본형성 총고정자본형성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민간 정부 재 고 증 감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최 종 수 요 0.0 1.1 0.2 0.4 0.1 0.2 0.1 0.2 -0.2 0.7 -0.5 0.5 0.0 0.3 -0.5 0.2 0.1 0.0 -0.1 0.0 -0.4 0.5 0.3 0.2 -1.3 0.7 -1.3 1.8 -0.8 0.6 0.4 0.5 0.2 0.3 0.2 0.2 -1.1 0.1 -0.3 0.8 -0.4 0.6 0.0 0.2 0.0 0.0 -0.3 0.4 0.0 0.4 -0.8 -0.7 1.1 0.2 0.3 0.8 -1.4 0.8 -2.2 0.5 -2.4 0.4 0.2 0.1 0.7 0.3 0.1 -0.2 0.0 -0.3 0.0 0.0 0.1 0.1 0.0 0.3 0.1 -0.5 0.6 0.5 -0.2 -4.7 -1.7 -3.9 -1.0 -0.4 0.1 -0.5 0.1 -0.5 0.0 -0.1 -1.1 0.1 0.0 0.4 -0.5 0.4 0.4 0.0 0.0 0.1 0.2 0.2 -0.2 0.2 -1.1 -0.3 4.2 1.5 3.2 1.2 최종수요에 대한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p) 2019 2020p IIIIIIIVIIIIIIIV - 32 - 내수 최종소비지출 민간 정부 총자본형성 총고정자본형성 건 설 투 자 설 비 투 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민간 정부 재 고 증 감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최 종 수 요 0.1 1.4 1.7 1.3 1.6 1.5 0.6 0.8 0.8 0.7 0.8 0.7 -1.2 -0.2 0.1 -1.7 -0.5 -0.2 -0.8 -0.2 -0.2 -1.2 -0.4 -0.1 0.2 0.1 0.1 -1.7 -1.0 -0.6 0.0 0.5 0.4 0.5 0.3 0.3 -0.3 -0.1 0.0 -0.2 1.3 1.7 1.0 1.0 -0.4 1.5 1.5 -0.8 0.8 0.7 -1.8 0.7 0.7 0.9 -0.5 -0.4 0.4 0.4 -0.5 0.9 0.4 -0.2 0.3 -0.1 -0.4 0.4 0.1 0.1 0.1 -0.2 -0.8 0.1 0.6 0.4 0.8 -0.9 0.0 -0.5 0.6 0.1 1.6 1.6 1.1 1.2 -0.7 -1.1 -1.9 -1.0 -0.7 -1.1 -2.0 -1.2 -1.5 -1.6 -2.3 -1.8 0.8 0.5 0.3 0.6 0.0 0.0 0.1 0.1 0.5 0.6 0.3 0.6 0.0 -0.2 -0.3 0.0 0.3 0.6 0.4 0.4 0.2 0.2 0.3 0.2 0.3 0.8 0.7 0.5 0.1 -0.1 -0.4 0.1 -0.5 -0.6 -0.2 -0.5 -3.7 -0.7 0.6 -0.5 -4.4 -1.8 -1.3 -1.6 최종수요에 대한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p) 2019 2020p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 33 - 비정보통신산업 성장률 설비투자4)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여도 대 설비투자4)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민간소비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여도 대 민간소비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수 출5 )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 여 도 대 수출5)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수 입6)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 여 도 대 수입6)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0.2 -4.3 0.1 0.0 21.2 -5.4 0.2 2.7 0.1 4.7 0.1 -5.0 -9.6 -2.8 25.9 -3.1 -5.0 -4.5 -0.6 12.1 -5.0 정보통신산업1)의 성장률, 성장기여도 및 비중2)3)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전기대비, %, %p) 2019 2020p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GDP 성장률 -0.2 정보통신산업 성장률 -0.7 기 여 도 -0.1 대 GDP 비중 10.0 1.0 0.4 1.3 6.2 6.1 -3.3 0.7 0.7 -0.4 9.8 9.6 9.1 0.4 -0.3 2.2 2.0 0.5 2.0 1.9 1.7 0.9 0.4 0.4 0.2 21.0 21.3 21.0 2.0 0.1 2.4 0.7 0.5 0.9 -2.2 0.9 1.7 -0.1 0.0 0.1 4.5 4.5 4.6 0.8 0.4 0.8 1.1 4.6 1.1 6.6 10.3 0.5 1.9 3.1 0.2 26.0 26.2 25.5 -1.0 2.1 1.4 3.8 0.4 -0.2 8.6 3.6 -0.8 1.0 0.5 -0.1 12.3 12.5 12.3 3.1 0.0 -0.1 2.2 -1.3 -3.2 2.2 6.7 2.0 -2.6 4.1 0.7 0.2 -0.3 0.4 9.6 9.8 10.0 9.8 1.8 -1.8 -3.5 2.0 -2.6 0.6 1.2 3.6 3.3 1.6 0.7 -5.1 0.7 0.3 0.2 -1.1 21.1 21.3 21.3 19.9 -4.0 0.3 1.3 6.0 2.1 -6.6 1.2 0.2 2.4 3.2 2.3 2.3 0.1 0.1 0.1 0.1 4.6 4.9 5.0 5.1 2.1 -7.1 1.1 0.1 -1.1 -0.5 -16.2 18.1 -1.7 2.3 -13.9 13.2 -0.5 0.5 -3.8 3.7 25.9 26.7 30.1 27.8 -0.8 -1.2 -17.1 20.0 -2.5 -1.4 -4.3 6.6 3.6 0.0 -6.7 13.3 0.4 0.0 -0.9 1.7 12.3 12.5 13.8 13.9 -3.3 -1.6 -4.0 5.7 1.1 -0.9 2.9 4.7 0.3 0.5 9.8 9.8 1.3 -1.6 0.2 5.7 3.6 2.4 0.7 0.5 20.4 20.7 -0.6 6.6 -1.3 -5.0 -0.1 7.4 0.0 0.3 5.1 5.0 -1.4 -5.6 5.4 -0.5 14.6 8.1 4.0 2.1 28.6 28.2 1.9 -3.5 1.7 -0.1 4.5 5.6 0.6 0.7 13.9 13.5 1.2 -0.9 주 : 1) 정보통신기기 제조업(반도체, 전자표시장치, 컴퓨터 및 주변장치,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등)과 정보통신서비스업(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방송업, 통신업, 정보서비 스업 등) 포함 2) 명목금액 기준 3) 생산은 기초가격, 지출은 구매자가격 기준 4) 지식재산생산물투자 포함 5) 재화수출 - 34 6) 재화수입 - GDP 성장률 정보통신산업 성장률 기여도 대 GDP 비중 비정보통신산업 성장률 설비투자4)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여도 대 설비투자4)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민간소비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 여 도 대 민간소비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수 출5 )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 여 도 대 수출5)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수 입6) 증감률 정보통신부문 증감률 기여도 대 수입6) 비중 비정보통신부문 증감률 1.9 2.3 4.2 6.2 0.5 0.7 9.0 9.7 1.7 1.9 -8.4 -2.3 0.8 3.2 0.2 0.6 20.4 20.3 -10.5 -3.6 1.7 2.3 3.6 1.8 0.2 0.1 5.3 4.3 1.6 2.4 -2.3 -2.2 -9.2 -4.9 -2.6 -1.4 25.5 24.8 0.4 -1.1 -6.9 -2.2 -3.5 2.8 -0.3 0.4 12.0 11.7 -7.5 -2.9 2.1 2.6 7.8 8.0 0.9 0.9 10.3 9.4 1.4 2.1 0.4 0.1 4.3 4.6 0.9 1.0 21.2 22.5 -0.7 -1.1 2.2 2.2 1.0 3.2 0.1 0.2 4.4 4.3 2.3 2.2 -1.6 1.6 -0.9 6.7 -0.4 2.1 27.1 26.2 -1.7 -0.7 0.4 -1.1 8.0 6.7 0.9 0.8 12.5 12.9 -0.7 -2.1 2.2 1.5 -2.6 -1.0 6.7 11.1 1.8 0.4 0.7 1.1 0.2 -0.1 9.6 8.7 10.0 10.5 1.8 0.4 -3.4 -1.3 -2.6 5.2 4.3 7.7 3.3 6.3 5.3 -2.0 0.7 1.3 1.1 -0.4 21.1 20.5 20.7 19.7 -4.0 4.9 4.1 10.4 2.1 -4.8 -4.2 -4.5 2.4 4.0 8.2 10.1 0.1 0.2 0.4 0.5 4.6 5.5 4.8 5.0 2.1 -5.2 -4.8 -5.2 -1.1 6.4 -11.9 -0.3 -1.7 20.8 -2.6 1.0 -0.5 5.3 -0.4 -0.1 25.9 26.2 28.6 28.6 -0.8 1.1 -15.3 0.0 -2.5 2.6 -5.6 0.3 3.6 11.1 -4.2 4.8 0.4 1.3 -0.5 0.6 12.3 12.3 13.1 14.0 -3.3 1.4 -5.8 -0.3 -1.1 -0.9 6.3 4.7 0.6 0.5 10.0 9.8 -2.0 -1.6 5.7 5.7 0.6 2.4 0.1 0.5 21.8 20.7 7.1 6.6 -6.6 -5.0 8.0 7.4 0.4 0.3 4.8 5.0 -7.3 -5.6 3.8 -0.5 14.6 8.1 3.7 2.1 29.4 28.2 0.2 -3.5 2.3 -0.1 10.2 5.6 1.3 0.7 14.6 13.5 1.1 -0.9 정보통신산업1)의 성장률, 성장기여도 및 비중2)3)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 %p) 2019 2020p I II III IV 연간 I II III IV 연간 주 : 1) 정보통신기기 제조업(반도체, 전자표시장치, 컴퓨터 및 주변장치,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등)과 정보통신서비스업(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방송업, 통신업, 정보서비 스업 등) 포함 2) 명목금액 기준 3) 생산은 기초가격, 지출은 구매자가격 기준 4) 지식재산생산물투자 포함 5) 재화수출 - 35 6) 재화수입 - [ 통계표 ] I. 종합계정 1. 국내총생산과 지출 2. 국민처분가능소득과 처분 3. 자본거래 4. 국외거래 II. 제도부문별 생산계정 (2019년) III.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IV.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2019년) V.부 표 I.종 합 계 정 1. 국내총생산과 지출 2. 국민처분가능소득과 처분 3. 자본거래 4. 국외거래 II. 제도부문별 생산계정 (2019년) III.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IV.