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News

21년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728x90
반응형

 

 

 

 

제 목 : 2021년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 제조업 6월 업황BSI는 98로 전월에 비해 2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업황전망BSI(99)도 전월에 비해 2p 상승 □ 비제조업 6월 업황BSI는 81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나, 다음달 업황전망 BSI(82)는 전월에 비해 1p 상승 < 경제심리지수(ESI) > □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6월 경제심리 지수(ESI)는 109.3으로 전월에 비해 3.9p 상승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문의처 :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 과장 이수지(02-759-4180), 팀장 김대진(02-759-4321) Fax : (02) 759-4307 E-mail : bokbsi@bok.or.kr 공보관 : Tel. (02) 759-4015,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I 기업경기실사지수(BSI) 1. 제조업 □ (업황BSI) 6월중 업황BSI는 98로 전월에 비해 2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지수(99)도 전월에 비해 2p 상승 ※ 계절조정지수 : 6월 실적은 100으로 전월에 비해 3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지수(101)도 전월에 비해 3p 상승 ― 업황BSI는 기업규모별로 대기업(-3p)은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8p)은 상승하였고, 기업형태별로 수출기업(+2p)과 내수기업(+1p)이 모두 상승 1) 제조업 업황BSI 추이 주 : 1) 「좋음」 응답업체 구성비(%) – 「나쁨」 응답업체 구성비(%) + 100 2) 실선은 표본개편 시점을 의미 업황 계절조정 대기업 중소기업 수출기업2) 내수기업2) 주 : 1) 2003.1월 ∼ 2020.12월까지 평균치이며, 매년 수정됨 2) 수출기업은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50% 이상인 업체, 내수기업은 50% 미만인 업체임 3) ( ) 내는 전월에 조사된 해당월 전망치 장기평균1) 78 (81) 78 (81) 84 (86) 74 (77) 82 (85) 76 (79) ‘20.12월 ‘21.1월 2월 3월 4월 5월 82 85 82 89 96 96 (81) (77) (81) (85) (91) (98) 80 84 83 89 94 97 (81) (76) (84) (83) (91) (95) 89 91 93 99 107 110 (85) (85) (89) (94) (99) (108) 74 78 69 78 83 80 (78) (67) (73) (74) (82) (87) 89 96 94 97 109 109 (86) (88) (89) (94) (101) (110) 78 78 74 85 88 89 (78) (70) (76) (79) (85) (91) 6 월 7 월 전월대비 98 (97) 100 (98) 107 (110) 88 (81) 111 (108) 90 (89) (99) +3 (101) (+3) -3 (106) (-4) (91) +8 (+10) +2 (114) (+6) +1 (89) (0) +2 (+2) -1- □ (매출BSI) 6월중 실적은 115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달 전망(114)도 전월과 동일 □ (채산성BSI) 6월중 실적은 89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달 전망(89)은 전월에 비해 1p 상승 □ (자금사정BSI) 6월중 실적은 90으로 전월에 비해 3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89)도 전월에 비해 2p 상승 주 : 1) 2003.1월 ∼ 2020.12월까지 평균치이며, 매년 수정됨 2) 「확대」응답업체 구성비(%) - 「둔화」응답업체 구성비(%) + 100 3) 「과잉」응답업체 구성비(%) - 「부족」응답업체 구성비(%) + 100 으로 매 출2) 수출 내수판매 생 산2) 신규수주2) 제품재고수준3) 가 동 률4) 생산설비수준3) 설비투자실행5) 채 산 성6) 90 81 90 91 97 113 115 (93) (83) (81) (89) (93) (102) (114) 92 79 87 93 99 111 112 115 (94) (81) (80) (89) (96) (104) (111) (111) 87 81 88 92 95 108 108 109 0 (114) (0) +3 (114) (+3) +1 (109) (+2) +1 (110) (+2) -3 (108) (0) +1 (96) (+1) +1 (111) (+3) -1 (99) (-2) +2 (100) (+2) 0 (89) (+1) +2 (141) (+2) +2 (112) (+2) +3 (89) (+2) -1 (86) (-2) 제품판매가격4) 자금사정6) 인력사정3) 95 96 104 103 108 (96) (95) (95) (104) (104) (107) (109) (110) 제조업 BSI 장기평균1) ‘20.12월 ‘21.