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1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728x90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도참고자료 2021. 6. 2.(수) 09:00 이상홍 사무관 (lsh0622@korea.kr) 보도일시 배포시 배포일시 담당과장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담당자 김승태 (044-215-2770) 제목 : '21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2.6% 상승(전월비 0.1%), 근원 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전년동월비 1.5% 상승(전월비 0.3%) ◇ 농축수산물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석유류가 기저효과로 크 게 오르면서 4월 대비 오름폭 확대 주요품목 기여도 상방 요인 휘발유(0.44), 경유(0.29), 사과(0.18), 공동주택관리비(0.15), 파(0.09) (단위: %p, 전년동월비) 하방 요인 고등학교납입금(△0.16), 도시가스(△0.15) 휴대전화기(△0.07), 학교급식비(△0.04), □ 5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 강세가 지속되고, 석유류가 기 저효과로 크게 오르면서 2.6% 상승(전년동월비) 전년동월비 △0.3 전월비 △0.2 ᄋ 농축수산물은 봄작형 채소류(봄배추, 조생양파, 봄대파 등) 출하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전월대비 하락하였으나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전년동월비, (4월)13.1→(5월)12.1%) * 전년동월비(%, 4→5월) : (농산물)17.9→16.6 (축산물)11.3→10.2 (수산물)0.6→0.5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4→5월) : (배추)8.6→△14.3 (양파)17.5→△10.1 (달걀)36.9→ 45.4 ᄋ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작년 기저효 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13.4→23.3%) * 두바이유($/b): (‘20.3) 33.7 (4) 20.4 (5) 30.5 / (‘21.3) 64.4 (4) 62.9 (5) -1- (%) ‘20.5 6 0.2 7 0.3 0.0 8 0.7 0.6 9 1.0 0.7 10 0.1 △0.6 11 0.6 △0.1 12 0.5 0.2 ‘21.1 0.6 0.8 2 1.1 0.5 3 1.5 0.1 4 2.3 0.2 5 0.0 2.6 0.1 66.3 휘발유(원/L): (‘20.3) 1,469 (4) 1,324 (5) 1,255 / (‘21.3) 1,513 (4) 1,535 (5) 1,541 -2- ᄋ 공공서비스는 작년 5월 유아학비 지원금 인상의 기저효과 가 소멸*되며 하락폭 축소(△1.0→△0.7%) * 작년 5월 시행된 지원금 인상(22→24만원)의 전년동월비 물가하락효과는 1년간(’20.5~‘21.4월)만 작용 후 소멸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4→5월): (유치원납입금)△11.4→△5.7(기여도(%p) △0.04 →△0.02) ᄋ 개인서비스는 고교 무상급식 확대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공 동주택관리비 등이 상승하면서 상승폭 확대(2.2→2.5%) * ‘20.5월 서울・부산 2학년, 대구・경북 3학년에 확대 시행된 무상급식의 물가하 락효과는 전년동월비 기준 1년간(’20.5~‘21.4월)만 작용 후 소멸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4→5월): (학교급식비)△100.0→△100.0(기여도(%p) △0.07 →△0.04) (공동주택관리비)4.4→7.3(기여도(%p) 0.09 →0.15) 전체 공업 석유류 가공식품 집세 공공 개인 외식 외식外 제품 서비스 서비스 4월 전년동월비 2.3 13.1 2.3 13.4 1.7 △4.9 1.2 △1.0 2.2 1.9 2.5 품목별 상승률(%) 농축 수산물 5월 2.6 12.1 3.1 (기여도, %p) - (1.0) (1.0) 전월비(%) 0.1 △1.0 0.2 (기여도, %p) - (△0.1) (0.1) 23.3 (0.8) (0.0) 1.4 △4.8 (0.1) (△0.2) 0.1 0.0 (0.0) (0.0) 1.3 △0.7 2.5 2.1 2.8 (0.1) (△0.1) (0.8) (0.3) (0.5) 0.2 0.0 0.2 0.2 0.3 (0.0) (0.0) (0.1) (0.0) (0.1) 전년동월비 0.2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폭 확대(1.4→1.5%) * 계절적요인이나일시적인충격에의해영향을크게받는농산물및석유류를제외한물 가상승률로 전체 460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7개 품목으로 구성 (전년동월비,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20.5 6 0.5 0.6 0.1 0.2 7 8 0.7 0.8 0.4 0.4 9 10 11 0.9 0.1 1.0 0.6 △0.3 0.6 12 ‘21.1 2 0.9 0.9 0.8 0.5 0.4 0.3 3 4 5 1.0 1.4 1.5 0.6 1.1 1.2 □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오름폭 