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2019년) - 38 - V. 부 표 (연간계열)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및 국민총소득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3. 경제활동별 국내총부가가치와 요소소득 (2019년) 4. 국민소득과 국민처분가능소득 5. 자본재형태별 주체별 총자본형성 6. 경제활동별 총자본형성 (2019년) 6-1. 경제활동별 총고정자본형성 6-2. 경제활동별 자본재형태별 총고정자본형성 7. 경제활동별 설비투자 (2019년) 8.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9. 가계의 형태별 최종소비지출 10.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11.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의 목적별 투입 및 산출 (2019년) 12. 일반정부의 부문별 기능별 최종소비지출 (2019년) 13. 일반정부의 부문별 기능별 총지출 (2019년) 14. 일반정부의 부문별 총수입·총지출·저축투자차액 15. 공공부문의 부문별 총수입·총지출·저축투자차액 (2019년) 16. 국외거래 17. 총저축과 총투자 V. 부 표 (분기계열)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및 국민총소득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3. 자본재형태별 주체별 총자본형성 4.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5. 가계의 형태별 최종소비지출 6.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7. 총저축과 총투자 국민소득통계 (National Income Statistics) 1. 의의 ― 국민소득통계는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새 로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통계이며, UN 등 국제기구가 공동으로 마련한 국민계정체계(2008 SNA)에서 제시한 편제기준에 따라 작성 ― 국민소득통계를 작성하는 목적은 한 나라의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 ᄋ 동 통계는 경제정책의 수립 및 평가와 각종 경제분석의 주요 자료로 활용 2. 주요 총량지표의 개념 ( 생산지표 ) 1 명목 국내총생산(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valued at current prices) : 경제규모 등의 파악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 산물의 수량에 그 때의 가격을 곱하여 산출하므로 명목 GDP의 변동분은 최종 생산물의 수량과 가격변동분이 혼재되어 있음 * 국내라 함은 한 나라의 경제적 영역(economic territory) 내를 의미하며, 이는 지리적 영역 (geographical territory)에 기초하지만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2 실질 국내총생산(re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valued at chained xxxx year prices) : 국내경제의 생산활동 동향을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산정에 이용 되는 지표로서 지수기준년부터 당해년까지 매년의 개별 재화와 서비스의 가 중치 및 물량 변화를 반영해 측정한 연쇄 물량지수에 지수기준년(xxxx년, 현재 2015년)의 GDP 금액을 곱하여 산출한 물량측정치임. 이에 따라 실질 GDP의 변동분은 가격 변화분을 제거한 순수한 생산수량의 변동분만을 나타냄 ( 소득지표 ) 1 실질 국내총소득(real Gross Domestic Income) :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명목 GDP로부터 개별상품의 절대가격 변 화에 따른 변동분을 제거한 것이 실질 GDP(물량측정치)가 되며, 실질 GDP에서 교환되는 상품간의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구매력의 변동분(실질거래손익)을 조정하여 실질 GDI(구매력 측정치)를 구함 ᄋ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거래손익은 거주자간의 거래에 있어서는 거래 손실과 거래이익이 서로 상쇄되므로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거래, 즉 무역 에서만 발생함. 따라서 이를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이라 함 ※ 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2 실질 국민총소득(real Gross National Income) :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실질 GDI에 외국 인이 국내에서 벌어간 실질소득은 차감하고 우리 국민이 국외에서 벌어들인 실질소득은 더하여 산출 3 명목 국민총소득(nominal Gross National Income) : 1인당 국민소득, 국가경제 규모 등을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지표로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해외 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명목 