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0년말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 잔액은 1조 5,197 억달러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bok.or.kr)에, 세부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2020년말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잠정) 2021. 6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 I.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 1. 우리나라의 지역별 대외금융자산 □ 2020년말 준비자산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 잔액*은 1조 5,197 억달러로 전년말에 비해 2,072억달러 증가 * 준비자산(4,431억달러)은 운용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국제적 관례에 따라 지역별 국제 투자대조표 편제 대상에서 제외 □ 투자지역별로는 미국에 대한 투자가 5,345억달러(비중 35.2%)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EU(2,919억달러, 19.2%), 동남아(2,015억달러, 13.3%) 등의 순임 ― 전년말에 비해 미국(+1,148억달러)에 대한 투자잔액은 미국 주가 상승 및 증권투자 확대, EU(+403억달러)에 대한 투자잔액은 유로화 평가절상 등에 힘입어 크게 증가 □ 투자형태별로 보면 직접투자는 미국(1,180억달러, 비중 23.6%) 및 동남아(1,087 억달러, 21.7%), 증권투자는 미국(3,450억달러, 48.9%) 및 EU(1,623억달러, 23.0%), 기타 투자는 미국(646억달러, 24.2%)에 대한 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총액 2020년말 15,197 미국 5,345 (35.2) 1,180 (23.6) 3,450 (48.9) 68 (14.7) 646 (24.2) 4,198 (32.0) 1,148 중국 일본 1,555 514 (10.2) (3.4) 942 118 735 (18.8) (2.3) (14.7) 239 291 (3.4) (4.1) 4 21 242 (0.9) (4.4) (51.9) 370 85 320 (13.9) (3.2) (12.0) 1,389 496 2,517 (10.6) (3.8) (19.2) 167 18 403 동남아 2,015 (13.3) 317 (4.5) 100 (21.4) 510 (19.1) 1,815 (13.8) 200 중동 중남미 277 1,018 (1.8) (6.7) 33 407 (0.7) (8.1) 55 443 (0.8) (6.3) 3 3 (0.6) (0.7) 186 165 (7.0) (6.2) 280 975 (2.1) (7.4) -3 44 기타 1,553 (10.2) 507 (10.1) 637 (9.0) 25 (5.3) 385 (14.4) 1,456 (11.1) 96 지역별 대외금융자산1) 현황 (억달러, %) EU3) 2,919 (19.2) (100.0) 5,009 (100.0) 7,056 (100.0) 파생금융상품 465 (100.0) 2,667 (100.0) 13,125 (100.0) 2,072 (A) 직접투자 1,087 (21.7) 증권투자 기타투자2) 2019년말 (B) 증감(A - B) 주 : 1) 준비자산 제외 3)영국포함 2) 현금및예금, 대출금, 무역신용 등 4)( )내는지역별구성비(%) -1- 1,623 (23.0) 2. 우리나라의 지역별 대외금융부채 □ 2020년말 우리나라의 대외금융부채 잔액은 1조 4,967억달러로 전년말에 비해 2,932억달러 증가 □ 투자지역별로는 미국이 4,055억달러(비중 27.1%)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EU(3,774억달러, 25.2%), 동남아(2,933억달러, 19.6%) 등의 순임 ― 전년말에 비해 미국(+842억달러), EU(+763억달러), 동남아(+704억달러) 등의 투자잔액이 국내주가 상승 등으로 증가 □ 투자형태별로는 직접투자는 EU(857억달러, 비중 32.3%), 증권투자는 미국 (3,346억달러, 34.3%), 기타투자는 동남아(802억달러, 37.4%)의 비중이 높음 지역별 대외금융부채 현황 총액 14,967 (100.0) 2,649 (100.0) 9,760 (100.0) 파생금융상품 413 (100.0) 2,145 (100.0) 12,036 (100.0) 2,932 미국 중국 일본 동남아 2,933 (19.6) 374 (14.1) 1,673 (17.1) 85 (20.5) 802 (37.4) 2,229 (18.5) 704 중동 중남미 472 377 (3.2) (2.5) 39 48 (1.5) (1.8) 330 217 (3.4) (2.2) 2 1 (0.4) (0.3) 101 111 (4.7) (5.2) 376 349 (3.1) (2.9) 96 28 기타 1,576 (10.5) 154 (5.8) 1,186 (12.2) 24 (5.8) 212 (9.9) 1,240 (10.3) 335 (%) 기타투자1) (억달러, %) EU2) 3,774 (25.2) 857 2020년말 (A) 4,055 (27.1) 424 (16.0) 3,346 (34.3) 34 (8.2) 251 (11.7) 3,212 (26.7) 