확대(2.8→3.3%) * 전체 460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4→5월) : (식품)5.3→4.7 (식품이외)1.3→2.5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 4→5월) : (휘발유)13.9→23.0 (경유)15.2→25.7 (자동차용LPG)9.8→24.5 ᄋ 신선식품지수*는 오름폭 축소(14.6→13.0%)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4→5월) : (신선어개)0.7→0.6 (신선채소)19.4→11.6 (신선과실)19.3→ 23.2 -3- 전기수도 가스 (전년동월비, %) ‘20.5 △0.7 3.4 6 △0.3 4.3 7 0.0 8.4 8 0.5 15.8 9 10 11 12 ‘21.1 0.9 △0.7 △0.1 △0.1 0.3 21.5 19.9 13.1 10.0 9.2 23 1.2 1.5 18.9 16.5 4 2.8 14.6 생활물가지수 신선식품지수 5 3.3 13.0 -4- □ 5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5월 물가상승률이 연중 최저치(△ 0.3%)를 기록한 기저효과 등으로 상승 * ➊ ‘20.5월에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 하락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매우 낮았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 * 휘발유(원/L): (‘20.3) 1,469 (4) 1,324 (5) 1,255 / (‘21.3) 1,513 (4) 1,535 (5) 1,541 **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비, %): (‘20.1)1.5 (2)1.1 (3)1.0 (4)0.1 (5)△0.3 ➋ 기저효과를 제외한 전월비는 4월보다 상승폭이 축소된 0.1%를 기록하여 전월비 물가흐름은 점차 안정되는 모습 * 소비자물가 상승률(전월비, %): (‘21.1월) 0.8 (2) 0.5 (3) 0.1 (4) 0.2 (5) 0.1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주요 품목성질별 기여도 변화 ➌ 품목성질별로는 공급측 요인인 농축수산물과 석유류의 물 가기여도가 4월보다 더욱 확대* *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등 공급측 요인 기여도(1.8%p)가 5월 물가상승률 (2.6%)의 69.2% 차지(4월은 1.5%p로 65.2% 차지) ▪ 농축수산물은 기상여건 악화, AI 영향으로 높아진 가격이 3 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아직 높은 수준 유지 * 농축수산물 상승률(전월비, %): (‘21.1월)3.3 (2)4.5 (3)△1.3 (4)△0.5 (5)△1.0 ▪ 석유류는 작년 5월 저점(△18.7%)을 기록했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물가상승률 및 기여도가 큰 폭으로 확대 * 석유류 기여도(전년동월비, %p): (‘20.5월)△0.8/(‘21.1분기)△0.2 (4월)0.5 (5월)0.8 농축수산물 물가지수 추이 석유류 물가지수 추이 * □ 6월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가 일부 완화 되며 오름폭 축소 전망 -5- * ‘20.상 소비자물가(전년동월비, %) : (‘20.1)1.5 (2)1.1 (3)1.0 (4)0.1 (5)△0.3 (6)0.0 -6- □ 하반기에는 물가여건이 개선되며 연간 기준으로 물가안정목 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됨 ➊ ‘20년 소비자물가가 2분기(△0.1%)보다 3・4분기 오름폭이 컸 던 점(0.6%, 0.4%)을 감안할 때 기저효과가 하반기에 완화 * ‘20년 소비자물가(전년비, %): (‘20.1/4)1.2 (2/4)△0.1 (3/4)0.6 (4/4)0.4 * ➋ 농축수산물이 공급 회복 등으로 하반기 이후 점차 하향안정화되 ** 고, 석유류도 국제유가가 60불대를 유지 할 것으로 전망 * (3분기) 계란 공급량 회복, (4분기) 쌀・사과・배 등 수확기 도래 ** 국제유가(두바이유) 전망(CERA, 달러/배럴): (‘21.2/4)63 (3/4)67 (4/4)66 ➌ 주요 기관들의 ‘21년 연간 소비자물가 전망도 1.7~1.8% 수준 * ‘21년 소비자물가 전망: (한은) 1.8%, (OECD) 1.8%, (KDI) 1.7% (IB 평균) 1.7% □ 다만, 금년 중 물가 상방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하 여 선제적으로 안정적인 물가관리 노력 필요 ᄋ 기상여건 악화 등 농축산물 가격 불안 지속, 국제원자재 가 격 추가 상승, 백신보급 확대로 인한 소비 증가 등 물가 상방리스크 요인 존재 ᄋ 물가 불안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 산되지 않도록 물가관계차관회의 중심으로 적극대응 필요 ☞ 이에 금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하여 5월 소비자물가 주 요 특징과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 * 주요 추진과제: ➊계란 6월 5,000만개+α 수입 및 긴급할당관세 지원도 연말 까지 연장, ➋비철금속 할인방출 지속 및 외상구매 상한 확대 등, ➌중소가공 식품・외식업계의 원료매입자금 융자지원금리(2.0~2.5%) 0.2%p 인하 등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