총소득을 의미하며, 명목 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여 산출(종전의 명목 GNP) ᄋ 1인당 국민소득(GNI)은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연간의 명목 국민총소득을 추계인구(매년 7월 1일 기준)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 교를 위해 미 달러화(연평균환율 적용)로도 표시 4 국민총처분가능소득(Gross National Disposable Income) : 소비율, 투자율, 저 축률 등의 산정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총소득으로 GNI에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을 더하여 산출하며 일반적으로 명목지표만 편제 5 가계총처분가능소득(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 : 가계 및 가계에 봉 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제한적이나마 가 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 3. 작성범위 ― 전국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의 생산, 지출 등 모든 경제활동을 대상 으로 하여 추계 ― 생산의 범위 : 재화는 자가소비 등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생산에 포함하나 서비스는 타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활동 중 가계의 자가소비를 위한 가사 및 개인서비스 활동은 생산의 범위에서 제외됨 ᄋ 밀수, 도박, 매춘 등 불법적인 경제활동이나 조세회피를 목적으로 한 거래도 생산과 지출의 종합적인 측정을 위해 생산활동으로 포착하여야 하나 현재 이들 활동을 정확히 포착하기는 곤란함 4. 작성주기 ―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및 국민총소득과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국민소득통계)에 대해서는 분기별로 작성하고 있으나 국민소득통계, 산업연관통계, 자금순환통계, 국제수지통계 및 국민대차대조표 등 제 국민경제통계를 연결통합한 국민계정은 연간으로만 작성 5. 기초자료 ― 국민소득통계 및 국민계정은 국민경제 전체의 모든 경제적 거래를 대상으로 하 므로 기업체, 통계청, 한국은행, 정부 및 각종 단체 등에서 작성하는 다양한 실물 및 금융통계 등을 기초자료로 이용 6. 회계처리방법 ― 거래의 기록시점은 발생주의 원칙을 적용 ᄋ 총산출은 재화의 경우 생산시점에서, 서비스는 제공시점에서 각각 기록하며 중간소비는 재화 및 서비스가 투입된 시점에서 기록 ᄋ 가계의 최종소비지출은 지급채무가 발생한 시점에서, 총고정자본형성 및 재 화의 수출입은 법적소유권이 취득 또는 이전된 시점에서 기록 ― 국민소득통계는 시장가격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하여 당해년 가격 기준(명목)과 2015년(지수기준년) 연쇄가격 기준(실질)으로 구분하여 평가 ᄋ 소득계정.자본계정에 대해서는 당해년가격 통계만을 공표 ― 총산출은 기초가격(basic prices, 생산자가격 - 생산물세 + 보조금)으로 평가하며 국내수요는 구매자가격으로, 수출 및 수입은 FOB가격으로 평가 7. 통계작성방법 ― 기본적인 추계방법은「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에 따라 생산접근방법(생산국 민소득), 소득접근방법(분배국민소득) 및 지출접근방법(지출국민소득)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가. 생산국민소득 : 경제활동별로 부가가치를 추계 ᄋ 농림어업 ᄋ 광업 ᄋ 제조업 ᄋ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ᄋ 건설업 ᄋ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ᄋ 운수업 ᄋ 금융 및 보험업 ᄋ 부동산업 ᄋ 정보통신업 ᄋ 사업서비스업 ᄋ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ᄋ 교육서비스업 ᄋ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ᄋ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나. 지출국민소득 : 최종생산물의 처분과정을 추계 1) 최종소비지출 ᄋ 민간 - 가계 -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ᄋ 정부 2) 총자본형성 ᄋ 총고정자본형성 - 건설투자 - 설비투자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ᄋ 재고증감 및 귀중품 순취득 3)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4) (공제)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5) 통계상 불일치 다. 