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전월대비 (90) (81) (78) (88) (92) 93869294100 (100) (107) (107) 109 110 111 (104) (108) (108) 110 110 107 (95) (90) 88 84 (91) (84) 106 100 (105) (101) (84) 88 (83) (90) (97) 90 95 (87) (92) (99) (108) (108) 99 99 98 94 95 96 (99) (99) (100) (98) (95) (95) 91 84 91 93 98 107 110 111 (93) (88) (84) (88) (94) 104 102 102 102 102 (103) (104) (102) (103) (102) (101) 100 (101) (107) (108) 100 99 95 89 93 93 96 99 98 100 (96) (93) (90) (94) (94) (98) (99) (98) 84 86 87 88 85 87 89 (86) (87) (85) (87) (88) (87) (88) 141 142 144 (133) (137) (139) 111 113 115 원자재구입가격4) 117 117 130 131 135 (116) (111) (117) (127) (129) 85 84 85 85 84 87 87 90 (86) (82) (82) (85) (86) (86) (89) (87) 95 93 91 92 88 86 86 85 (96) (95) (94) (93) (91) (89) (87) (88) 일반적으로 경기 상승기에는 하락하고 경기 하강기에는 상승하는 역계열임 4)「상승」응답업체 구성비(%) - 「하락」응답업체 구성비(%) + 100 5)「계획대비 수정증액」응답업체 구성비(%) - 「계획대비 수정감액」응답업체 구성비(%) + 100 6)「호전」응답업체 구성비(%) - 「악화」응답업체 구성비(%) + 100 7) ( ) 내는 전월에 조사된 해당월 전망치 -2- (100) (101) 115 (114) 89 (88) □ (경영애로사항) 원자재 가격상승의 비중이 가장 높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과 내수부진이 그 뒤를 이음 ― 원자재 가격상승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3.7%p)한 반면, 수출부진과 경쟁심화 비중은 하락(-1.5%p) 제조업 경영애로사항 7.0 28.4 5.5 26.7 -1.5 -1.7 (비중, %) 원자재 불확실한 내수부진 인력난· 수출부진 경쟁심화 기타/없음 '21. 5월(A) '21. 6월(B) B-A(%p) 2. 비제조업 가격상승 경제상황 19.1 17.8 22.8 17.9 +3.7 +0.1 인건비상승 11.7 7.2 8.8 11.8 8.0 7.3 +0.1 +0.8 -1.5 □ (업황BSI) 6월중 업황BSI는 81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달 전망지수 (82)는 전월에 비해 1p 상승 ※ 계절조정지수 : 6월 실적은 80으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나, 다음달 전망지수(83)는 전월에 비해 5p 상승 1) 비제조업 업황BSI 추이 주 : 1) 실선은 표본개편 시점을 의미 업황 계절조정 주 : 1) 2003.1월 ∼ 2020.12월까지 평균치이며, 매년 수정됨 2) ( ) 내는 전월에 조사된 해당월 전망치 장기평균1) ‘20.12월 ‘21.1월 2월 3월 4월 5월 6 월 7 월 전월대비 74 (77) 74 (77) 68 70 72 77 82 81 (72) (64) (70) (73) (78) (82) 67 72 74 78 81 80 (70) (66) (73) (72) (78) (81) 81 (81) 0 (+1) 80 0 (78) (83) (+5) (82) -3- □ (매출BSI) 6월중 실적은 92로 전월에 비해 3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 (93)도 전월에 비해 5p 상승 □ (채산성BSI) 6월중 실적은 91로 전월에 비해 2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91)도 전월에 비해 3p 상승 □ (자금사정BSI) 6월중 실적은 89로 전월에 비해 2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전망(88)도 전월에 비해 2p 상승 비제조업 BSI 장기평균1) ‘20.12월 ‘21.1월 2월 3월 4월 5월 6 월 7 월 전월대비 84 (86) 84 (85) 85 (86) 90 (90) 67 70 74 80 86 89 (68) (65) (69) (76) (82) (86) 76 77 82 86 88 89 (80) (74) (78) (85) (85) (89) 77 81 83 84 86 87 (80) (75) (80) (82) (85) (87) 87 82 84 86 85 85 (88) (86) (84) (85) (85) (86) 92 (88) +3 (+5) 91 +2 (88) (+3) 89 +2 (86) (+2) 85 0 (85) (85) (0) (93) (91) (88) 매 출2) 채 산 성3) 자금사정3) 인력사정4 ) 주 : 1) 2003.1월 ∼ 2020.12월까지 평균치이며, 매년 수정됨 2)「확대」응답업체 구성비(%) - 「둔화」응답업체 구성비(%) + 100 3)「호전」응답업체 구성비(%) - 「악화」응답업체 구성비(%) + 100 4)「과잉」응답업체 구성비(%) - 「부족」응답업체 구성비(%) + 100 으로 일반적으로 경기 상승기에는 하락하고 경기 하강기에는 상승하는 역계열임 5) ( ) 내는 전월에 조사된 해당월 전망치 □ (경영애로사항) 불확실한 경제상황의 비중이 가장 높고, 내수부진과 경쟁 심화가 그 뒤를 이음 ― 원자재 가격상승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2.0%p)한 반면, 내수부진 비중은 하락(-0.8%p) 비제조업 경영애로사항 (비중, %) 불확실한 내수부진 경쟁심화 인력난· 자금부족 원자재 기타/없음 경제상황 '21. 5월(A) 17.1 13.5 '21. 