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021년 3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

728x90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국제투자대조표, 대외채무 및 대외채권 2021년 5월 21일 공보 2021-05-09호 이 자료는 5월 22일 조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2021년 5월 21일 12: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21년 3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 (붙 임) 문의처 :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 과장 이새롬, 조사역 이창석, 추승식 Tel : (02) 759-4525, 4339, 4457 Fax : (02) 759-4288 E-mail : bokdebt@bok.or.kr 공보관 : Tel : (02) 759-4015,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bok.or.kr)에, 세부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2021년 3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 2021. 5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 <요 약> I. 대외금융자산·부채 □ 2021년 3월말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 Net IIP)은 4,787억달러로 전분기말(4,661억달러)에 비해 126억달러 증가 ― 대외금융자산(1조 9,884억달러)은 거주자의 증권투자(+283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256억달러 증가 ― 대외금융부채(1조 5,097억달러)는 비거주자의 증권투자(+237억달러)가 늘어나면서 전분기말 대비 129억달러 증가 대외금융자산·부채 현황 대외금융자산 (증 권 투 자) 대외금융부채 (증 권 투 자) 순대외금융자산 순대외금융자산 추이 (억달러) 256 472 -217 283 268 16 129 239 -109 237 166 71 126 234 -108 대외금융자산·부채 추이 3월말 6월말 2020p 9월말 12월말 2021p 3월말 분기중 증감 거래 비거래 요인 요인 16,891 5,305 11,108 6,201 5,783 17,539 5,937 11,904 7,021 5,636 18,222 6,321 12,579 7,746 5,643 19,628 7,056 14,967 9,760 4,661 19,884 7,340 15,097 9,997 4,787 22,000 (억달러) 20,000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대외금융자산 대외금융부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7,000 (억달러)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1,000 -2,000 -3,000 21.3월말 4,787억달러 07.9월말 -2,160억달러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II. 대외채권·채무 □ 2021년 3월말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4,648억달러로 전분기말(4,828억달러)에 비해 180억달러 감소 ― 대외채권(1조 307억달러)은 전분기말 대비 29억달러 증가 o 준비자산(4,461억달러)은 전분기말 대비 30억달러 증가 ― 대외채무(5,659억달러)는 전분기말 대비 210억달러 증가 o 단기외채는 63억달러 증가, 장기외채는 146억달러 증가 ⇒ 단기외채/준비자산 비율(37.1%)은 전분기말 대비 1.2%p 상승한 반면 단기외채/대외채무 비중(29.3%)은 전분기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대외채권·채무 현황 (억달러, %, %p) 대외채권 29 (준 비 자 산1)) 30 대외채무 210 (단 기 외 채) 63 순대외채권 -180 3월말 9,551 4,002 4,892 1,503 4,658 37.6 30.7 6월말 9,557 4,108 5,067 1,562 4,490 38.0 30.8 2020p 9월말 9,772 4,205 5,143 1,461 4,628 34.7 28.4 12월말 10,278 4,431 5,449 1,593 4,828 36.0 29.2 2021p 3월말 10,307 4,461 5,659 1,657 4,648 37.1 29.3 분기중 증감 단기외채/준비자산 단기외채/대외채무 주 : 1)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대외채권·채무 추이 1.2 0.0 단기외채 비율·비중 추이 12,000 (억달러) 순대외채권 10,000 8,000 6,000 4,000 