842 748 1,032 (5.0) (6.9) 131 622 (4.9) (23.5) 376 258 (3.8) (2.6) 5 20 (1.2) (4.7) 237 132 (11.0) (6.1) 730 888 (6.1) (7.4) 19 144 직접투자 증권투자 (32.3) 2,374 (24.3) 244 (58.9) 300 (14.0) 3,011 (25.0) 763 2019년말 (B) 증감(A - B) 주 : 1) 현금및예금, 차입금, 무역신용 등 3)( )내는지역별구성비(%) 2) 영국 포함 <참고> ▪주가상승·하락(-)률1) ▪각국통화의 대미달러 절상·절하(-)율2) 주요국의 주가 및 환율 변동률 2019년중 7.7 2020년중 30.8 2019년중 -3.4 2020년중 6.4 22.3 35.2 24.8 7.2 43.6 -5.1 - - -2.2 - - 8.9 10.3 18.2 10.5 -3.8 16.0 -3.4 -1.2 1.0 0.5 6.7 5.2 0.5 한국 미국 EU중국일본홍콩 DJIA NASDAQ 주 : 1) 한국 KOSPI, 미국 DJIA·NASDAQ, EURO Stoxx 50 Index, 중국 HSCEI, 일본 Nikkei225, 홍콩 HSI 2) Bloomberg, EU는 유로화기준 -2- II. 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 1. 우리나라의 통화별 대외금융자산 □ 2020년말 우리나라의 통화별 대외금융자산(준비자산 제외) 잔액은 미달러화 표시 금융자산이 8,614억달러(비중 56.7%)로 가장 많으며, 이어 유로화 1,615 억달러(10.6%), 위안화 1,104억달러(7.3%)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전년말에 비해 미달러화(+1,274억달러), 유로화(+284억달러) 등의 투자잔액이 증가 □ 투자형태별로 보면 미달러화가 증권투자(4,613억달러, 비중 65.4%) 및 기타투자 (1,985억달러, 74.4%) 등에서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직접투자의 경우 미달러화(1,655억달러, 33.0%), 기타통화(1,623억달러, 32.4%), 위안화(874억달러, 17.5%) 순으로 나타남 통화별 대외금융자산1) 현황 (억달러, %) 총액 미달러화 엔화 원화 유로화 홍콩 파운드화 위안화 기타 달러화 15,197 8,614 (100.0) (56.7) 5,009 1,655 (100.0) (33.0) 7,056 4,613 (100.0) (65.4) 파생금융상품 465 361 (100.0) (77.7) 2,667 1,985 (100.0) (74.4) 13,125 7,340 (100.0) (55.9) 2,072 1,274 439 (2.9) 106 (2.1) 268 (3.8) 2 (0.4) 63 (2.4) 400 (3.0) 39 245 1,615 355 369 (1.6) (10.6) (2.3) (2.4) 29 436 161 126 (0.6) (8.7) (3.2) (2.5) 43 913 169 212 (0.6) (12.9) (2.4) (3.0) 31 53 5 5 (6.6) (11.5) (1.1) (1.1) 143 212 19 26 (5.4) (8.0) (0.7) (1.0) 198 1,330 316 356 (1.5) (10.1) (2.4) (2.7) 47 284 39 13 2) 현금및예금, 대출금, 무역신용 등 1,104 (7.3) 874 133 (1.9) 1 (0.1) 96 (3.6) 975 (7.4) 128 2,458 (16.2) 1,623 (32.4) 705 (10.0) 7 (1.4) 123 (4.6) 2,210 (16.8) 248 2020년말 (A) 직접투자 증권투자 기타투자2) 증감(A - B) 2019년말 (B) 주 : 1) 준비자산 제외 3) ( ) 내는 통화별 구성비(%) -3- (17.5) 2. 우리나라의 통화별 대외금융부채 □ 통화별 대외금융부채 잔액은 원화 표시 금융부채가 1조 581억달러(비중 70.7%)로 가장 많고 이어 미달러화 3,525억달러(23.6%), 유로화 330억달러 (2.2%)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전년말에 비해 원화(+2,388억달러), 미달러화(+454억달러) 등의 부채잔액이 증가 □ 투자형태별로 보면 원화는 직접투자(2,297억달러, 비중 86.7%), 증권투자(7,957억달러, 81.5%)에서, 미달러화는 기타투자(1,529억달러, 71.3%)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통화별 대외금융부채 현황 2020년말 (A) 131 (23.6) (0.9) 262 30 (9.9) (1.1) 1,416 23 7,957 (14.5) (0.2) (81.5) 319 2 31 (77.0) (0.4) (7.4) 76 296 (3.5) (13.8) 3,071 107 8,193 (25.5) (0.9) (68.1) 454 24 2,388 330 41 (2.2) (0.3) 41 10 (1.6) (0.4) 126 22 (1.3) (0.2) 49 4 (11.8) (1.0) 115 4 (5.3) (0.2) 270 62 (2.2) (0.5) 60 -21 (100.0) 2,649 (100.0) 9,760 (100.0) 파생금융상품 413 (100.0) 2,145 (100.0) 12,036 (100.0) 직접투자 증권투자 총액 미달러화 14,967 원화 유로화 파운드화 위안화 16 73 (0.1) (0.5) 1 4 (0.0) (0.2) 8 11 (0.1) (0.1) 4 0 (1.0) (0.0) 4 58 (0.2) (2.7) 15 68 (0.1) (0.6) 1 5 기타 270 (1.8) 5 (0.2) 197 (2.0) 5 (1.2) 63 (2.9) 250 (2.1) 19 주:1)현금및예금,차입금,무역신용등 2)( )내는통화별구성비(%) 엔화 (억달러, %) 1,529 (71.3) 기타투자1) 2019년말 (B) 증감(A - B) 2,932 -4- 홍콩 달러화 3,525 10,581 (70.7) 2,297 (86.7) <참 고> 지역별·통화별 대외금융자산·부채 추이 <자 산> <부 채>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억달러)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미국 중국 일본 EU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억달러)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미국 중국 일본 EU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억달러) 4,000 3,000 2,000 1,000 동남아 중동 중남미 기타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억달러) 4,000 3,000 2,000 1,000 동남아 중동 중남미 기타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U 주 요 국 지 역 별 주 요 국 외 주 요 통 화 통 화 별 주 12,000 9,000 6,000 3,000 (억달러) (억달러) 2,000 1,500 1,000 500 미달러화(좌축) 원화(우축) 유로화(우축) 위안화(우축)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2,000 9,000 6,000 3,000 (억달러) (억달러) 2,000 1,500 1,000 500 요 2,000 통 1,500 화 외 1,000 500 3,000 2,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600 400 200 600 400 200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0000 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1819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5- 미달러화(좌축) 원화(좌축) 유로화(우축) 위안화(우축) 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엔화 홍콩달러화 파운드화 기타 엔화 홍콩달러화 파운드화 기타 U 증권투자 1,500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1,000 500 4,000 3,000 2,000 1,000 (억달러) (억달러) 4,000 4,000 (억달러) (억달러) 4,000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직접투자 <자 산> <부 채> 지역별 대외금융자산·부채(상세) 미 국 중 국 일 본 E U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4,500 기타투자 총액 6,000 4,500 (억달러) (억달러) 6,000 (억달러) (억달러)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4,500 기타투자 총액 6,000 4,500 6,000 3,000 3,000 1,500 1,500 3,000 3,000 1,500 1,500 00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000 1,500 1,000 500 (억달러) (억달러) 2,000 1,500 1,000 500 (억달러) (억달러) 00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000 1,500 1,000 500 2,000 1,500 1,000 500 (억달러) (억달러) 1,500 1,500 (억달러) (억달러) 1,500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1,000 1,000 500 500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1,000 기타투자 총액 500 00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직접투자 증권투자 3,000 3,000 2,000 2,000 1,000 1,000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3,000 00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6- 총액 2,000 1,000 기 U총액 타 800 600 400 200 (억달러) 1,800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500 400 300 200 100 (억달러) 1,200 <자 산> <부 채>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지역별 대외금융자산·부채(상세) 3,000 2,500 동 2,000 남 1,500 아 중 동 중 U 남 미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1,000 500 500 400 300 200 