분배국민소득 : 부가가치의 배분내역을 추계 1) 피용자보수 2) 영업잉여 3) 고정자본소모 4) 생산 및 수입세 5) (공제)보조금 6) 국외순수취요소소득 ᄋ 국외순수취 피용자보수 ᄋ 국외순수취 기업 및 재산소득 ― 생산국민소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계 ᄋ 명목 부가가치는 산출액과 중간투입액을 추계한 다음 산출액에서 중간투입 액을 차감하여 구하는데 중간투입액을 별도로 구할 수 없는 경우 기업경영 분석 자료 등에서 구한 부가가치율을 이용하여 산출 ᄋ 실질 부가가치는 부가가치 연쇄 물량지수를 이용하여 직접 추계하므로 실질 산출액에서 실질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금액과 다를 수 있음 ― 지출국민소득은 최종생산물의 처분에 대한 각종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직접 추계 → 이에 따라 국민소득통계는 생산 및 지출측면의 추계결과가 동일하여야 하나 이용자료나 추계방법의 차이로 인해 통계상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우리 나라는 이를 지출측에 표시 ― 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은 일부 부문의 경우 해당 분기 2개월 실적 자료와 분기 말월 결측치의 추정자료를 사용하여 잠정치 편제방법과 유사하게 작성 ᄋ 분기 말월 결측치는 기업체 등에 대한 모니터링, 이동평균법, 추세분석, ARIMA 모형, 회귀분석 등을 통해 추정 ― 2006년 1/4분기부터 계절변동조정통계를 주지표로, 계절변동조정전 통계(원계열)를 보조지표로 각각 발표 ᄋ 계절변동조정이란 경제통계에서 기후, 설, 추석과 같은 사회적 관습과 제도 등으로 인하여 흔히 1년을 주기로 반복하여 나타나는 변동현상(계절변동)을 원래의 통계로부터 제거하는 절차를 의미 ᄋ 계절변동조정통계는 미 상무부의 X-13ARIMA-SEATS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조정한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있으며 하위부문의 계절변동조정 통계를 합산하여 상위부문의 계절변동조정통계를 작성 8. 공표방법 및 수정절차 ― 공표시기 ᄋ 분기 실질 국민소득통계의 속보치는 해당분기 종료후 28일 이내에 “20xx년 x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이라는 제목으로, 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 통계의 잠정치는 해당분기 종료후 70일 이내에 “20xx년 x분기 국민소득(잠 정)”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하여 모든 경제주체에게 동시에 공표 ᄋ 연간 국민계정통계는 잠정의 경우 해당년도 종료 후 3개월 내에 “20xx년 국 민소득(잠정)”, 6개월 내에 “20xx년 국민계정(잠정)”이라는 제목으로, 확정의 경우에는 해당년도 종료 후 1년 6개월 내에 “20xx년 국민계정(확정)”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공표 ᄋ 한편 IMF의 SDDS에 따라 1년 전에 공표일정을 발표 ― 공표방법 : 보도자료, 「조사통계월보」, 「경제통계연보」 및 한국은행 인터넷 홈페이지 수록 ― 수정절차 : 추계시 이용자료의 사정에 따라 속보 및 잠정 추계치가 수정됨 ᄋ 분기별 국민소득통계는 ‘분기잠정’시 최근 ‘분기속보’로 공표된 해당분기 통계 만 1차 수정되고, 매년 6월 ‘연간잠정’ 및 ‘연간확정’ 발표 시 연간잠정 및 확 정년도를 포함해 원계열은 최근 5개년, 계절조정계열은 최근 9개년의 통계가 수정됨 ᄋ 국민소득통계 및 국민계정은 센서스 등 기초통계의 활용, 지수의 현실화, 추 계기법 변경 등을 위해 5년마다 지수기준년을 개편하며 이에 따라 확정치도 지수기준년 개편시 수정될 수 있음 ᄋ 확정통계 공표시 잠정통계와의 차이 및 잠정통계 공표시 속보통계와의 차이 에 대해 각각의 발생 원인을 함께 공표 9. 통계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DP 금액 통계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지수 기준년과 그 익년을 제외하고는 총량(예: GDP)과 그 구성항목(예: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공표되는 성장률(증가율)은 백만원 단위의 금액을 이용하여 계산한 수치로 공표된 십억원 단위의 금액으로 계산한 숫자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ᄋ 디플레이터 등락률의 경우 소수 셋째자리의 디플레이터 지수를 이용하여 계 산한 수치로 보도자료에 공표된 소수 첫째자리의 디플레이터 지수를 이용하여 계산한 숫자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ᄋ 성장률(증가율), 디플레이터 등락률 및 성장기여도 등은 소수 첫째자리까지 공표함 ― 모든 수치들은 반올림되어 있기 때문에 상위 숫자가 부분의 총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국민소득통계를 포함한 국민계정은 산업활동동향, 기업 재무재표, 국제수지, 재정 통계 등 다양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가공통계로서 기초자료와 항목 및 수치 등에서 다를 수 있음 ᄋ예를 들어 본사직영 장기 해외건설의 경우 외화 유출입 및 대외자산‧ 파악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제수지통계에서는 서비스거래로, 국내경제의 현황 파악이 주된 목적인 국민소득통계에서는 해외 현지국의 생산으로 각각 처리 부채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 통계검색 - 간편검색에서 아 래의 통계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해당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계표 명칭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증감률(p.1)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경제규모 및 1인당 국민소득(p.2) (당해년가격 기준) 국민계정 주요지표(p.3) 농림어업 성장률(p.7) 광공업 성장률(p.8)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성장률(p.9) 건설업 성장률(p.9) 서비스업 성장률(p.11) 최종소비지출 증감률(p.12) 10.2.1.2. 