2,000 대외채권 대외채무 08.12월말 277억달러 21.3월말 4,648억달러 0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00 (%) 80 60 40 20 0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08.9월말 78.4% 07.3월말 53.0% 21.3월말 37.1% 21.3월말 29.3% 단기외채/준비자산 비율 단기외채/대외채무 비중 <참 고> 국제투자대조표와 대외채권·채무 통계와의 관계 □ 국제투자대조표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한 나라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금융자산(대외투자) 및 금융부채(외국인투자)를 보여주는 통계 □ 대외채권·채무 통계는 국제투자대조표상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에서 직접투자 중 지분, 증권투자 중 주식(펀드 포함), 파생금융상품 등을 제외한 확정 금융자산·부채*를 나타냄 * 확정 금융자산·부채는 만기, 금리, 만기시 상환해야 할 원금 등이 정해져 있는 대출금, 차입금, 채권(債券), 무역신용 등으로 구성 국제투자대조표와 대외채권·채무 (억달러) A. 대외금융자산 256 가. 지분성 및 파생금융상품1) 226 나. 대외채권(확정금융자산) 29 B. 대외금융부채 129 다. 지분성 및 파생금융상품1) -81 라. 대외채무(확정 금융부채) 210 순대외금융자산(A – B) 126 순대외채권(나 – 라) -180 주 : 1) 직접투자 중 지분, 증권투자 중 주식(펀드 포함), 파생금융상품 등 2020P 12월말 19,628 9,351 10,278 14,967 9,518 5,449 4,661 4,828 2021P 3월말 19,884 9,577 10,307 15,097 9,438 5,659 4,787 4,648 분기중 증감 I. 대외금융자산 및 대외금융부채 1. 대외금융자산 □ 2021년 3월말 대외금융자산은 1조 9,884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256억달러 증가 ― ( 직접투자 ) 채무상품직접투자(+15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23억달러 증가 ― (증권투자) 글로벌주가상승및지분증권투자확대등으로283억달러증가 대외금융자산 현황 2020p 2021p 분기중 증감 거래 비거래 요인1) 요인2) 3월말 6월말 9월말 12월말 3월말 16,891 4,511 3,813 698 5,305 3,067 2,238 420 2,652 4,002 17,539 4,607 3,902 705 5,937 3,638 2,300 403 2,485 4,108 18,222 4,767 4,014 753 6,321 3,993 2,328 401 2,527 4,205 19,628 5,009 4,204 805 7,056 4,638 2,418 465 2,667 4,431 19,884 5,032 4,212 821 7,340 5,000 2,340 320 2,730 4,461 대외금융자산 직접투자 (억달러) 472 -217 97 -74 68 -60 30 -14 268 16 259 103 9 -87 - -145 76 -12 31 -1 256 23 (지분투자) 8 (채무상품)3) 15 증권투자 283 (지분증권) 362 (부채성증권) -79 파생금융상품 -145 기타투자4) 64 준비자산5) 30 주 : 1) 매매, 대출 등 2) 가격 및 환율 변동 등 3) 직접투자 관계기업간에 발생한 차입, 무역신용, 부채성증권 인수 등 4) 대출, 무역신용, 현금 및 예금 등 5)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참고> ▪주가상승·하락(-)률1) ▪각국통화의 대미달러 절상·절하(-)율2) 주요국의 주가 및 환율 변동률 미국 DJIA NASDAQ 7.6 11.0 10.2 15.4 - - - - (%) EU중국일본홍콩 -1.3 -3.7 4.0 -4.0 11.2 14.3 18.4 16.1 4.3 4.0 2.3 0.0 4.2 4.0 2.2 0.0 ‘20년3/4분기중 ‘20년4/4분기중 ‘21년1/4분기중 ‘20년3/4분기중 ‘20년4/4분기중 ‘21년1/4분기중 7.8 2.8 10.3 2.2 6.3 4.2 - - -4.0 -0.4 -6.7 -0.3 주 : 1) 미국 DJIA·NASDAQ, EURO Stoxx 50 Index, 중국 HSCEI, 일본 Nikkei225, 홍콩 HSI 2) Bloomberg, EU는 유로화기준 -1- 2. 