1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3,000 3,000 2,500 2,500 2,000 2,000 1,500 1,500 1,000 1,000 500 500 0000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500 500 400 400 300 300 200 200 100 100 0000 (억달러) (억달러) 1,200 1,200 1,000 1,000 800 800 600 600 400 400 200 200 (억달러)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직접투자 증권투자 1,000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00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800 1,800 1,600 1,600 1,400 1,400 1,200 1,200 1,000 1,000 800 800 600 600 400 400 200 200 0000 800 총액 600 400 200 1,600 직접투자 1,400 증권투자 1,200 파생금융상품 1,000 기타투자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총액 1,80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7- <부 표> 지역 전체 미국 지역별 대외금융자산1) 추이 형태별 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2016 2017 8,740 10,724 3,102 3,606 3,049 4,246 222 263 2,367 2,609 2,502 3,215 2018 2019(A) 2020p(B) 11,426 13,125 15,197 4,052 4,560 5,009 4,650 5,778 7,056 203 290 465 2,522 2,496 2,667 3,501 4,198 5,345 941 1,064 1,180 2,071 2,579 3,450 21 27 68 469 527 646 1,365 1,389 1,555 813 832 942 148 167 239 1 2 4 403 388 370 403 496 514 87 104 118 219 270 291 10 17 21 88 106 85 2,063 2,517 2,919 547 634 735 1,135 1,455 1,623 106 161 242 277 267 320 1,590 1,815 2,015 807 1,018 1,087 237 281 317 57 74 100 488 442 510 B-A 2,072 449 1,278 175 170 1,148 116 871 41 119 167 110 72 2 -18 18 13 21 4 -21 403 101 168 80 53 200 69 37 26 68 계 237311311280277-3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693 841 1,373 1,870 30 26 405 478 1,209 1,403 713 803 115 179 1 1 380 420 계 371 계 직접투자 중국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기말잔액, 억달러) 직접투자 일본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59 65 148 198 11 14 83 94 1,419 1,853 412 495 673 981 113 130 221 247 1,310 1,505 599 700 176 213 56 83 479 509 계 직접투자 E U2)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동남아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직접투자 중동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중남미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기타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20 32 33 30 33 3 19 25 27 42 55 13 2 3 2 1 3 2 196 252 248 207 186 -21 687 825 868 975 1,018 44 266 304 362 413 407 -6 217 312 335 394 443 49 1 1 1 1 3 3 202 208 170 168 165 -2 1,077 1,241 1,325 1,456 1,553 96 339 366 462 464 507 42 328 469 478 591 637 46 8 5 6 8 25 17 401 401 378 393 385 -9 2) 영국 포함 주 : 1) 준비자산 제외 300 -8- 지역 전 체 미 국 중 국 일 본 E U1) 동남아 중동 중남미 기 타 형태별 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2016 2017 9,640 11,999 1,889 2,294 5,733 7,739 328 222 1,690 1,744 2,622 3,546 2018 2019(A) 2020p(B) 11,101 12,036 14,967 2,372 2,417 2,649 6,666 7,420 9,760 278 297 413 1,785 1,903 2,145 2,999 3,212 4,055 359 391 424 2,360 2,602 3,346 49 23 34 231 196 