6월(B) 16.7 12.7 B-A(%p) -0.4 -0.8 인건비상승 가격상승 12.0 9.3 8.1 12.0 9.1 7.1 0.0 -0.2 -1.0 4.7 35.3 6.7 35.7 +2.0 +0.4 -4- II 경제심리지수(ESI) □ 6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에 비해 3.9p 상승한 109.3을 기록하였으며, 순환변동치*는 109.3으로 전월에 비해 3.3p 상승 * ESI 원계열에서 계절 및 불규칙 변동을 제거하여 산출 경제심리지수 추이 6월 109.3 +3.9 +0.4 +0.4 +0.6 +0.2 +0.5 +0.6 +1.2 109.3 BSI 제조업가동률전망 자금사정전망 비제조업 CSI ESI 순환변동치 업황전망 자금사정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20.12월 ‘21.1월 2월 3월 4월 5월 ESI (전월대비 지수차) 수출전망 86.1 93.1 96.6 -5.8 +7.0 +3.5 -0.1 +1.1 +1.0 -0.7 +0.7 +0.9 0.0 +0.8 +0.1 -1.5 +1.3 +0.5 -1.4 +1.5 +0.5 -0.9 +0.9 0.0 -1.2 +0.7 +0.5 90.1 93.1 96.3 101.3 105.3 105.4 +4.7 +4.0 +0.1 +1.0 +1.0 -0.1 +1.0 +0.8 +0.2 0.0 +0.7 -0.4 +1.1 +0.8 -0.2 +0.9 +0.6 -0.2 0.0 +0.3 +0.3 +0.7 -0.2 +0.5 99.5 102.7 106.0 -5- <참 고>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추이  제조업·비제조업 업황 실적BSI1) 추이  제조업·비제조업 업황 전망BSI1) 추이 -6- (부록) (조사개요) (통계편) -7- 1. 조사목적 2021년 6월 기업경기조사(BSI) 개요 □ 매월 기업경기 동향 파악 및 다음 달 전망을 위해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하여 지수화 2. 조사대상 : 전국 3,255개 법인기업 □ 응답업체 : 2,807개 업체(86.2%)  제 조 업 : 1,640개  비제조업 : 1,167개 3. 조사기간 : 2021년 6월 10일 ∼ 6월 17일 4. 조사항목 및 조사대상기간 구 분 수준 판단 변화 방향 판단 기타 주 : 1) 경기 상승기에는 하락하고 경기 하강기에는 상승하는 역 계열 2) 2005.4월 조사부터 설문방식을 '증가율'에서 '규모'로 변경 5.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 산출 조사대상기간 2021년 6월 동향 및 2021년 7월 전망 전년 동월비 전월비 조사항목 업황(전반적인 기업경기), 제품재고1), 생산설비수준1), 설비투자실행2), 인력사정1) 신규수주, 생산, 매출(내수‧수출)2), 가동률 제품판매가격, 원자재구입가격, 채산성, 자금사정 경영애로사항 □ 한국표준산업분류(KSIC-10)에 기반하여 제조업은 23개 중분류, 비제조업은 13개 대분류 업종으로 나누어 아래 계산식에 따라 산출 o 업종별 긍정적인응답업체수부정적인응답업체수×  전체 응답업체수  o 산업(전산업, 제조업, 비제조업)별 BSI =  ∙   (: 업종별 GDP 비중, : 업종별 BSI) 기업경기실사지수의 ECOS내 수록 현황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통계검색-간편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계표 명칭 ECOS 분류 항목명 제조업 BSI (p.1~2) 비제조업 BSI (p.3~4) 9.1.1 기업경기실사지수(한국은행, 전국, 전기간) ※ 기업경기실사지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9- 1. 작성목적 경제심리지수(ESI) 개요 □ 기업과 소비자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BSI와 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 : Economic Sentiment Index)를 작성 2. 작성방법 □ ESI는 BSI 및 CSI(각각 32개 및 17개) 중 경기 대응성이 높은 7개 항목을 선정하여 가중 평균한 다음 장기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표준화하여 산출 ― 장기평균(100)은 표준화 가능 구간, 즉 BSI와 CSI 시계열 확보가 가능한 2003.1월부터 2020.12월 기간까지의 ESI 평균을 의미 ESI 구성항목 및 가중치 구성항목 가중치 0.45 0.30 0.25 수출전망 제조업가동률전망 자금사정전망 업황전망 자금사정전망 0.150 BSI 0.150 0.150 0.150 CSI 가계수입전망 0.125 소비지출전망 0.125 비제조업 0.150 □ ESI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의 순환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ESI 원계열에서 계절성 및 불규칙 변동치를 제거하여 산출 3. 해석방법 □ ESI는 장기평균 10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ESI가 100을 상회(하회)하게 되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나아진(나빠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경제심리지수의 ECOS내 조회 방법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통계검색-간편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경제심리지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계표 명칭 ECOS 분류 항목명 경제심리지수 추이 (p.5) 9.3 경제심리지수 ※ 경제심리지수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0 -

 

728x90
반응형