대외금융부채 □ 2021년 3월말 대외금융부채는 1조 5,097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129억달러 증가 ― (직접투자)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가치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말 대비 58억달러 감소 ― ( 증권투자 ) 국내주가 상승 등의 비거래요인과 부채성증권에 대한 외국인 투자확대로 전분기말 대비 237억달러 증가 대외금융부채 현황 3월말 11,108 2,289 1,926 6,201 3,733 2,468 556 2,061 6월말 11,904 2,354 1,995 7,021 4,390 2,631 452 2,077 2020p 2021p 12,579 2,423 2,051 7,746 4,968 2,778 416 1,993 12월말 14,967 2,649 2,250 9,760 6,855 2,905 413 2,145 3월말 분기중 증감 9월말 거래 비거래 요인 요인 15,097 2,591 2,183 9,997 6,924 3,073 331 2,178 대외금융부채 직접투자 (지분투자) 증권투자 (지분증권) (부채성증권) 파생금융상품 기 타 투 자1) 129 -58 -67 237 69 169 -82 33 (억달러) 239 -109 24 -82 11 -77 166 71 -65 133 231 -62 - -82 49 -16 주 : 1) 차입, 무역신용, 현금 및 예금 등 <참고> 국내 주가 및 원화환율 변동률 ▪종합주가지수(KOSPI) 상승·하락(-)률 ▪대미달러(매매기준율) 원화 절상·절하(-)율 2019년중 7.7 -3.4 2020년중 4분기중 30.8 23.4 6.4 7.9 2021년 1분기중 6.5(2,873.5→3,061.4) -4.0(1,088.0→1,133.5) (%) -2- II. 대외채권 및 대외채무 1. 대외채권 □ 2021년 3월말 대외채권은 1조 307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29억달러 증가 ― ( 만기별 ) 단기 대외채권 97억달러 증가, 장기 대외채권 67억달러 감소 o 단기 대외채권은 예금취급기관의 기타자산(+50억달러), 중앙은행의 준비자산(+30억달러) 등이 증가 o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95억달러) 등이 감소 ― ( 부문별 ) 일반정부(+10억달러), 중앙은행(+30억달러), 예금취급기관(+40억달러)은 증가한 반면, 기타부문(-51억달러)은 감소 대외채권 현황 (억달러) 3월말 9,551 5,767 3,783 284 4,016 4,002 2,145 3,105 1,705 6월말 9,557 5,726 3,831 300 4,122 4,108 2,096 3,039 1,749 2020p 9월말 9,772 5,852 3,919 332 4,216 4,205 2,086 3,138 1,758 12월말 10,278 6,216 4,062 384 4,446 4,431 2,166 3,282 1,811 2021p 3월말 분기중 증감 10,307 6,312 3,995 394 4,477 4,461 2,205 3,231 1,716 대외채권 29 단기 97 장기 -67 일반정부 10 중앙은행 30 30 예금취급기관 40 (준비자산1)) 기 타 부 문2) -51 -95 2) 기타부문은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의 기타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등으로 구성 (부채성증권) 주 : 1)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3- 2. 대외채무(외채) □ 2021년 3월말 대외채무는 5,659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210억달러 증가 ― ( 만기별 ) 단기외채 63억달러 증가, 장기외채 146억달러 증가 o 단기외채 증가는 일반정부 및 중앙은행의 부채성증권(+33억달러)과 예금취급기관의 현금및예금(+31억달러)이, 장기외채 증가는 일반정부의 부채성증권(+46억달러)이 주도 ― ( 부문별 ) 일반정부(+61억달러), 중앙은행(+43억달러), 예금취급기관(+66억달러), 기타부문(+40억달러) 모두 증가 o 일반정부, 중앙은행, 예금취급기관의 대외채무 증가는 부채성증권 (각각 +70억달러, +42억달러, +44억달러)이, 기타부문의 대외채무 증가는 무역신용(+16억달러)이 주도 대외채무 현황 (억달러) 대외채무 210 단기외채 63 장기외채 146 3월말 4,892 1,503 3,389 963 941 240 198 2,192 689 285 1,159 1,498 72 640 285 6월말 5,067 1,562 3,505 1,049 1,022 384 233 2,127 723 274 1,076 1,507 54 654 292 2020p 9월말 5,143 1,461 3,682 1,128 1,104 261 223 2,188 766 274 1,093 1,567 62 686 296 12월말 2021p 3월말 분기중 증감 5,449 1,593 3,856 1,215 1,194 258 214 2,326 794 280 1,159 1,650 83 702 301 5,659 1,657 4,002 1,276 1,264 301 256 2,392 838 311 1,178 1,690 99 716 303 일반정부 (부채성증권) 중앙은행 (부채성증권) 예금취급기관 (부채성증권) (현금및예금) (차 입) 기 타 부 문1) (무역신용) (부채성증권) (차 입) 주 : 1) 기타부문은 61 70 43 42 66 44 31 19 40 16 14 2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의 기타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등으로 구성 -4- <참고> 