251 675 730 748 120 124 131 326 355 376 0 2 5 229 249 237 901 888 1,032 566 556 622 204 213 258 14 17 20 118 101 132 2,840 3,011 3,774 820 781 857 1,619 1,789 2,374 130 167 244 272 273 300 1,929 2,229 2,933 306 347 374 978 1,131 1,673 78 72 85 566 680 802 331 376 472 28 34 39 215 231 330 2 1 2 85 111 101 B-A 2,932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337 372 2,022 2,900 52 27 210 248 523 627 76 84 234 313 1 1 211 229 계 860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443 485 201 247 12 18 127 111 2,446 3,053 650 834 1,408 1,862 159 102 228 254 1,649 1,887 220 280 767 981 90 70 572 555 269 408 24 36 210 308 2 2 33 62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지역별 대외금융부채 추이 233 2,340 117 242 842 33 744 10 55 19 8 21 3 -12 144 66 45 2 31 763 76 584 76 27 704 27 542 13 122 96 6 99 1 -10 계 34242232934937728 (기말잔액, 억달러) 주 : 1) 영국 포함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48 95 63 43 48 6 164 204 149 188 217 29 0 0 0 6 1 -5 131 123 116 112 111 -1 1,006 1,196 1,097 1,240 1,576 335 91 108 111 141 154 13 726 925 815 910 1,186 276 11 2 5 7 24 17 178 162 167 182 212 30 784 -9- 계 직접투자 94 106 12 238 268 30 1 2 1 67 63 -4 198 245 47 24 29 5 33 43 10 17 31 14 125 143 18 1,330 1,615 284 367 436 69 762 913 151 42 53 11 159 212 53 24828427631635539 119 130 149 177 161 -16 81 112 103 119 169 50 7 3 2 2 5 3 41 39 22 17 19 2 16022126135636913 통화별 대외금융자산1) 추이 2020p(B) B-A 15,197 2,072 5,009 449 7,056 1,278 465 175 2,667 170 8,614 1,274 1,655 168 4,613 877 361 137 1,985 91 24428832240043939 통화 형태별 투자 계 직접투자 전체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미달러화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엔화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2016 8,740 3,102 3,049 2017 10,724 3,606 4,246 263 2,609 6,301 1,203 2,863 199 2,037 2018 11,426 4,052 4,650 203 2,522 6,550 1,351 3,091 152 1,956 2019(A) 13,125 4,560 5,778 290 2,496 7,340 1,487 3,736 224 1,894 222 2,367 5,224 1,022 2,134 171 1,896 54 130 2 59 59 74 169 192 2 2 59 54 계 203 205 직접투자 원화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23 28 7 89 640 227 246 36 132 28 32 51 47 16 13 (기말잔액, 억달러) 유로화 홍콩 달러화 파운드화 위안화 기 타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계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108 113 873 991 276 277 389 532 주 : 1) 준비자산 제외 147 52 94 0 13 811 690 66 0 55 1,266 915 270 0 82 71 94 127 126 -1 135 148 206 212 6 0 0 1 5 4 15 17 22 26 4 939 940 975 1,104 128 771 780 791 874 83 94 75 82 133 51 0 0 0 1 0 75 84 101 96 -6 1,613 1,883 2,210 2,458 248 1,068 1,295 1,494 1,623 129 434 462 602 705 103 1 1 3 7 4 109 125 111 123 12 42 31 167 150 - 10 - 통화 형태별 투자 계 2016 9,640 1,889 5,733 328 1,690 2,729 168 1,070 252 1,239 계 110 직접투자 19 엔화증권투자 36 파생금융상품 2 기타투자 52 B-A 2,932 직접투자 전체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미달러화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통화별 