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2년 역점 투자사업 성과점검, 민간보조·출연사업 지출구조조정 계획 논의

728x90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도참고자료 2021. 6. 2.(수) 15:30 담당과장 재정관리국 재정관리총괄과장 남경철(044-215-5310) 예산실 예산기준과장 계강훈(044-215-7150) 예산실 기금운용계획과장 고정삼(044-215-7170) 담당자 이고은 서기관 gonni@korea.kr 이재철 사무관 jclee23@korea.kr 이은숙 사무관 gorangji@korea.kr 보도일시2021. 6. 2.(수) 15:30배포일시 제4회 재정운용전략위원회 주요 논의 내용 - '22년 역점 투자사업 성과점검, 민간보조·출연사업 지출구조조정 계획 논의 - 【 회의개요 】 □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6.2(수) 오전 서울지방조달청 에서 제4회 재정운용전략위원회 를 개최하여, ᄋ ‘22년 역점투자사업 성과점검 결과 및 재정지출 구조조정 추진계획 등을 논의하였음 ᄋ 특히, 이번 회의에는 기존 위원회 민간위원 뿐만 아니라, 아주대 윤대균 교수 등 안건 관련 외부전문가도 참석하여 다양하고 유익한 의견을 개진하였으며, 위원회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주요내용 】 1. '22년 역점 투자사업 성과점검 □ 민간위원들은 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산업을 선도할 유망 기업을 육성하여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해, 선택과 집중에 입각한 전략적 투자 필요성에 공감 -1- ᄋ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에 대항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국내 기업을 육성하고, AI시대 기간 인프라인 클라우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공부문 투자를 민간 클라우드 시장을 육성하는 마중물로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아주대 윤대균 교수, 서울대 차상균 교수) - 이를 위해 ➊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기능 강화, ➋공공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추가 개발 ➌정부 공공기관에 대한 정보보안 규제를 신기술 발전추세에 발맞춰 고도화 등의 필요성 지적(노동연 김승택 부원장) ᄋ 관련하여 독일 프랑스가 ’데이터 주권‘ 차원에서 추진하는 가이아-X 프로젝트(유럽 주도의 클라우드 플랫폼)가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적극 검토하여 정책 개발 필요(서울대 차상균 교수) * 가이아엑스(GAIA-X) : 아마존, 구글, MS 등 미국기업 주도의 데이터 클라우드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 주도의 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규칙‧규제를 합의, ‘21년 유럽에 클라우드 서버를 두고 운용 개시 □ 데이터 빅뱅 지원사업은 일자리 창출, 고부가가치 국부창출, 국민편의성 증진 등을 기준으로 선택과 집중 원칙하에 투자 우선순위 조정(서울대 박순애 교수) ᄋ 산업 영역 도메인 별 데이터댐 구축 이후에도 데이터 품질 제고를 위한 유지관리 투자가 지속될 필요(서울대 차상균 교수, 노동연 김승택 부원장) ᄋ 데이터 축적 위주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검색 분석 가공하여 부가가치 창출을 뒷받침하는 후속조치 필요(아주대 윤대균 교수) □ 기술개발을 위한 R&D 사업(과기부)과 그 성과물을 상용화 일자리 창출하는 사업(중기부, 고용부 등) 간 연계 및 수행기관 간 협업 필요 -2- 2. 보조금/출연금 지출구조조정 □ 민간위원들은 관행적으로 지속되는 민간보조사업 및 공공 기관 출연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지출 구조조정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보다 근본적인 접근도 주문하였음 ᄋ 지자체 보조사업과 관련하여, 내국세의 40%가 교부세로 이전되는 구조에서 중앙정부만의 노력으로 지출 효율화 성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복지 일자리 재난 등 사업은 법령에 따른 국가와 지자체의 공동 책임영역인 만큼 적절한 투자분담 필요(재정연구원 김정훈 원장, 조세연 박노욱 박사) ᄋ 공공기관에 대한 모든 출연사업의 타당성을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하고, 성과와 연계하여 3년 일몰제 도입 등 검토 필요 (국가경영연구원 권해상 원장) 【 향후계획 】 □ 기획재정부는 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과 정부·민간위원이 제시한 다양한 의견을 ‘21~‘25 국가재정운용계획 및 ’22년 예산안에 적극 반영할 계획임 ᄋ 아울러 앞으로도 국가재정운용 전반에 관한 전략 및 제도혁신 방안에 대한 다양한 안건을 위원회에서 논의하고 국가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