국제투자대조표 주요 통계 추이 대 외 채 권 채 무 <연간, 2006~2020년> <분기별, 2019~2021년> 국 제 투 자 대 조 표 21,000 18,000 15,000 12,000 9,000 6,000 3,000 0 (억달러) 대외금융자산 대외금융부채 순대외금융자산 22,000 (억달러) 20,000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억달러)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21.1Q -3,000 06 08 10 12 14 16 18 20 19.1Q 3Q 20.1Q 3Q 대외금융자산(좌축) 대외금융부채(좌축) 순대외금융자산(우축) (억달러) 12,000 10,000 대외채무 순대외채권 8,000 6,000 4,000 2,000 0 06 08 10 12 14 16 18 20 대외채권 14,000 (억달러) 12,000 10,000 (억달러) 5,100 5,000 4,900 4,800 4,700 4,600 4,500 4,400 21.1Q 대외채권(좌축) 대외채무(좌축) 순대외채권(우축) 8,000 6,000 4,000 2,000 19.1Q 3Q 20.1Q 3Q 직 접 투 자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직접투자(자산) 직접투자(부채) 0 06 08 10 12 14 16 18 20 6,000 (억달러) 5,000 4,000 3,000 2,000 1,000 직접투자(자산) 직접투자(부채) 19.1Q 3Q 20.1Q 3Q 21.1Q 증 권 투 자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억달러) 증권투자(자산) 증권투자(부채) 06 08 10 12 14 16 18 20 12,000 (억달러) 10,000 8,000 6,000 4,000 2,000 증권투자(자산) 증권투자(부채) 19.1Q 3Q 20.1Q 3Q 21.1Q -5- · (부표) A. 대외금융자산 1. 직접투자 (지분투자) (채무상품) 2. 증권투자 (지분증권) (부채성증권) 3. 파생금융상품 4. 기타투자 (무역신용) (대 출) (현금및예금) (기타자산) (기타지분) 5. 준비자산1) B. 대외금융부채 1. 직접투자 (지분투자) (채무상품) 2. 증권투자 (지분증권) (부채성증권) 3. 파생금융상품 4. 기타투자 (무역신용) (차 입) (현금및예금) (기타부채) (SDRs) C. 순대외금융자산(A-B) 주 : 1)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국제투자대조표 세부내역 (억달러) 3월말 16,891 4,511 3,813 698 5,305 3,067 2,238 420 2,652 268 1,301 676 367 40 4,002 6월말 17,539 4,607 3,902 705 5,937 3,638 2,300 403 2,485 209 1,322 577 337 40 4,108 2020p 9월말 18,222 4,767 4,014 753 6,321 3,993 2,328 401 2,527 260 1,306 541 378 41 4,205 12월말 19,628 5,009 4,204 805 7,056 4,638 2,418 465 2,667 298 1,308 589 427 44 4,431 2021p 3월말 19,884 5,032 4,212 821 7,340 5,000 2,340 320 2,730 319 1,302 584 481 4,461 45 분기중 증감 256 23 283 362 -79 -145 8 15 64 20 -6 -5 54 1 30 11,108 2,289 1,926 363 6,201 3,733 2,468 556 2,061 72 1,445 368 144 33 11,904 2,354 1,995 359 7,021 4,390 2,631 452 2,077 54 1,368 477 145 33 12,579 2,423 2,051 372 7,746 4,968 2,778 416 1,993 62 1,389 362 146 34 14,967 2,649 2,250 399 9,760 6,855 2,905 413 2,145 83 1,459 386 183 35 15,097 2,591 2,183 408 9,997 6,924 3,073 331 2,178 1,481 99 415 149 34 129 -58 -67 237 8 69 169 -82 33 16 21 29 -33 -1 5,783 5,636 5,643 4,661 4,787 126 -6- 대외채권 세부내역 (억달러) 3월말 9,551 5,767 3,783 284 101 77 24 184 115 69 4,016 4,016 14 0 4,002 0 2,145 1,028 20 415 302 290 1,117 398 718 1 3,105 623 20 6 283 268 45 2,482 1,684 93 7 698 6월말 9,557 5,726 3,831 300 103 81 22 197 126 71 4,122 4,122 15 0 4,108 0 2,096 1,000 24 457 256 263 1,095 401 694 0 3,039 500 17 5 224 209 44 2,539 1,732 95 7 705 2020p 9월말 9,772 5,852 3,919 332 99 82 17 233 160 73 4,216 4,216 11 0 4,205 0 2,086 