대외금융부채 추이 2017 2018 2019(A) 2020p(B) 11,999 11,101 12,036 14,967 2,294 2,372 2,417 2,649 7,739 6,666 7,420 9,760 222 278 297 413 1,744 1,785 1,903 2,145 2,731 2,858 3,071 3,525 210 227 256 262 1,125 1,152 1,245 1,416 174 195 223 319 1,222 1,284 1,347 1,529 102 110 107 131 23 29 30 30 28 27 30 23 1 9 1 2 49 45 45 76 계 8,597 7,519 8,193 10,581 233 2,340 117 242 454 6 171 96 182 24 -1 -7 0 31 2,388 205 2,117 3 62 60 25 40 9 -12 -21 -4 -4 3 -16 1 직접투자110110 파운드화증권투자 5 7 4 7 8 1 파생금융상품 0 0 0 0 4 4 기타투자 6 4 6 7 4 -3 계 110 115 88 68 73 5 직접투자123341 증권투자 19 19 18 11 11 -1 파생금융상품 0 0 0 0 0 0 기타투자 90 94 68 54 58 5 계 188 207 223 250 270 19 직접투자235550 기 타 증권투자 129 143 160 174 197 23 파생금융상품 1 0 1 3 5 2 기타투자 57 60 58 69 63 -6 계 직접투자 (기말잔액, 억달러) 직접투자 1,682 원화증권투자 4,398 파생금융상품 15 기타투자 170 계 190 직접투자 13 유로화증권투자 55 파생금융상품 51 기타투자 71 계 35 직접투자 2 증권투자 20 파생금융상품 6 기타투자 7 계 12 2,032 2,078 2,091 2,297 6,330 5,207 5,840 7,957 15 24 28 31 220 210 234 296 198 227 270 330 12 20 17 41 67 72 86 126 30 39 40 49 89 96 127 115 38 66 62 41 11 12 14 10 20 26 26 22 1 10 1 4 6 18 21 4 11 11 15 16 홍콩 달러화 위안화 6,266 - 11 -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 개요 1. 의의 ―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는 「일정시점 현재 한 나라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금융자산(대외투자) 및 금융부채(외국인투자) 잔액」을 지역별·통화별로 세분화한 통계임 o 지역별 구분은 비거주자의 소재국을, 통화별 구분은 계약 표시통화를 기준으로 구분함 o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는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부채의 지역 및 통화별 잔액을 파악하는 한편 정책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2년말 기준 시점부터 작성됨 2. 지역별·통화별 분류 가. 지역별 분류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에서 지역은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동남아, 중동, 중남미 및 기타로 분류 나. 통화별 분류 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에서 통화는 미달러화(USD), 엔화(JPY), 원화(KRW), 유로화 (EUR), 홍콩달러화(HKD), 파운드화(GBP), 위안화(CNY) 및 기타로 분류 3. 작성주기 : 연간 4. 통계자료 이용 시 유의사항 ― 당해 연도 공표자료는 확정치 공표 전까지는 잠정치 ― 국제투자대조표와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은 포괄범위가 동일하지만 국제투자대조표는 특정시점의 잔액(stock)을 보여주는 통계인 반면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은 일정기간 중 의 거래변동을 나타내는 플로(flow) 통계 o 또한, 국제투자대조표는 잔액통계로서 거래일 이후 환율이나 주가변동 등으로 인한 가 치평가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계정의 플로를 누적한 금액과 차이가 날 수 있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통계검색-간편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해당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계표 명칭 I.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p.1~p.2) II. 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p.3~p.4) ECOS 분류 항목명 8.6.2.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 8.6.3. 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 - 12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