10.2.2.2. 10.1.1. 10.1.1. 10.2.1.2. 10.2.1.4 10.2.1.2. 10.2.1.4 10.2.1.2. 10.2.1.4 10.2.1.2. 10.2.1.4 10.2.1.2. 10.2.1.4 10.2.2.2. 10.2.2.4 ECOS 분류 항목명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연간지표 연간지표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10.7.1.1.2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10.7.1.1.4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10.7.1.2.2 가계의 형태별 최종소비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10.7.1.2.4 가계의 형태별 최종소비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통계표 명칭 ECOS 분류 항목명 자본재형태별 총자본형성 (계절조정, 실질, 분기) 자본재형태별 총자본형성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주체별 총자본형성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주체별 총고정자본형성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교역조건지수 경제활동별 GDP 및 GNI (계절조정, 실질, 분기) 경제활동별 GDP 및 GNI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제도부문별 소득계정 (명목, 연간) 연간지표 총저축과 총투자 (원계열, 명목, 분기 및 연간) 제도부문별 자본계정 (명목, 연간) 연간지표 연간지표 분기지표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계절조정, 실질, 분기)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분기지표 분기지표 총고정자본형성 증감률(p.13) 수출 증감률(p.14) 수입 증감률(p.14) 교역조건지수(p.15) (계절조정계열) 실질소득지표(p.15)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분배와 처분 내역(p.17) (당해년가격 기준) 총저축률 및 투자율(p.19) 제도부문별 자본조달 및 축적(p.21) (당해년가격 기준, 2019년) 국민계정 주요지표 추이(p.22) 주요 경제활동별 성장률 추이(p.26)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주요 지출항목별 증감률 추이(p.27)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GDP 및 GNI 성장률 추이(p.28)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GDP 및 GNI 성장률 추이(p.29)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10.6.1.2. 10.6.1.4. 10.6.2.2. 10.6.2.4. 10.2.2.2. 10.2.2.4. 10.2.2.2. 10.2.2.4. 8.4.5 10.2.1.2. 10.2.1.4 10.4.2 10.1.1 10.9.2 10.4.3 10.1.1 10.1.1. 10.1.2. 10.2.2.2. 10.2.2.4. 10.1.2 10.1.2 통계표 명칭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p.30)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p.31)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정보통신산업의 성장률, 성장기여도 및 비중(p.34) (2015년 연쇄가격 기준, 계절조정계열) 정보통신산업의 성장률, 성장기여도 및 비중(p.35)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원계열) ECOS 분류 항목명 10.5.1. 경제활동별 성장기여도 (계절조정, 실질, 분기) 10.5.3.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계절조정, 실질, 분기) 10.5.2. 경제활동별 성장기여도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10.5.4.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10.10.1 정보통신산업 (계절조정, 실질, 분기) 10.10.2 정보통신산업 (원계열, 실질, 분기 및 연간)
'경제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5월 수출입물가지수 (0) | 2021.06.12 |
---|---|
21년 5월중 금융시장 동향 (0) | 2021.06.12 |
21년 6월 1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0) | 2021.06.12 |
22년도 예산 요구 현황 (0) | 2021.06.05 |
6월 2주차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일정표 (0) | 202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