1,000 19 438 234 309 1,086 391 695 0 3,138 537 13 5 215 260 44 2,600 1,745 96 7 753 12월말 10,278 6,216 4,062 384 98 80 18 286 204 82 4,446 4,446 15 0 4,431 0 2,166 1,095 19 440 280 357 1,070 385 684 0 3,282 576 15 4 215 298 44 2,706 1,795 98 7 805 2021p 3월말 10,307 6,312 3,995 394 101 4,461 2,205 1,130 84 17 293 213 4,477 4,477 80 15 438 267 407 1,076 393 682 3,231 604 319 2,627 1,701 0 0 18 0 15 218 4 49 98 821 7 분기중 증감 29 97 -67 10 4 5 -1 7 9 -2 30 30 0 0 30 -13 -51 0 40 35 -1 -2 50 5 8 -2 0 28 -79 -95 0 0 3 20 5 0 0 15 A.대 외 채 권 A-1. 단 기 A-2. 장 기 1. 일반정부 1-1. 단기 (현금및예금) (기타자산) 1-2. 장기 (증권투자) (대출금) 2. 중앙은행 2-1. 단기 (현금및예금) (기타자산) ( 준 비 자 산 )1 ) 2-2. 장기 3. 예금취급기관 3-1. 단기 (증권투자) (대출금) (현금및예금) (기타자산) 3-2. 장기 (증권투자) (대출금) (기타자산) 4. 기타부문 4-1. 단기 (증권투자) (대출금) (현금및예금) (무역신용) (기타자산) 4-2. 장기 (증권투자) (대출금) (기타자산) ( 채무상품직접투자) 주 : 1)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7- 대외채무 세부내역 (억달러) 3월말 4,892 1,503 3,389 963 28 7 21 935 935 240 109 105 4 131 93 5 33 2,192 1,150 7 800 285 59 1,042 682 360 1,498 216 17 18 79 69 33 1,281 623 267 26 363 6월말 5,067 1,562 3,505 1,049 44 16 28 1,006 1,006 384 238 125 113 146 109 4 33 2,127 1,067 23 716 274 54 1,060 700 360 1,507 213 18 22 90 51 32 1,293 635 269 27 359 2020p 9월말 5,143 1,461 3,682 1,128 37 13 24 1,090 1,090 261 106 106 0 155 117 5 34 2,188 1,092 30 733 274 56 1,095 736 360 1,567 226 19 23 89 59 36 1,341 667 273 26 372 12월말 5,449 1,593 3,856 1,215 21 0 21 1,194 1,194 258 108 104 5 150 111 5 35 2,326 1,204 33 798 280 94 1,122 761 361 1,650 260 19 23 102 80 37 1,390 683 278 26 399 2021p 3월말 5,659 1,657 4,002 1,276 1,240 1,240 2,392 1,220 1,171 36 24 12 301 117 113 184 144 5 6 34 34 810 311 66 803 368 1,690 283 20 26 100 1,407 98 39 695 277 26 408 분기중 증감 210 63 146 61 15 24 -9 46 46 43 9 9 0 34 33 2 -1 66 17 1 12 31 -28 49 42 7 40 23 1 3 -2 19 2 18 12 -1 0 8 4,658 4,490 4,628 4,828 4,648 -180 B.대 외 채 무 B-1. 단 기 B-2. 장 기 1. 일반정부 1-1. 단기 (증권발행) (기타부채) 1-2. 장기 (증권발행) 2. 중앙은행 2-1. 단기 (증권발행) (현금및예금) 2-2. 장기 (증권발행) (기타부채) (SDRs) 3. 예금취급기관 3-1. 단기 (증권발행) (차입금) (현금및예금) (기타부채) 3-2. 장기 (증권발행) (차입금) 4. 기타부문 4-1. 단기 (증권발행) (차입금) (현금및예금) (무역신용) (기타부채) 4-2. 장기 (증권발행) (차입금) (기타부채) (채무상품직접투자) C. 순대외채권(A-B) -8- 국제투자대조표 및 대외채권·채무 개요 1. 의의 ― 국제투자대조표(IIP;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는 「일정시점 현재 한 나라 거 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금융자산(대외투자) 및 금융부채(외국인투자) 잔액」을 기록 한 통계 ― 대외채권·채무는 「일정시점 현재 한 나라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확정 금융자산(대 외채권) 및 금융부채(대외채무) 잔액」을 나타낸 통계 ⇒ 대외채권·채무는 국제투자대조표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지분성(직접투자(지분), 증 권투자(주식), 기타지분) 및 파생금융상품을 제외한 것과 일치 국제투자대조표 A. 금융자산(대외투자) 순대외금융자산(A - B) 순대외채권(나 - 라) 2. 통계의 구성 (1) 국제투자대조표 B. 금융부채(외국인투자) 다. 지분성 및 파생금융상품 가. 지분성 및 파생금융상품 나. 대외채권(확정 금융자산) 1 직접투자 : 직접투자관계에 있는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에 일어나는 대외거래(주식, 직접투자관계 기업간 대출·차입 등)로서 직접투자관계에는 투자기업에 대해 10% 이상의 의결권을 보유하거나 연쇄출자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 등을 포함 2 증권투자 :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에 일어나는 주식, 부채성증권 거래를 말하며 이 중 직접투자 또는 준비자산에 포함되는 주식 및 부채성증권 거래는 제외 3 파생금융상품 :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파생금융상품거래에 따른 평가잔액으로 평가결 과 이익은 자산, 손실은 부채로 분류 -9- 라. 대외채무(확정 금융부채) 4 기타투자 :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및 준비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금융거래로 대출·차입, 무역신용, 현금 및 예금, 기타지분, 기타자산·부채, SDRs 등 으로 구분 5 준비자산 : 외환보유액 총액을 계상 (2) 대외채권·채무 ― 대외채권 및 대외채무를 부문별, 기간별, 형태별로 분류 1 부문별 : 거래주체의 성격에 따라 일반정부(중앙정부, 지방정부, 연기금 등), 중앙은 행, 예금취급기관 및 기타부문(기타금융기관, 비금융기업등)으로 구분 2 기간별 : 계약당시 만기를 기준으로 1년 이하면 단기, 1년을 초과하면 장기로 구분 3 형태별 : 대외채권은 증권투자, 대출금, 현금 및 예금, 무역신용, 채무상품 직접투자, 기타자산 및 준비자산으로 구성, 대외채무는 증권발행, 차입금, 현금 및 예금, 무역 신용, SDRs, 채무상품 직접투자 및 기타부채로 구성 3. 작성주기 : 분기별(국제투자대조표 공표시 대외채권·채무통계를 함께 발표) 4. 작성원칙 ― 국제투자대조표와 대외채권·채무는 IMF의 국제수지 매뉴얼(BPM6)*과 2013 외채가이드 (EDS)**에 따라 작성 * Balance of Payments and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 Manual, 6th edition ** External Debt Statistics : Guide for Compilers and Users ― 기말시점 현재의 대외 금융자산과 금융부채 잔액을 시장가격으로 평가 ― 자산과 부채를 상계하지 않고 총액으로 계상 ― 미달러화를 계산단위 통화로 하여 작성하며 미달러화 이외의 자산 및 부채는 기말시 점의 대미달러 환율을 이용하여 환산 - 10 - 5. 통계작성방법 ― 거주자의 대외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항목별로 잔액자료를 이용하여 작성 o 잔액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전기말 잔액에 국제수지표상 금융계정 자료 등을 이용하 여 당기 잔액을 추계 6. 기초자료 : 외환수급자료(한국은행), 금융기관 및 기업체 서베이 자료, 정부기관 통계자 료 등을 기초자료로 이용 7. 공표방법 및 수정절차 ― 공표시기 : 분기별 잠정통계는 해당분기 종료 2개월 이내에 공표, 연간 확정통계는 익익년 1월경 공표 ― 공표방법 : 보도자료 배포와 동시에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http://ecos.bok.or.kr)에 게재, 「경제통계연보」 등에도 수록 ― 수정절차 : 분기별 잠정통계 편제시 기초자료가 변경되는 경우 기공표된 잠정 통계를 수정 8. 통계자료 이용 시 유의사항 ― 전년도 및 당해 연도 공표자료는 확정치 공표 전까지는 잠정치 ― 국제투자대조표와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은 포괄범위가 동일하지만 국제투자대조표는 특정시점의 잔액을 보여주는 통계인 반면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은 일정기간 중의 거 래변동을 나타내는 플로(flow) 통계 o 또한, 국제투자대조표는 잔액통계로서 거래일 이후 환율이나 주가변동 등으로 인한 가치평가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계정의 플로를 누적한 금액과 차이가 날 수 있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 통계검색 - 간편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해당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I. 대외금융자산 및 대외금융부채(p.1~p.2) 8.6. 국제투자대조표 통계표 명칭 ECOS 분류 항목명 II. 대외채권 및 대외채무(p.3~p.4) 8.7. 대외채무/채권 - 11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